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문재인 정부
1. 개요
문재인 정부 기간 동안의 대한민국의 경제지표의 상태를 다룬다.1.1. 경제규모
1.1.1. 국내총생산(GDP)
- GDP성장률(단위: %, 2015년 연쇄가격 기준)
분기* 연간 1/4 2/4 3/4 4/4 연도 2017 +0.5
,(+2.8),+1.5
,(+3.9),-0.1
,(+2.8),+3.2 2018 +1.0
,(+2.8),+0.6
,(+2.9),+0.5
,(+2.1),+0.9
,(+2.9),+2.7 2019 -0.3
,(+1.9),+1.0
,(+2.3),+0.4
,(+2.1),+1.3
,(+2.6),+2.0 2020 -1.3
,(+1.5),-3.2
,(-2.6),+2.2
,(-1.0),+1.1
,(-1.1),-1.0 2021 +1.7
,(+1.9),+0.7
,(+5.9),2022 ,* 괄호 안은 전년동기대비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 2021년 08월 31일 확인, - 지출항목별 증감률(전년대비)
연도 GDP성장률 지출항목별 증감률 민간소비 정부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 지식재산생산물투자 재고증감 수출 수입 2017 +3.2 +2.8 +3.9 +7.3 +16.5 +6.5 +0.4 +2.5 +8.9 2018 +2.7 +2.8 +5.6 -4.3 -2.4 +2.2 +0.2 +3.5 +0.8 2019 +2.0 +1.7 +6.6 -2.5 -7.5 +3.0 +0.1 +1.7 -0.6 2020 -1.0 -5.0 +5.0 -0.1 +6.8 +3.7 -0.7 -2.5 -3.8 2021 2022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 2021년 8월 31일 확인,
2019년 대한민국의 1인당 gdp
1.1.2. 국민총소득(GNI)
- 국민총소득
연도 1인당 GNI
,(명목, 원계열),성장률
,(실질, 전년대비),원화표시(만원) 달러표시 2017 3,588.6 31,734.1 +3.3 2018 3,693,0 33,563.7 +1.6 2019 3,743.5 32,114.9 +0.4 2020 3,776.6 32,004.1 +0.1 2019 4,048.2 35,373.1 +3.4 ,,,* 출처: 「국민계정」, 한국은행 - 2022년 7월 6일 확인
2019년 기준 한국의 1인당 gni
1.2. 경기동향
1.2.1. 경기종합지수
[1]위는 통계청에서 집계한 경기선행지수, 경기후행지수, 경기동행지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2]
위는 통계청에서 집계한 경기선행지수, 경기후행지수, 경기동행지수의 전월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
2017.05 | 100.0 | 99.6 | 100.6 |
2017.06 | 100.1 | 99.7 | 100.5 |
2017.07 | 100.1 | 99.8 | 100.4 |
2017.08 | 100.1 | 99.8 | 100.2 |
2017.09 | 100.1 | 99.9 | 100.0 |
[4]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
2017.10 | 100.1 | 99.7 | 100.3 |
2017.11 | 100.2 | 99.6 | 100.1 |
2017.12 | 100.2 | 99.5 | 100.0 |
2018.01 | 100.1 | 99.5 | 99.8 |
2018.02 | 100.1 | 99.5 | 99.8 |
[6]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
2018.04 | 100.0 | 99.5 | 99.8 |
2018.05 | 99.9 | 99.5 | 99.6 |
2018.06 | 99.8 | 99.6 | 99.4 |
2018.07 | 99.7 | 99.6 | 99.3 |
2018.08 | 99.6 | 99.7 | 99.2 |
[8]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
2018.09 | 99.7 | 99.2 | 99.0 |
2018.10 | 99.5 | 99.2 | 98.9 |
2018.11 | 99.4 | 99.2 | 98.9 |
2018.12 | 99.2 | 99.2 | 98.9 |
2019.01 | 99.1 | 99.1 | 99.0 |
[10]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
2019.02 | 99.3 | 99.2 | 99.2 |
2019.03 | 99.2 | 99.2 | 99.1 |
2019.04 | 99.2 | 99.2 | 99.0 |
2019.05 | 99.1 | 99.3 | 98.9 |
2019.06 | 99.1 | 99.3 | 98.8 |
[12]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
2019.07 | 99.2 | 99.2 | 98.9 |
2019.08 | 99.2 | 99.2 | 98.9 |
2019.09 | 99.2 | 99.2 | 98.9 |
2019.10 | 99.2 | 99.2 | 99.0 |
2019.11 | 99.3 | 99.2 | 99.1 |
[14] |
OECD전체 평균 | 아시아5개국[A] 평균 | 한국 | |
2019.12 | 99.5 | 98.8 | 99.5 |
2020.01 | 99.5 | 98.7 | 99.6 |
2020.02 | 99.4 | 91.6 | 99.7 |
2020.03 | 98.0 | 95.7 | 99.8 |
2020.04 | 95.8 | 95.4 | 99.9 |
[16] |
