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16:39:22

메트로 2033(게임)/장비

1. 개요2. 방독면3. 정화통4. 아르티옴손목시계5. 범용 발전기6. 구급상자7. 위장복/방탄복

1. 개요

메트로 2033(게임)에 등장하는 무기 이외의 장비를 서술하는 문서.

2. 방독면

파일:external/static4.wikia.nocookie.net/250px-Protivogaz.png
스토커들이나 지상에 나가는 이들이 아니라 해도 메트로 2033의 세계에서 필수품인 물건. 땅 속에서 가스지대에 들어가거나 지상 위에선 필수품. 게임 상에서는 아르티옴이 숨을 크게 들이쉬며 헐떡거리면서 방독면을 장착해야 하는 구간임을 알려주며 이때 장착하지 않으면 30초 뒤 아르티옴이 질식해 사망한다.[1]

G키를 눌러 쓰고, G키를 길게 눌러 벗는다.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일정 시간마다 방독면 정화통을 하나씩 소모한다.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교체하는데 교체할 시간이 가까워지면 방독면 안면부의 렌즈 부분에 점점 김이 서리고 아르티옴의 호흡이 거칠어지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잠입플레이나 저격 중이라면 이 현상이 짜증이 나기 때문에 정화통이 부족한 상황이 아니면 G키를 살짝 눌러서 수동으로 정화통을 교체할 수 있다.

이걸 장착한 상태로 공격을 좀 받으면 점점 금이 가서 시야가 상당히 제한되니 새 방독면이 보이면 재빨리 교체해주자. 최악의 상황은 방독면이 깨졌을 경우인데 재빨리 다른 방독면을 주워서 교체해야 한다. 안 그러면 필터고 뭐고 훅훅거리다 사망하는 아르티옴을 볼 수 있다. 방독면이 깨졌는데 근처에 방독면이 안 보인다고? 마지막 체크포인트에서 다시 시작하거나 그마저도 최악이면 그냥 챕터 재시작을 하는 것을 권한다.

게임 밸런스 문제로 아르티옴이 레인저 방탄복을 장비해도 밀러나 여타 스파르타 대원들처럼 헬멧 방독면이 아닌 기존 방독면을 사용한다.

리덕스에선 방독면을 쓰는 키가 G키, 필터를 교체하는 키가 T키로 나뉘어 필터를 갈다가 실수로 방독면을 벗는 일은 없어졌다. 대신 방독면을 쓴 상태에서 G키를 살짝 누르면 방독면을 닦아 시야를 가리던 진흙, 물, 핏자국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3. 정화통

파일:external/static2.wikia.nocookie.net/255px-Gas_filters.jpg
필터는 최대 30개까지 들고 다닐 수 있으며 17개를 초과해 보유하고 있다면 데미지를 입을 때마다 한개의 정화통이 손상되어 사라진다. 17개 이하라면 이 현상이 없다. 리덕스에선 정화통이 갯수가 아닌 시간으로 저장되며 용맹 모드에서 30분, 생존 모드에서 20분까지 저장된다.

전쟁 이후로 방독면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그만큼 정화통도 자주 사용되는데 새 정화통을 생산할 공장 라인이 죄다 파괴된 탓에 이미 사용된 정화통을 재사용한다는 설정이 있어 방독면 정화통이 1분을 넘기지 못한다. 다만 리덕스에선 라스트 라이트와 시스템이 통합되어 용맹 모드에서 5분, 생존 모드에서 3분으로 정화통 유지시간이 증가했다.

상점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가격은 갯수당 군용탄 10개, 레인저 난이도에선 7개다. 단 구매할 때마다 가격이 점점 비싸지며, 게임 진행중 정화통 파밍이 가능하고 특정 NPC가 아르티옴에게 정화통을 지급하니 굳이 살 필요가 없다.

게임상 허용으로 방독면을 장비한 상태에서 물에 빠져도 정화통이 멀쩡하다. 현실에선 방독면 정화통은 탄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에 빠지면 그 정화통은 아예 못쓰게 된다. 물론 현실 그대로 구현했다면 게임 난이도가 껑충 뛰었을테니 이 요소는 아예 빼버린 듯 하다.

4. 아르티옴손목시계

파일:external/static1.wikia.nocookie.net/300px-2011-04-22_00002.jpg

Metro-Made Watch

아르티옴의 손목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손목시계. 게임 중 T(리덕스에선 Y)를 누르면 아르티옴이 왼손의 시계를 본다. 시계에는 현재 시간[2]과 은폐 상태, 방독만 장착중엔 현재 정화통의 남은 시간을 알려준다. 오리지널에선 일반적인 아날로그 시계 디자인이지만 리덕스 용맹 모드로 플레이하면 닉시관을 이용한 디지털 시계를 사용한다.

은폐 상태 표시기는 오리지널의 경우 초록, 노랑, 빨강 LED로 세분화되며, 초록은 완전 은폐 상태, 노랑은 약간 노출된 상태, 빨강은 완전히 노출된 상태를 의미한다. 추가로 아래의 위장복을 입으면 은폐 상태 표시기의 불빛이 완전히 꺼질때도 있는데 이때는 초록 이상으로 적들에게 감지되지 않는다. 대놓고 앉아서 옆을 지나가도 모르는 수준. 리덕스는 라스트 라이트와 통합되어 하나의 파란색 LED 하나가 켜지고 꺼지면서 노출/은폐 상태를 좀더 직관적으로 알려준다.

