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5 06:02:04

모니카 데 젠나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ABD26> 파일:Logo_Imoco_Volley.png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
2024-25 시즌 선수단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2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포지션 등번호 국적 나이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신체조건
OH 1 파일:브라질 원형 국기.svg [age(1994-05-19)]세 가브리엘라 기마랑이스 Gabriela Guimarães 180cm / 65kg
4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age(1994-11-29)]세 주팅 Zhu Ting 198cm / 78kg
16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age(1998-09-19)]세 칼리아 래니어 Khalia Lanier 190cm / 70kg
17 파일:UEFA EURO POL.png [age(1999-11-26)]세 마르티나 루카시크 Martyna Łukasik 189cm / 65kg
OP 11 파일:UEFA EURO SWE.png [age(1999-07-11)]세 이사벨 하크 Isabelle Haak 196cm / 83kg
15 파일:UEFA EURO ITA.png [age(2006-08-24)]세 메리트 아디궤 Merit Adigwe 186cm / -
MB 9 파일:UEFA EURO ITA.png [age(2000-04-11)]세 마리나 루비안 Marina Lubian 193cm / 74kg
15 파일:UEFA EURO ITA.png [age(1994-02-10)]세 크리스티나 키리켈라 Cristina Chirichella 195cm / 75kg
19 파일:UEFA EURO ITA.png [age(2001-09-12)]세 사라 파르 Sarah Fahr 194cm / 84kg
7 파일:UEFA EURO ITA.png [age(2003-05-06)]세 카트자 에클 Katja Eckl 188cm / -
S 6 파일:일본 원형 국기.svg [age(1999-06-12)]세 세키 나나미 Nanami Seki 171cm / 60kg
14 파일:UEFA EURO POL.png [age(1990-04-07)]세 요안나 보워시 '''[[주장|
C
]]'''
Joanna Wołosz 181cm / 65kg
L 10 파일:UEFA EURO ITA.png [age(1987-01-08)]세 모니카 데 젠나로 Monica De Gennaro 173cm / 63kg
20 파일:UEFA EURO ITA.png [age(2005-04-29)]세 안나 바르다로 Anna Bardaro 177cm / kg
파일:UEFA EURO ITA.png 다니엘레 산타렐리
}}}}}}}}} ||
모니카 데 젠나로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O OH MB S L
2016 리우데자네이루
슬뢰체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주팅
파일:중국 국기.svg
미하일로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라시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아킨라데우
파일:미국 국기.svg
글래스
파일:미국 국기.svg
린리
파일:중국 국기.svg
2020 도쿄
보스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라슨
파일:미국 국기.svg
바취-해클리
파일:미국 국기.svg
가타즈
파일:브라질 국기.svg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폴터
파일:미국 국기.svg
웡-오란테스
파일:미국 국기.svg
2024 파리
에고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실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가비
파일:브라질 국기.svg
오구보구
파일:미국 국기.svg
다네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오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젠나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VP · 기록상 · 베스트팀
}}}}}}}}}}}}}}} ||

{{{#!wiki style="margin: 0 -11px -4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OP OH MB S L
2018
카이세타
파일:브라질 국기.svg
바취-해클리
파일:미국 국기.svg
주팅
파일:중국 국기.svg
에르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딕슨
파일:미국 국기.svg
외즈바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핀루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9
카라쿠르트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가비
파일:브라질 국기.svg
리우얀한
파일:중국 국기.svg
코레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워싱턴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리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코트니
파일:미국 국기.svg
2021
카이세타
파일:브라질 국기.svg
바취-해클리
파일:미국 국기.svg
가비
파일:브라질 국기.svg
에르뎀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가타즈
파일:브라질 국기.svg
폴터
파일:미국 국기.svg
웡-오란테스
파일:미국 국기.svg
2022
에고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C.보세티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가비
파일:브라질 국기.svg
카롤
파일:브라질 국기.svg
스테바노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오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데 젠나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3
바르가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리잉잉
파일:중국 국기.svg
루카시크
파일:폴란드 국기.svg
귀네슈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위안신웨
파일:중국 국기.svg
다오린위
파일:중국 국기.svg
기젬 외르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24
에고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코가
파일:일본 국기.svg
실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코넬룩
파일:폴란드 국기.svg
오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코지마
파일:일본 국기.svg
대회의 전신은 2017년 폐지한 월드그랑프리다.
MVP · 베스트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4D1246><tablebgcolor=#4D1246> 파일:fivbcwc.pngFIVB 클럽 세계 선수권
여자부 베스트팀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연도 OPP OH MB S L
2013 파반
(유니레버 볼레이)
손스르마
(바키프방크)
카르카세스
(볼레로 취리히)
실바
(유니레버 볼레이)
퓌르스트
(바키프방크)
천징스
(광둥 에버그란데)
사노
(볼레로 취리히)
2014 가모바
(디나모 카잔)
올리베이라
(SESI 상파올로)
카르카세스
(오사스코)
모로스
(디나모 카잔)
메네지스
(오사스코)
수자
(오사스코)
울라노바
(디나모 카잔)
2015 리귤릭
(볼레로 취리히)
가라이
(크라스노다르)
코셸레바
(크라스노다르)
폴약
(엑자시바시)
실바
(렉조나 아데스)
수자
(렉조나 아데스)
포포비치
(볼레로 취리히)
2016 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주팅
(바키프방크)
코셸레바
(크라스노다르)
아킨라데우
(볼레로 취리히)
라시치
(바키프방크)
로이드
(포미 카살마조레)
올리비에라
(렉조나 세스크)
2017 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주팅
(바키프방크)
가비
(세스크-RJ)
폴약
(디나모 모스코바)
아크만
(엑자시바시)
카나메
(NEC 레드 로켓츠)
포포비치
(볼레로 취리히)
2018 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주팅
(바키프방크)
가비
(미나스)
마야니
(미나스)
라시치
(바키프방크)
마크리스
(미나스)
기젬
(바키프방크)
2019 하크
(바키프방크)