위는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가 발표한 OECD 경기선행지수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1.2.2. 생산동향
- 전산업생산지수(2015=100, %, 원지수)
- 분기별
원지수 증감률,(전년동기비), 2017 2/4 106.1 +2.5 2017 3/4 105.8 +4.3 2017 4/4 108.6 -0.4 2018 1/4 103.6 +1.1 2018 2/4 108.0 +1.8 2018 3/4 105.7 -0.1 2018 4/4 111.4 +2.6 2019 1/4 103.0 -0.6 2019 2/4 108.4 +0.4 2019 3/4 106.2 +0.5 2019 4/4 113.0 +1.4 2020 1/4 104.8 +?? ,* 출처: 국가통계포털(KOSIS) - 2020년 6월 11일 확인, - 연도별
연도 원지수 증감률,(전년대비), 2017 105.6 +2.5 2018 107.2 +1.4 2019 107.6 +0.4 ,* 출처: 국가통계포털(KOSIS) - 2020년 2월 5일 확인,
1.2.3. 소비동향
1.2.4. 투자동향
1.3. 경제심리
- 경제심리지수(ESI), 소비자심리지수(CSI)
ESI CSI 원계열 순환변동치 2017.05 99.5 97.8 107.9 2017.06 98.6 98.3 111.2 2017.07 97.7 98.9 111.3 2017.08 98.9 99.3 110.0 2017.09 97.5 99.6 107.6 2017.10 101.0 99.8 109.2 2017.11 101.0 99.8 112.4 2017.12 100.7 99.6 111.0 2018.01 98.1 99.2 110.3 2018.02 99.8 98.7 108.4 2018.03 96.3 98.1 108.3 2018.04 98.3 97.6 107.3 2018.05 100.7 97.2 108.2 2018.06 99.0 96.7 105.6 2018.07 93.7 96.2 100.9 2018.08 94.9 95.7 99.0 2018.09 97.8 95.2 100.1 2018.10 93.2 94.6 99.3 2018.11 92.2 94.1 95.7 2018.12 92.4 93.6 96.9 2019.01 89.8 93.3 97.5 2019.02 95.6 93.1 99.6 2019.03 94.7 93.1 99.8 2019.04 95.8 93.1 101.7 2019.05 92.1 93.1 97.9 2019.06 92.8 93.2 97.6 2019.07 89.6 93.3 95.9 2019.08 88.8 93.2 92.4 2019.09 91.7 92.8 97.0 2019.10 91.1 91.9 98.6 2019.11 91.9 90.1 101.0 2019.12 92.9 87.2 100.5 2020.01 95.7 83.0 104.2 2020.02 87.2 77.5 96.9 2020.03 63.7 71.1 78.4 2020.04 55.7 64.3 70.8 2020.05 57.8 57.5 77.6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 2020년 2월 3일 확인,
1.4. 소득, 분배
1.4.1. 소득 5분위별 소득
- 가계동향조사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별 가계 소득(단위: 천원, %, 전년동분기 대비)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전체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2018 1/4 829.8 0.0 1,574.6 +2.3 2,135.0 +3.9 2,855.2 +7.2 4,933.1 +11.2 2,466.3 +7.0 2018 2/4 849.6 -0.4 1,567.5 +1.4 2,090.9 +4.0 2,753.2 +7.3 4,443.3 +10.2 2,341.2 +6.3 2018 3/4 833.0 -1.1 1,599.8 +2.5 2,150.0 +4.2 2,876.0 +7.8 4,596.7 +5.3 2,412.6 +4.9 2018 4/4 823.4 -8.1 1,596.1 +0.4 2,148.3 +3.7 2,809.6 +6.1 4,506.1 +9.1 2,377.5 +4.8 2019 1/4 832.9 +0.4 1,653.2 +5.0 2,241.8 +5.0 2,969.6 +4.0 4,829.5 -2.1 2,506.0 +1.6 2019 2/4 865.7 +1.9 1,639.5 +4.6 2,190.1 +4.7 2,902.4 +5.4 4,591.4 +3.3 2,438.4 +4.2 2019 3/4 866.4 +4.0 1,682.8 +5.2 2,247.9 +4.6 2,956.5 +2.8 4,653.4 +1.2 2,482.8 +2.9 ,* 출처: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 2020년 2월 3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가계금융복지조사
- 균등화소득 기준 5분위별 소득(단위: 만원, 전년대비, %)
