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의 대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사립대학, 이외 공립대학 | ⊙ 개신교 신학대학 | ⊙ 나이에로데 경영대학 | 네덜란드 개방대학교 | 네덜란드 왕립사관학교 | 델프트 공과대학교 | ||
랏바우트 대학교 | 레이던 대학교 | 마스트리흐트 대학교 | 바헤닝언 대학교 | ⊙ 아펠도른 신학대학 | |||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 | 암스테르담 대학교 | 에라스뮈스 대학교 | 에인트호번 공과대학교 | 위트레흐트 대학교 | |||
인문학 대학교 | 한제 흐로닝언 응용과학대학 | 퀴라소 대학교 | 트벤테 대학교 | 틸뷔르흐 대학교 | |||
미네르바 예술대학교 | 흐로닝언 대학교 | 디자인 아카데미 아인트호벤 | ※ 네덜란드 해양대학교 등은 대학(Universiteit)이 아님 | ||||
네덜란드의 교육 · 네덜란드 소재 대학교 일람 | }}}}}}}}} |
<colbgcolor=#F2561D> Minerva Art Academy 아카데미 미네르바 Academie Minerva | |
| |
<colcolor=#fff> 대학정보 | |
개교 | 1798년 ([age(1798-01-01)]주년)[1] |
국가 |
|
총장 | Dick Powells |
소재 | 네덜란드 흐로닝언주 |
소속 | 한제 흐로닝언 응용과학대학 |
교색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웹 사이트 | |
SNS | |
위치 | |
1. 개요
Academie Minerva Praediniussingel관의 전경 |
Waar niets is, maken wij iets.
아무것도 없는 곳에, 우리는 창조한다.
아무것도 없는 곳에, 우리는 창조한다.
미네르바 예술대학, 속칭 아카데미 미네르바는 네덜란드 흐로닝언에 위치한 미술대학이다.
1798년 네덜란드 흐로닝언에서 예술, 건축, 건설 공학 및 항해를 위한 학교로 설립되었다. 현재는 한제 흐로닝언 응용과학대학(Hanze University Groningen Applied Science)에 소속된 산하 단과대학으로서 순수 미술 및 디자인 분야를 전문으로 다루는 미술학교이다.
2016년 3월 기준, 총 학생 수는 1500여명에, 재학생 중 유학생 비율이 약 20%정도이다.[2]
2. 역사
1797년, 흐로닝언의 여섯 시민이 드로잉, 건축, 항해를 가르치는 학교를 설립하기로 뜻을 모아 생겨난 오랜 역사의 학교이다. 첫 수업은 1798년 1월, 시에서 제공한 건물에서 시작되었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건축과 해양 과학 수업도 개강되었다.1820년, 지역 예술가와 예술 애호가들이 이론과 실기를 배울 수 있도록 ‘예술애호협회(Kunstlievend Genootschap ter aanmoediging en bevordering van teken-, schilder-, graveer-, en beeldhouwkunst)’가 설립되었다. 이 협회는 1824년부터 드로잉과 회화 대회를 개최했으며, 처음에는 흐로닝언 시민들을 대상으로 했으나 이후 네덜란드 전역으로 참가 대상을 확대했다.
하지만 1838년,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협회와 학교가 합병되었고, 이로 인해 새롭게 ‘미네르바(Minerva)’라는 이름이 생겨났다. 미네르바가 전국의 예술가들에게 개방되자, 흐로닝언 지역 예술계를 위한 공간이 부족해졌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1832년에 새로운 예술 애호 협회인 ‘픽투라(Pictura)’가 설립되었다. 픽투라는 흐로닝언 지역민을 위한 대회를 개최했으며, 1842년부터는 전국의 예술가들도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1857년에는 학교가 새로운 건물로 이전되었으며, 1913년에는 학교가 새로 설립된 중등 기술 학교에 통합되어 시각 및 응용 예술, 건축, 항해 학교 부서를 포함한 ‘산업 교육을 위한 시립 기관(Gemeentelijke inrichtingen voor nijverheidsonderwijs)’으로 개편되었다. 이 MTS(이후 HTS)와 HZS(고등 해양학교)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급성장하면서 예술 부서가 자리할 공간이 부족해졌다.
