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1:31:26

바렛 코더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바렛(유희왕/카드군)]]{{{#!if top2 != null
, [[코드 토커]][[]]}}}{{{#!if top3 != null
, [[바렐(유희왕)]][[]]}}}{{{#!if top4 != null
, [[]][[]]}}}{{{#!if top5 != null
, [[]][[]]}}}{{{#!if top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설명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2. 설명

파일:ヴァレット・コーダ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바렛 코더,
일어판 명칭=ヴァレット・コーダー,
영어판 명칭=Rokket Coder,
레벨=4, 속성=어둠, 종족=사이버스족, 공격력=1700, 수비력=3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사이버스족 몬스터를 "코드 토커" 몬스터의 링크 소재로 할 경우\, 패의 이 카드도 링크 소재로 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바렐" 몬스터의 링크 소환으로 사용할 경우\, 이 카드의 종족을 드래곤족으로 취급한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이 카드를 "바렐" 몬스터의 링크 소재로 할 경우\, 패의 어둠 속성 몬스터 1장도 링크 소재로 할 수 있다.)]
시크릿 유틸리티 박스에서 추가된 카드. 이터니티 코드의 커버 카드군 코드 토커버스트 오브 데스티니의 커버 카드군 바렛을 동시 지원하는 몬스터다.

①의 효과는 코드 토커의 소재로 할 경우 패에서 동참할 수 있는 패 링크 효과. 이른바 미니 토커들의 공통 효과이지만, 이 카드는 다른 미니 토커와는 다르게 링크 소재로 할 시 추가 효과가 딱히 없다.

②의 효과는 바렐 몬스터를 링크 소환할 때 이 카드를 드래곤족으로 취급하지만, 현재 이 효과에 의미를 가지는 것은 바렛을 포함한 드래곤족을 소재로 요구하는 소운바렐 드래곤 뿐이다. 소운바렐의 소재 이외에는 없는 효과나 마찬가지인 셈.

③의 효과는 바렐 몬스터를 링크 소환할 때 패의 어둠 속성 몬스터를 동참시킬 수 있는 패 링크 효과. ①번 효과와 비슷하지만, 조건과 적용 대상이 반대로 되어 있는 점이 포인트. 이 효과로 바렐로드 R 드래곤같이 말림패가 되기 쉬운 최상급 몬스터의 처리도 가능하다.

양쪽 덱을 적절하게 지원하는 효과지만, 양쪽 덱 다 채용하기 꺼려지는 부분들이 있다.

코드 토커 덱은 사이버스족 이외 특수 소환 제약이 있어 애초에 바렐 몬스터를 채용하지 않기 때문에, 패 링크 효과밖에 없는 이 카드를 여타 미니 토커 몬스터보다 우선하여 투입할 가치가 없다. 특히, 같은 어둠 속성 미니 토커들 중에는 마이크로 코더가 있기 때문에 더욱 꺼려진다.

바렛 덱에서는 탄환용 바렛의 공통 효과나 퀵 리볼브 등으로 쉽게 덱에서 꺼내 전개를 보조할 수 있어 채용 가치가 있으나,[1] 이 카드는 드래곤족이 아닌지라 스트라이커 드래곤, 데린저러스 드래곤이나 천구의 성각인 등 우수한 드래곤족 링크 몬스터의 소재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일러스트는 마이크로 코더와 비슷하게 생긴 몬스터가 바렛 트레이서 형태의 갑옷을 입은 형태처럼 생겼다. 마침 두 카드 모두 각 덱들의 필수 전개 요원이다.
수록 시리즈
2022-12-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B1-JP006 | SECRET UTILITY BOX SPECIAL PACK
2023-06-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MR-EN006 | BATTLES OF LEGEND: MONSTROUS REVENGE
2024-08-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4PP-KRB42 | 프리미엄 팩 2024 2nd WAVE

[1] 바렛은 '총알이 많으면 쏠 총이 없고 총이 있으면 장전할 총알이 없는' 결함이 있는데, 3번 효과를 통해 필드 소모를 줄이고 쏴버릴 총알을 남겨둘 수 있다는 점에서 괜찮은 지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