시장소득 기준 연도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전체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2017 667 +2.1 1,840 +4.4 2,773 +4.1 3,968 +4.8 7,514 +5.7 3,353 +4.9 2018 689 +3.3 1,907 +3.6 2,881 +3.9 4,110 +3.6 7,685 +2.3 3,455 +4.0 처분가능소득 기준 연도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전체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2017 927 +4.2 1,863 +4.7 2,653 +3.6 3,671 +4.5 6,453 +4.5 3,114 +4.4 2018 999 +7.8 1,952 +4.8 2,764 +4.2 3,800 +3.5 6,534 +1.3 3,210 +3.1 ,* 출처: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 2020년 2월 4일 확인(국가통계포털),
1.4.2. 지니계수, 소득 5분위 배율, 상대적 빈곤율
- 가계동향조사
-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단위: 배)
연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2017 5.35 4.73 5.18 4.61 2018 5.95 5.23 5.52 5.47 2019 5.80 5.30 5.37 ,* 출처: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 2020년 2월 3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가계금융복지조사
1.5. 인플레이션
1.5.1. 소비자물가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 월간(전월대비, 괄호 안은 전년동월대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2017년 +0.1
,(+2.0),-0.2
,(+1.8),+0.2
,(+2.2),+0.6
,(+2.5),+0.1
,(+2.0),-0.1
,(+1.8),-0.7
,(+1.2),+0.4
,(+1.4),2018년 +0.4
,(+0.8),+0.8
,(+1.3),-0.1
,(+1.2),+0.2
,(+1.5),0.0
,(+1.5),-0.2
,(+1.5),-0.2
,(+1.1),+0.9
,(+1.4),+0.8
,(+2.1),-0.2
,(+2.0),-0.7
,(+2.0),-0.3
,(+1.3),2019년 -0.1
,(+0.8),+0.4
,(+0.5),-0.2
,(+0.4),+0.4
,(+0.6),+0.2
,(+0.7),-0.2
,(+0.7),-0.3
,(+0.6),+0.2
,(0.0),+0.4
,(-0.4),+0.2
,(0.0),-0.6
,(+0.2),+0.2
,(+0.7),2020년 +0.6
,(+1.5),2021년 2022년 ,* 출처: 통계청, 소비자물가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연도별(단위: %, 2015=100)
연도 지수 농산품 및 석유류 제외지수
,(전년비),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
,(전년비),생활물가지수
,(전년비),신선식품지수
,(전년비),원계열 전년비 2017 102.93 +1.9 +1.5 +1.5 +2.5 +6.2 2018 104.45 +1.5 +1.2 +1.2 +1.6 +3.6 2019 104.85 +0.4 +0.9 +0.7 +0.2 -5.1 ,* 출처: 통계청, 소비자물가조사 - 2020년 2월 4일 확인(국가통계포털),
1.5.2. 생산자물가지수
- 생산자물가지수
- 월별(전월대비, 괄호 안은 전년동월대비)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2017년 -0.3
,(+3.4),-0.4
,(+2.8),+0.1
,(+3.0),+0.5
,(+3.3),+0.7
,(+3.8),+0.1
,(+3.6),-0.1
,(+3.0),+0.0
,(+2.2),2018년 +0.4
,(+1.2),+0.4
,(+1.2),0.0
,(+1.2),+0.1
,(+1.5),+0.3
,(+2.1),0.0
,(+2.5),+0.5
,(+2.9),+0.5
,(+2.9),+0.3
,(+2.5),-0.3
,(+2.1),-0.7
,(+1.5),-0.5
,(+0.9),2019년 -0.1
,(+0.4),+0.1
,(+0.1),+0.3
,(+0.5),+0.3
,(+0.6),+0.1
,(+0.4),-0.3
,(+0.1),0.0
,(-0.3),+0.2
,(-0.6),+0.1
,(-0.8),-0.2
,(-0.7),-0.1
,(-0.1),+0.3
,(+0.7),2020년 +0.2
,(+1.0),2021년 2022년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2020년 2월 7일 확인, - 연도별(2015=100, p, %)
지수 농림수산품
,(전년비),공산품
,(전년비),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
,(전년비),서비스
,(전년비),원계열 전년비 2017 101.57 +3.5 +6.4 +4.8 +1.6 +1.4 2018 103.48 +1.9 +3.6 +2.2 +0.5 +1.4 2019 103.50 +0.0 -2.3 -1.0 +2.3 +1.2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2020년 2월 7일 확인,
1.5.3. GDP 디플레이터
- GDP 디플레이터
- 분기별 등락률(전년동기대비, %)
연도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2017 +1.6 +3.7 +1.8 2018 +0.9 +1.0 +0.2 -0.1 2019 -0.5 -0.7 -1.6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 2020년 2월 5일 확인, - 연도별(2015=100, p, %)