1964년, 이전의 응용 예술 학교는 독립적인 ‘시각 예술 아카데미(Academie voor Beeldende Kunsten, ABK)’로 재편되었다.[3] 이후 수업은 시내 여러 장소에서 분산되어 진행되었으며, 1984년에는 건축가 피에트 블롬이 설계한 새로운 건물로 이전되었고, 현재의 위치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3. 학과
미네르바 아카데미는 7개의 학과로 이루어지며, 디자인 전공은 5개의 세부전공을 나뉜다. 1학년때 모든 과목을 한 블럭[4]당 하나씩 수강하고 2학년으로 진급하기 전 본인이 원하는 세부 전공을 선택할 수 있다.- Fine Art
- Design
- Graphic & Interaction Design
- Product Design
- Spatial Design
- Illustration & Animation Design
- Time Based Design
- Interrelational Art Practices (iRAP)
- Materials in Artistic Practices (MAPs)
- Media, Art, Design & Technology (MADtech)
- Painting
- Popular Culture
4. 대학원
프랑크 모르(Frank Mohr Institute)라고 불리우는 대학원 과정이 존재한다. 순수미술을 전공하는 많은 학생이 그렇듯, 작업량을 위해서 거의 대다수의 학생들이 대학원을 진학하는데, 네덜란드의 미술대학들은 모두 학부의 이름과 다른 이름으로 대학원을 운영한다. 아카데미 미네르바도 마찬가지로 해당 이름으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는데, 이곳은 순수미술 전공으로 학부보다 정평이 나 있기로 유명하다. 이 또한 매년 소수의 한국인 유학생들이 입학하는데, 대표적으로 안지산 작가[5]가 석사 과정 동문이다.5. 유학
매년, 혹은 격년으로 아주 극소수의 한국인 학생이 입학한다. 그만큼 졸업하는 인원 또한 매우 적으며, 교환학생 또한 손에 꼽는다. 그도 그럴 것이, 네덜란드 내에선 최대의 미술대학 중 하나이며 미네르바 아카데미의 대학원[6] 과정은 유명하지만 아직 학부의 명성이 국내에선 미비한 수준이다. 어차피 국내 학교의 학비를 내고 교환학생을 통한 수업을 듣는다면, 영국이나 미국의 미술대학들이 합리적인 선택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흐로닝언이라는 도시 자체가 원래 ’학생들의 도시‘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유학생이 인구의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도시이다.[7]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인 유학생은 미네르바 뿐 아니라 흐로닝언 대학교까지 확장해 보아도 드물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외국인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가 많기도 하다.
유학생 신분으로 입학하는 것 자체는 큰 어려움이 없다. 20점 이상의 포트폴리오를 통해 1차 합격자를 결정하고, 공인영어 점수[8]와 면접, 그리고 Home Assignments[9]를 통해 최종 합격자를 가려낸다.
국내에서 정규고등교육을 마친 학생이라면 아마 유학미술학원을 통한 진학이 가장 보편적인 길일 것이다. 다만 네덜란드의 미술대학에서 요구하는 포트폴리오는 미국과 영국 등의 대학과 달리 결과물 중심이 아닌 과정 속 논리를 굉장히 중요시 여기므로, 스스로 직접 고민하고 깨닫는 시간이 많아야 합격의 가능성이 열린다.
6. 학비
네덜란드는 타 국가들에 비해 학비가 저렴한 편이다. 해당 학교의 경우 유학생(Non-EU)에게 부과되는 학비는 2022년 기준 1년에 약 8700유로, 한화로 약 1400만원 정도로 책정이 되어있다. 물론 학비는 매년 조금씩 달라지고, 환율 또한 달라지기에 이 부분은 본교 홈페이지를 찾아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10]7. 생활
네덜란드의 대학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연구 중심의 대학과 실무 중심의 대학이 그것이다. 보통 네덜란드 내 미대, 음대 등을 포함한 예술대학들은 해당 지역 내 응용과학대학(University of Applied Science) 산하에 존재하며[11] 일반적인 유럽권의 대학들처럼 3년제가 아닌 4년제라는 것이 특징이다. 단, 신입학 후 첫 해를 1학년이 아닌 Basement Year라고 부르며 이는 타국 학교와 달리 1학년의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닌 말 그대로 기초 과정을 다지는 과정이다.[12] 미네르바 아카데미 또한 마찬가지로 이러한 방식으로 운영된다. 해당 학교의 경우 첫 해에는 본인의 전공과 더불어 다양한 타 전공을 경험하며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는 서울대학교를 포함한 국내 각 대학의 자율전공시스템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첫 해는 패논패로써 성적표를 받게 되며, 한 과목이라도 과락할 경우 곧장 ’퇴학‘이다.