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18 13:59:54

무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터닝메카드의 메카니멀}}}에 대한 내용은 [[무간(터닝메카드)]]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무간(터닝메카드)#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무간(터닝메카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터닝메카드의 메카니멀: }}}[[무간(터닝메카드)]]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무간(터닝메카드)#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무간(터닝메카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천원돌파 그렌라간의 주요 메카닉
메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대그렌단 및 신정부 로제놈 군 안티 스파이럴 병기
<colbgcolor=#000> 천원돌파 초 천원돌파 그렌라간 초 그랑제보머
천원돌파 천원돌파 시리즈 그랑제보머
초절초노 초은하 다이그렌 초은하 그렌라간 카테드랄 테라 카테드랄 라젠간
초노급 아크 그렌 아크 그렌라간 데카부츠 안티 스파이럴 함대
다이간급 다이그렌 도텐카이잔 다이간급 전함
간멘 그라팔 그렌라간 라젠간 엔키 안티 그렌라간 무간
}}} ||


1. 개요2. 특징3. 작중 행적

1. 개요

[ruby(無顔,ruby=ムガン)]

천원돌파 그렌라간에 나오는 안티 스파이럴의 양산형 병기. 이름은 말 그대로 "얼굴이 없음"을 뜻하는 "무안"의 일본식 발음이다. 영문명은 Mugan. 노도 편의 주적이다.

2. 특징

이전까지 나왔던 간멘들과는 달리 2D 작화가 아니라 CG로 표현됐다.[1]

절망을 안겨준다는 안티 스파이럴의 컨셉에 알맞게 첫 등장 시 막강한 위력을 자랑하며 신 정부를 충격에 빠뜨렸다. 간멘과 달리 얼굴이라 부를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고, 회전하는 원반과 블록 형태의 부품으로 구성된 무기질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얼굴이 없다는 뜻에서 신 정부 측이 코드네임을 무간이라 지정했고 시몬은 얼굴 없는 녀석(카오 나시)이라고 불렀다. 기체의 정식 명칭은 불명이다.

주요 무기는 빔포로, 화력을 일점 집중하는 고출력 빔이나 주위에 전방위로 발사하는 확산 빔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한 방식으로 발사한다. 또, 빔의 에너지를 추진력으로 변환해서 초고속 이동도 가능하다. 그라펄들의 일반 공격은 기체 주위에 펼쳐진 배리어로 무효화할 수 있기 때문에 처음 등장 시점에서 유효타를 낼 수 있는 유효한 공격 방법은 그렌라간을 이용한 고위력의 공격뿐이었다. 과거 로제놈이 운용한, 나선력으로 움직이는 구형 간멘들은 본디 안티스파이럴에 대항하는 병기로 생산되었기에 그렌라간 만큼은 아니더라도 무간을 수월하게 상대할 수 있다.

그러나 처치하더라도 자폭하면서 불안정한 분자 구조가 대기 중에 퍼짐과 동시에 즉석으로 구성 물질이 에너지로 변환되고, 이에 분자 파편이 퍼진 반경 내를 쑥대밭으로 만들어 기뢰를 뿌린 것과 동일한 결과를 만들면서 광역 스플래시 대미지를 주기에 안심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시몬은 무간을 파괴했음에도 파편에 의한 2차 피해를 막지 못해서 카미나 시티에 불필요한 피해를 더하고 말았으며, 이후 그렌단은 카미나 시티가 쑥대밭으로 변할 위기를 의식해서라도 무간을 없애는 것뿐만이 아닌 구성 물질의 파괴까지 신경을 써야 했다.

작중에선 총 세 타입이 등장했다.

파일:Mugann.webp
가장 흔한 타입인 일반 무간. 그렌라간과 비슷한 크기이다.

파일:Jokyumugann.webp
상급 무간. 다수의 일반 무간들을 밑에 주렁주렁 달고 운송 및 통솔한다.

파일:Kyomugann.webp
최상급 무간. 좌측의 자주색 무간은 쿠 무간, 우측의 파란색 무간은 쿄 무간이라 불린다.

3. 작중 행적

인류 섬멸 시스템이 발동되면서 그 첨병으로 한 기가 카미나 시티 상공에 갑자기 출현해서 빔을 도시에 쏘아댄다. 아무 전조도 없이 나타난지라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신 정부는 기미와 다리가 이끄는 그라펄 부대를 출격시키지만 그라펄 부대의 사격은 베리어에 막혀 통하지 않았고 그라펄 기체들은 하나둘씩 격추되어 갔다. 다리가 조종하는 기체가 격추당하려는 순간 시몬이 조종하는 그렌라간이 전장에 합류해 다리를 구해준다. 시몬은 기가 드릴 브레이크로 무간을 쓰러뜨리려 했지만 튕겨나갔다. 하지만 무간이 쏘아대는 빔을 드릴로 흡수한 뒤 응축한 빔 에너지를 무간에게 찔러넣어 격파하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여기저기 떨어진 무간의 파편들이 폭발해 도시의 피해를 키워버렸다.

이로인해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졌고 신 정부는 엄청난 양의 항의 전화를 받게 됐다. 메신저로 각성한 니아가 나선족과 안티스파이럴에 대한 진실을 모든 방송을 통해 폭로한 뒤 두 기가 나타나 또 도시를 습격한다. 이에 시몬은 맨 처음 나타난 무간을 상대했을 때 쓴 방법을 또 써서 무간들을 격파하고, 기미와 다리에게 파편들이 도시에 떨어지기 전에 전부 쏴버리라고 해서 도시에 피해가 생기는 걸 방지한다.

시몬이 전범으로 몰려서 사형 선고를 받고 감옥에 수감되기 전 마지막 출격을 했을 때 상급 무간이 수많은 일반 무간들과 함께 나타났고, 달 낙하를 피해 아크 그렌이 지구를 빠져나갈 때도 엄청난 물량이 나타나 공격을 퍼부었다. 다만 이 시점에선 리론 리트나가 무간용 장비와 파편이 흩어지지 않게 가둬버리는 토네이토 배리어를 개발해 그라팔 부대와 구형 간멘들에게 장착되었기에 야라레메카로 전락한다.

지구 궤도에서 벌어진 우주전에서 아크 그렌을 기다리고 있었던 초거대 무간인 쿠 무간과 쿄 무간은 각자 그렌라간과 아크 그렌을 전담해 제거하려고 한다. 하지만 그렌라간과 아크 그렌이 합체해서 아크 그렌라간으로 합체하는 기적이 벌어졌고, 쿠 무간과 쿄 무간도 이에 대항해 하나로 합체한 뒤 아크 그렌라간에게 달려든다. 하지만 아크 그렌라간의 필살기인 버스트 스피닝 펀치를 맞고 차원 너머로 날아간 뒤 파괴됐다. 이후 작중에서 무간은 더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1] 7화와 8화에서 다이간잔이 일반 간멘들을 투척할 때 캐터펄트 암 부분은 CG로 표현된 바 있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