연도 원계열 전년비 2017 104.253 +2.2 2018 104.744 +0.5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 2020년 2월 5일 확인,
1.6. 고용, 실업
1.6.1. 경제활동인구
- 경제활동인구 총괄(단위: 천명, %, 전년대비)
- 15세 이상 기준
연도 15세 이상 인구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 2017 43,931
,(+325),27,748
,(+330),26,725
,(+316),1,023
,(+14),16,183
,(-4),63.2
,(+0.3),60.8
,(+0.2),3.7
,(0.0),2018 44,182
,(+251),27,895
,(+147),26,822
,(+97),1,073
,(+50),16,287
,(+104),63.1
,(-0.1),60.7
,(-0.1),3.8
,(+0.1),2019 44,504
,(+322),28,186
,(+291),27,123
,(+301),1,063
,(-10),16,318
,(+31),63.3
,(+0.2),60.9
,(+0.2),3.8
,(0.0),,*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15~64세 기준
연도 15~64세 인구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실업자 비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 2017 36,860
,(+21),25,520
,(+218),24,559
,(+217),961
,(0),11,340
,(-196),69.2
,(+0.5),66.6
,(+0.5),3.8
,(0.0),2018 36,796
,(-64),25,515
,(-5),24,511
,(-48),1,003
,(+42),11,282
,(-58),69.3
,(+0.1),66.6
,(0.0),3.9
,(+0.1),2019 36,791
,(-5),25,564
,(+49),24,585
,(+74),979
,(-24),11,228
,(-54),69.5
,(+0.2),66.8
,(+0.2),3.8
,(-0.1),,*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1.6.2. 고용률
- 고용률(%)
- 월간(15세 이상)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2017년 61.5 61.5 61.6 61.2 61.4 61.4 61.4 60.4 2018년 59.5 59.2 60.2 60.9 61.3 61.4 61.3 60.9 61.2 61.2 61.4 60.1 2019년 59.2 59.4 60.4 60.8 61.5 61.6 61.5 61.4 61.5 61.7 61.7 60.8 2020년 60.0 2021년 2022년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연간(전년대비)
연도 전체 연령계층별 ,(15세 이상), ,(15~64세), ,(15~29세),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65세 이상), 2017 60.8
,(+0.2),66.6
,(+0.5),42.1
,(-0.6),57.6
,(+0.4),75.3
,(+0.6),79.4
,(+0.1),75.3
,(+1.0),39.9
,(+0.4),30.6
,(0.0),2018 60.7
,(-0.1),66.6
,(0.0),42.7
,(+0.6),57.9
,(+0.3),75.7
,(+0.4),79.0
,(-0.4),75.2
,(-0.1),40.1
,(+0.2),31.3
,(+0.7),2019 60.9
,(+0.2),66.8
,(+0.2),43.5
,(+0.8),58.2
,(+0.3),76.0
,(+0.3),78.4
,(-0.6),75.4
,(+0.2),41.5
,(+1.4),32.9
,(+1.6),,*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1.6.3. 실업률
- 실업률(%)
- 월간(15세 이상)
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도 2017년 3.6 3.8 3.4 3.6 3.3 3.2 3.1 3.3 2018년 3.7 4.6 4.5 4.1 4.0 3.7 3.7 4.0 3.6 3.5 3.2 3.4 2019년 4.5 4.7 4.3 4.4 4.0 4.0 3.9 3.0 3.1 3.0 3.1 3.4 2020년 4.1 2021년 2022년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12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연간(전년대비)
연도 전체 연령계층별 ,(15세 이상), ,(15~64세), ,(15~29세), 20대 30대 40대 50대 60세 이상 ,(65세 이상), 2017 3.7
,(0.0),3.8
,(0.0),9.8
,(0.0),9.9
,(+0.1),3.3
,(+0.2),2.1
,(0.0),2.2
,(-0.1),2.9
,(+0.2),2.8
,(+0.5),2018 3.8
,(+0.1),3.9
,(+0.1),9.5
,(-0.3),9.5
,(-0.4),3.4
,(+0.1),2.5
,(+0.4),2.5
,(+0.3),3.1
,(+0.2),2.9
,(+0.1),2019 3.8
,(+0.1),3.8
,(-0.1),8.9
,(-0.6),8.9
,(-0.6),3.3
,(-0.1),2.3
,(-0.2),2.5
,(0.0),3.4
,(+0.3),3.2
,(+0.3),,*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5일 확인(국가통계포털),
1.6.3.1. 고용보조지표