[13] 하지만 모두 합격을 하여 그 다음 해가 되면 본인이 선택한 전공으로 졸업까지 달리게 된다!유학 생활에서 학교와 전공만큼 중요한 부분은 바로 그 도시에서의 생활일 것이다. 흐로닝언이라는 도시가 학생들의 도시라고 이름이 붙여진 만큼, 유럽과 세계 각지에서 온 학생들이 많이 생활하는 '젊은 도시'의 성향이 강하다. 하지만 그만큼 방학 기간이 되면 많은 유학생들이 본국으로 떠나기 때문에 해당 기간만큼은 도시가 황량해진다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네덜란드 북부 최대의 도시라는 타이틀과는 달리 암스테르담이나 로테르담, 혹은 헤이그에 비하여 상권이 많이 부족한 모습을 보인다.[14] 물론 앞에 서술한 세 도시들은 네덜란드의 3대 도시라고 반박할 수 있겠지만, 흐로닝언보다 규모 자체로는 더 작은 도시인 위트레흐트의 경우만 예를 들어도 흐로닝언보다는 더 많고 다양한 상권과 놀거리들을 찾아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이 서울을 비롯한 국내 큰 도시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면, 이곳에서의 생활은 조금 힘들고 지루할 수 있다. 대부분의 상점은 오후 6시가 채 안되어 문을 닫고, 아주 소수의 식당만이 밤까지 영업을 한다.[15] 이것이 서양권에서 홈파티가 발달한 이유이기도 한데, 다행히 Night Shop이라는 한국으로 치면 편의점의 역할을 하는 가게가 존재한다. 보통 영업시간은 오후 네시경에 오픈하여 새벽 세시 혹은 네시 정도까지 영업을 한다. 급할 땐 이곳에서 술과 간식거리들을 구매하면 된다.
8. 출신인물
[1] 아카데미 미네르바 자체의 개교는 200년이 넘은 유서깊은 학교이나, 1986년 한제 흐로닝언 응용과학대학이 설립되며 흡수되었다.[2] 매년 한국인 유학생이 극소수로 입학하고 졸업한다. 그 수는 사실상 한국인 학생이라면 서로 다 알고 지낸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손에 꼽는다.[3] 사실상 현재 미네르바 아카데미의 전신.[4] 네덜란드의 학기제는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2학기제를 취하지만, 학기를 6-8주씩 블락(Block)형태로 쪼개어 진행한다.[5]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과정 졸업 후 진학[6] Frank Mohr, 프랑크 모르. 미네르바 아카데미의 석사과정을 제공하는 학교이며 국내 작가 중 안지산 작가가 이 학교 석사 출신이다.[7] 네덜란드 내 평균연령이 가장 낮은 도시 중 하나이다.[8] 유럽권이기에 보통 IELTS를 요구하나, 최근엔 TOEFL점수도 인정한다. IELTS는 Overall 6.0 이상, TOEFL은 96점 이상을 요구.[9] 대부분의 네덜란드 미술대학에서 요구하는 2차 관문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시험. 시험이라기보단 정해진 기간 안에 학교에서 제시한 주제를 바탕으로 짧은 포트폴리오를 제작하는 방식.[10] 비교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예시를 들자면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국제대학의 경우엔 1학기 학비가 700만원에 달한다[11] 해당 문서의 본교인 한제 흐로닝언 응용과학대학 내에는 미술분야의 미네르바 예술대학교(Academie Minerva), 음악분야의 프린스 클라우스 음악원(Prins Claus Conservatorium), 마지막으로 무용분야의 루시아 마르타스 무용교육원(Lucia Marthas Institute of Performing Arts)가 각각 존재한다[12] 군대로 치면 훈련병 신분이라고 보면 편하다[13] 즉 짐을 싸서 곧장 한국으로 돌아오면 된다[14] 이것이 당연한 이유가, 굳이 2-3개월이나 되는 방학기간이 존재하는 학생 도시에 굳이 입점하려고 드는 자영업자들이 있을까?[15] 이마저도 한국처럼 늦은 밤까지 영업하는 곳은 매우 드물다[16] Jozef Israëls, 네덜란드 출신의 화가. 요세프 이스라엘스는 19세기 네덜란드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화가로, 헤이그파(Hague School)의 핵심 인물 중 한 명. 프랑스의 장프랑수아 밀레와 바르비종파로부터 영향을 받아, 가난한 농민과 어부 등 서민들의 삶을 따뜻하면서도 사실적으로 그려내며 주목을 받았으며, 감성적인 묘사와 절제된 색채를 통해 인간 존재의 존엄성과 고통을 조명한 유럽 전역에서 비평가와 관람객 모두에게 높은 평가를 받은 화가.[17] Wim Crouwel, 네덜란드 흐로닝언 출신의 그래픽 디자이너[18] Alida Jantina Pott, 네덜란드의 화가[19] Anno Smith, 네덜란드의 조각가[20] Otto Erelman, 네덜란드의 왕실 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