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23:22:39

밀레니엄몬

1. 개요2. 종족 특성
2.1. 상세 정보
3. 작중 묘사4. 기타

1. 개요

파일:밀레니엄몬.jpg

파일:external/wikimon.net/250px-Djt-2-076_front.jpg

ミレニアモン / MILLENNIUMON

디지몬 시리즈에 등장하는 디지몬.

2. 종족 특성

2.1. 상세 정보

압도적인 파워를 가진 파워드라몬[5]과 여러 가지 강력한 디지몬의 데이터를 가진 키메라몬[6]이 융합된 궁극의 합성형 디지몬. 쓰러뜨리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해지고 있지만, 지금도 해명되지 않은 융합의 원인[7]을 밝혀 내는 것이 그 공략의 실마리가 되는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된다.

필살기는 시간을 압축해 이차원을 만들어 내 상대를 영원히 아공간에 가두어 버리는 「타임 언리미티드」.
생물계와 머신계의 양대 디지몬 둘이 합쳐진 궁극의 합성형 디지몬.[8][9][10] 외형은 각부의 신체 부위들이 좀 더 자연스럽게 융합한 키메라몬의 등에 파워드라몬의 캐논과 캐논을 제외한 나머지 신체가 부정형의 에너지 덩어리의 형태로 얹혀져 있는 모습을 띠고 있다.

다른 형태로 문밀레니엄몬과 그 부활 형태인 지드밀레니엄몬이 있으며, 대체로 여러 매체에서 밀레니엄몬 → 문밀레니엄몬 → 지드밀레니엄몬의 순으로 등장하는 편. 예외적으로 디지몬 어드벤처:에서는 문밀레니엄몬이 가장 먼저 등장하였고 밀레니엄몬이 쓰러진 직후 지드밀레니엄몬으로 부활했다.

이재익과 악연이 끈질긴데, 게임이나 애니메이션에서 밀레니엄몬이 등장하면 종종 등장했다가 크로스워즈 코믹스에서는 그 밀레니엄몬이 아닌 다크나이트몬이 재현한 별개 개체이기 때문인지[11] 나오지 않았고, 어드벤처 리부트에서는 아예 언급이 없어 점차 별개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여러모로 강함에 거품이 많이 낀 녀석이라 팬들은 말하지만[12] 그래도 나온지 상당히 오래되었음에도 파워인플레가 많이 오른 현재까지도 최강의 디지몬을 거론할때 꾸준히 나오는 등 위상은 굉장한 디지몬이다.

3. 작중 묘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밀레니엄몬/작중 묘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기타

2020년 쯤에는 디지몬 리얼라이즈에서 파워드라몬의 초궁극체로 등장했고, 새로 발매된 디지몬 카드게임에서는 일반 밀레니엄몬이 자기 계열 처음으로 데뷔했는데, 초궁극체 전용 레벨이라 할 수 있는 Lv.7로 나와서 지드밀레니엄몬까지 갈 거없이 밀레니엄몬부터 초궁극체로서 취급되기 시작했다.[13]

외형상 포대를 제외한 본체부분은 이족보행, 4개의 팔 등 키메라몬의 형상이 많이 남아있다. 실제로 투구에서 캅테리몬, 갈기에서 메탈그레이몬, 왼쪽 윗 팔의 붉은 중지에서 데블몬, 다리의 짐승형 모피에서 가루몬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1] 맨 아래 기타 초궁극체 판정 역사 부분도 참조.[2] Time Unlimited (시간 무제한). 원더스완 소프트 게임이었던 배틀스피릿에서는 맞으면 움직임이 느려지는 어둠의 구체로 연출되었다. 디지몬 리얼라이즈에선 손을 모아 검은 구체를 쏘고, 공간에 오류를 일으켜 파괴하는 모습으로 연출되었다.[3] 모바일 게임 디지몬 링크즈에서는 고유결계를 펼친 후 하늘을 향해 캐논을 쏘면 여러개의 에너지탄으로 나뉘어서 떨어지는 기술로 연출되었다.[4] 각각 키메라몬파워드라몬의 필살기로 밀레니엄몬이 되어도 이를 사용하는 부분은 그대로 남아 사용가능하다. 특히 무겐 캐논은 등장 매체마다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5] 기계 계열의 궁극 합성 디지몬.[6] 생체 계열의 궁극 합성 디지몬.[7] 바로 그 유명한 밀레니엄 버그. 통칭 Y2K로, 컴퓨터가 2000년 이후의 년도를 인식하지 못하고 1900년도로 인식하는 버그.[8] 그레이몬, 가루몬, 캅테리몬, 쿠가몬, 에어드라몬, 엔젤몬, 데블몬, 스컬그레이몬, 모노크로몬, 메탈그레이몬, 메탈콩알몬, 메가드라몬, 메탈티라노몬, 안드로몬으로 무려 14체의 디지몬이 융합되어 있다.[9] 공교롭게도 파워드라몬과 키메라몬의 베이스 디지몬 중에는 중첩되는 디지몬이 하나 있는데 그것은 메탈그레이몬이다. 파워드라몬의 경우에는 메탈그레이몬의 트라이던트 암과 흉부 갑주가 사용되었고, 키메라몬의 경우에는 메탈그레이몬의 갈기가 사용되었다.[10] 참고로 소재가 된 14체의 디지몬은 모두 디지몽 버전 1~5 출신이며, 특히 파워드라몬의 소재가 되는 5체는 중복 없이 각 버전의 완전체 중 하나다.[11] 설정상 디지크로스의 결과물로, 하술하지만 지성 없이 날뛰는 괴물에 불과하기 때문인지 택티몬에게 짝퉁 취급을 당하기도 했다.[12] 유독 한국에서 심하다. 그래도 한때 최강자였고 지금도 강자로서 인식되는 파워드라몬의 상위체이니 강한건 맞지만.[13] 물론 작 중에서 초궁극체로 취급되는 로얄나이츠나 7대마왕들 중에서 Lv.6인 녀석들도 있기에[14] 무작정 레벨로 초궁극체의 수준으로 취급하기엔 무리가 있다. 어디까지나 근거 중 하나로 받아들이는 편이 좋다. 실제로도 표시된 DP 자체만으론 13000으로 초궁극체 레벨에선 최하위이다. 다만 이미 처음나온 카드 일러스트에서 로얄 나이츠를 둘이나 상대하는 모습이 나왔기에 보통내기는 아닌 것은 확실한 듯. 애초에 상기했듯 리얼라이즈의 선례도 있고 하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