(이모코)
김연경
(엑자시바시)
귀네슈
(바키프방크)
크루이프
(이모코)
보워시
(이모코)
아쾨즈
(엑자시바시)
2021 하크
(바키프방크)
페도로프체바
(페네르바흐체)
가비
(바키프방크)
귀네슈
(바키프방크)
크루이프
(이모코)
보워시
(이모코)
젠나로
(이모코)
2022 하크
(이모코)
로빈슨
(이모코)
가비
(바키프방크)
오구보구
(바키프방크)
귀네슈
(바키프방크)
보워시
(이모코)
젠나로
(이모코)
2023 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가비
(바키프방크)
리잉잉
(텐진 보하이)
귀네슈
(바키프방크)
스테바노비치
(엑자시바시)
엘리프
(엑자시바시)
아이차
(바키프방크)
2024 하크
(이모코)
리잉잉
(텐진 보하이)
주팅
(이모코)
헤나
(밀라노)
파르
(이모코)
보워시
(이모코)
리우 리웬
(텐진 보하이)
MVP · 베스트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1F1F2><tablebgcolor=#EF1BA2> 파일:logo_SerieA1FemminileVolley.png세리에 A1
역대 MVP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EE6DA5,#ffc10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
<rowcolor=#FFF> 2009-10 2010-11 2011-12 2012-13
타이스마리 아궤로
페자로 / OH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타리나 바룬
베르가모 / OP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사라 파반
부스토 / OP
파일:캐나다 국기.svg
리즈 반 헤케
피아첸차 / OH
파일:벨기에 국기.svg
<rowcolor=#FFF> 2013-14 2014-15 2015-16 2016-17
루시아 보세티
피아첸자 / OH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발렌티나 티로치
카살마지오레 / O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켈시 로빈슨
이모코 / OH
파일:미국 국기.svg
카타리나 바룬
노바라 / OP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rowcolor=#FFF> 2017-18 2018-19 2019-20 2020-21
요안나 보워시
이모코 / SE
파일:폴란드 국기.svg
모니카 데 젠나로
이모코 / L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취소 파올라 에고누
코넬리아노 / O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rowcolor=#FFF> 2021-22 2022-23 2023-24 2024-25
파올라 에고누
이모코 / O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렉사 그레이
이모코 / OH
파일:캐나다 국기.svg
이사벨 하크
이모코 / OP
파일:스웨덴 국기.svg
가브리엘라 기마랑이스
이모코 / OH
파일:브라질 국기.svg
}}}}}}}}}}}}}}} ||
파일:c06207fe77f8c5235305f5bab8a3ecf3.png
<colbgcolor=#FABD26><colcolor=#074D96> 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 No. 10
모니카 데 젠나로
Monica De Gennaro
출생 1987년 1월 8일 ([age(1987-01-08)]세)
캄파니아나폴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포지션 리베로
신체조건 174cm / 62kg
점프 높이 스파이크 280cm / 블로킹 255cm
국가대표 파일:800px-Federazione_Italiana_Pallavolo.png 이탈리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2006~)
소속 구단 Libertas Sorrento (2001~2002)
Vicenza Volley (2002~09)
Aprilia Volley (2009~2010)
Scavolini Pesaro (2010~2013)
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 (2013~)
외부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별명 Moki(모키)
가족 배우자 다니엘레 산타렐리 [1]

1. 개요2. 상세3. 선수 커리어
3.1. 국가대표 3.2. 클럽3.3. 개인 수상
4. 여담5. 관련 문서

1. 개요

이탈리아 국적의 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 소속 배구 선수.

2. 상세

현재 세계 최고의 리베로 중 하나로 평가 받고있다.

3. 선수 커리어

3.1. 국가대표




  • 유럽 선수권 대회
    • 파일:300px-Bronze_medal_europe.svg.png 2019 앙카라
    • 파일:1024px-Gold_medal_world_centered-2.svg.png 2021 베오그라드


  • FIVB 월드그랑프리
    • 파일:300px-Bronze_medal_europe.svg.png 2006
    • 파일:300px-Silver_medal_world_centered-2.svg.png 2017 난징

3.2. 클럽



  • 파일:스쿠데토.svg 세리에 A1
    • 파일:1024px-Gold_medal_world_centered-2.svg.png 2015-16, 2017-18, 2018-19, 2020-21, 2021-22, 2022-23, 2023-24 (7)
    • 파일:300px-Bronze_medal_europe.svg.png 2013-14, 2016-17

  • 파일:코카르다 트리콜로레.svg 코파 이탈리아
    • 파일:1024px-Gold_medal_world_centered-2.svg.png 2016-17,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7)
    • 파일:300px-Silver_medal_world_centered-2.svg.png 2017-18, 2018-19
    • 파일:300px-Bronze_medal_europe.svg.png 2010-11, 2014-15

3.3. 개인 수상

4. 여담

2025년 3월 17일 631회차 경기를 기점으로 세리에 A1 역사상 가장 많이 경기를 출전한 선수가 되었다. [2]

5. 관련 문서



[1] 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의 헤드코치[2] https://www.instagram.com/p/DHRCQr6sJrs/?utm_source=ig_web_copy_link&igsh=MzRlODBiNWFlZ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