- 고용보조지표(Labor Underutilization Indicator, 노동저활용지표)
- 용어
- 고용보조지표1: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 100
- 고용보조지표2: (실업자 + 잠재경제활동인구) / 확장경제활동인구 * 100
-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 (시간관련추가취업가능자 + 실업자 + 잠재경제활동인구) / 확장경제활동인구 * 100
-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 실제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면서, 추가취업을 희망하고, 추가취업이 가능한 자
- 잠재취업가능자: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였으나, 조사대상주간에 취업이 가능하지 않은 자
- 잠재구직자: 비경제활동인구 중에서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주간에 취업을 희망하고 취업이 가능한 자
- 잠재경제활동인구: 잠재취업가능자 + 잠재구직자
- 확장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인구 + 잠재경제활동인구
- 연간(%)
연도 | 고용보조지표1 | 고용보조지표2 | 고용보조지표3 |
전체 | ,(청년층, 15~29세), |
2017 | 5.7 | 9.1 | 11.0 | 22.9 |
2018 | 6.1 | 9.5 | 11.6 | 22.8 |
2019 | 6.4 | 9.3 | 11.8 | 22.7 |
,* 출처: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 2020년 2월 5일 확인(국가통계포털), |
1.7. 금융
1.7.1. 기준금리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일자 기준금리 조정 출처(보도자료) 2017.11.30 1.25% → 1.50% # 2018.11.30 1.50% → 1.75% # 2019.07.18 1.75% → 1.50% # 2019.10.16 1.50% → 1.25% #
1.7.2. 가계신용
- 가계신용(단위: 십억원, 전기대비)
분기* 연간 1/4 2/4 3/4 4/4 연도 2017 1,387,757.1
,(+28,789.7),1,419,108.3
,(+31,351.2),1,450,627.4
,(+31,519.1),1,450,627.4
,(+108,100.6),2018 1,468,242.0
,(+17,614.6),1,492,352.4
,(+24,110.4),1,513,890.5
,(+21,538.1),1,536,712.3
,(+22,821.8),1,536,712.3
,(+86,084.9),2019 1,539,900.5
,(+3,188.2),1,556,726.4
,(+16,825.9),1,572,540.9
,(+15,814.5),1,600,132.2
,(+27,591.3),1,600,132.2
,(+63,419.9),2020 2021 2022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 - 2020년 2월 13일 확인,
[1] #[2] #[A]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4] OECD 발표: 17.12.11,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17.12.15, #[A]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6] OECD 발표: 18.04.10,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18.04.13, #[A]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8] OECD 발표: 18.10.08,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18.10.12, #[A]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10] OECD 발표: 19.03.11,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19.03.16, #[A]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12] OECD 발표: 19.08.09,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19.08.09, #[A]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14] OECD 발표: 20.01.17,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20.01.17, #[A] 한국,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16] OECD 발표: 20.05.18,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발표: 20.05.18, #[17] 시장소득이란 근로·사업·재산소득에 가족, 지인 등으로부터 얻은 사적이전소득을 더하고 사적이전지출을 뺀 소득을 뜻하고 처분가능소득은 시장소득에 정부가 지급하는 연금과 수당, 장려금 등 공적이전소득을 더한 소득이다. 즉,시장소득이 근로사업재산소득이고 처분가능소득은 거기에 정부수당및 지원금이 합쳐진 소득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