정화통 타이머는 오리지널의 경우 초록, 노랑, 빨강의 눈금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빨강에 다다르면 정화통을 갈아끼울때임을 알려준다. 리덕스의 경우 용맹 모드일땐 닉시관 디지털 타이머가 정화통의 남은 시간을 정확히 알려주며, 생존 모드에선 일반 아날로그 시계의 추가 침이 대략적으로 알려준다.

5. 범용 발전기

파일:external/static1.wikia.nocookie.net/255px-Universal.jpg

Universal Charger

베데엔하에서 여행을 떠날 때 무기점 아저씨가 하나 준다. 이 게임에서 전력을 소모하는 아이템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야시경손전등. 야시경은 전력이 없으면 아예 작동하지 않으며 손전등은 그 밝기가 비루해진다. 틈이나는대로 F키를 꾹 눌러서 꺼내 충전해두자.

원작에서는 풀충전일 때도 계속 충전할 수 있었고, 충전 모션이나 사운드도 후속작들에 비해서 훨씬 부드럽고 찰진 덕분에 몰래 기절시키지도 못하는 원판에서 불살 엔딩을 위해 터널 한구석 어두운 구석탱이에서 적들이 지나가기만을 바라던 플레이어들의 심신 안정에 큰 도움이 되었다.

리덕스에선 F키를 누르고 있을때만 발전기를 꺼내며, 풀 충전일땐 특유의 "삑-" 소리와 함께 발전기를 꺼내지 않는다.리덕스판의 가장 아쉬운 점

6. 구급상자

파일:Medkit_isometric_M2033.webp

Medkit

아르티옴의 체력을 회복시켜주는 구급키트. 키보드 기준 Q키를 눌러서 사용하며 사용 시 아르티옴이 노란색 구급키트 상자를 열어 주사기 하나를 꺼내서 사용한다. 최대 소지량은 5개. 상점에서 군용탄 10개(레인저 난이도 8개)를 지불하고 구매할 수 있으며 리덕스에선 소지 중인 구급상자를 팔아버릴 수 있다.

낮은 난이도에선 아르티옴의 체력이 지속적으로 회복되기 때문에 사용할 일이 적지만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자동 회복이 거의 불가능하고 한대 한대가 치명적이라 사용량이 증가한다.

다만 필드나 사람 시체에서 주울 수 있는 구급상자도 상당하기 때문에 아끼다가 죽기보단 자주 써주는게 좋으며, 리덕스에선 되팔수도 있으니 상점에 들릴때마다 전부 팔아도 무방하다.

7. 위장복/방탄복

무기고 역 챕터에서 처음 볼 수 있다. 이 챕터를 벗어나면 한참 후에나 방탄복만 살 수 있게 되니 웬만하면 둘 중 하나는 사 두자. 무기고 역 챕터 마지막 부분에서 전장으로 향하는 수송열차에 숨어 타기 전 오른쪽에 보면 두 남자가 서 있고 각각 위장복과 방탄복을 팔고 있다.

위장복은 노출도를 1레벨 낮춰준다. 때문에 노출 표시기의 불빛이 완전히 꺼질때도 있는데, 이때는 바로 옆을 앉아서 지나가도 적들이 눈치를 못챈다. 방탄복은 말 그대로 데미지를 줄여주는데, 총 데미지는 물론 근접데미지도 줄여준다. 프론트라인-블랙 스테이션 챕터까지는 은신플레이가 가능하기에 위장복이 쓸모가 있다. 단 그 뒤의 챕터들은 거의 무조건 적에게 발각되면서 진행된다.

아머리 뒤의 프론트라인은 적을 한명도 죽이지않고 지나가면 도전과제와 모럴포인트를 얻기 때문에 이를 얻고자 한다면 위장복이 좀더 유리하지만 만일 모든 적을 죽이는 학살 플레이를 지향한다면 당연히 방탄복을 권한다. 참고로 방탄복은 폴리스에서도 한번 더 구입할 수 있다.

리덕스에서는 위장복과 방탄복 모두 삭제되었고[3], 나이트 비전은 프론트라인 챕터에서 찾아야 한다.[4]

[1] 단 정화통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방독면을 장착하면 이 30초의 유예시간이 초기화되기 때문에 이론상 30초마다 방독면을 쓰고 바로 벗으면 정화통 소모량을 극한으로 줄일 수 있다. 물론 게임에 익숙해지면 정화통이 차고 넘치기 때문에 굳이 이렇게까지 할 필요는 없다.[2] 게임 속 시간이 아닌, 컴퓨터에서의 시간이다. 즉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고 있는 현실 시간을 표기한다는 뜻.[3] 대신에 챕터를 깨면서 자동으로 얻는데 초중반에 아머리의 대장장이 앤드류에게서 자동으로 작업복을 획득하는데 이것이 위장복을 대신하며 중후반에 스파르탄에선 전투복을 자동으로 갈아입는다. 실제로 원작에서도 초반 강도 역부터 시작해서 절정에 이르는 무기고 챕터(붉은 라인vs제 4제국)까진 은신이 주력이 되지만, 그 이후부터는 거의 대부분 발각된 채로 전투를 진행한다.[4] 위치는 시작지점 뒤편에 보초 둘이서 순찰 도는 곳에 하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붉은 라인의 부상병들이 있는 공간 뒤편의 지하로 내려가는 통로(방독면 착용 필수)에 하나 있다. 여기서 얻지 못한다면 다음 챕터의 시작 지점이나 검은 역 챕터 시작 지점에서 확보 가능하니 알아두자. 여기서도 끝끝내 얻지 않았다면 스파르탄 기지까지 가서 마지막으로 획득할 기회를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