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23:07:59

메시에 32

NGC 221에서 넘어옴
파일:Andromeda Outline.png
[[안드로메다자리#구성원|안드로메다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
알페라츠
Alpheratz
베타성
미라크
Mirach
감마성
알마크
Almach
델타성
안드로메다자리 델타
δ And
엡실론성
안드로메다자리 엡실론
ε And
제타성
시무
Shimu
에타성
쿠이
Kui
세타성
안드로메다자리 세타
θ And
이오타성
라살나카
Rasalnaqa
카파성
카팔무살살라
Kaffalmusalsala
람다성
우드카두아
Udkadua
뮤성
안드로메다자리 뮤
μ And
누성
안드로메다자리 누
ν And
크시성
아딜
Adhil
오미크론성
안드로메다자리 오미크론
ο And
파이성
안드로메다자리 파이
π And
로성
안드로메다자리 로
ρ And
시그마성
안드로메다자리 시그마
σ And
타우성
안드로메다자리 타우
τ And
웁실론성
티터윈
Titawin
피성
군난먼
Junnanmen
카이성
안드로메다자리 카이
χ Andri
프시성
안드로메다자리 프시
ψ And
오메가성
안드로메다자리 오메가
ω And
플램스티드 명칭 순
안드로메다자리 1
안드로메다자리 2
안드로메다자리 3
안드로메다자리 4
안드로메다자리 5
안드로메다자리 6
안드로메다자리 7
안드로메다자리 8
그 외 안드로메다자리에 속한 항성
안드로메다자리 S 안드로메다자리 AE - -
}}}}}}
}}}
[ 심원천체 ]
||<width=9999><-4><nopad>
산개성단
||
NGC 752
(C28)
NGC 272 NGC 956 NGC 7686
구상성단
메이올 II AndI-GC1 G76 RBC EXT8
성운
푸른 눈덩이 성운(NGC 7662)
은하 및 우주 거대 구조
안드로메다은하
(메시에 31)
메시에 32 메시에 110 은조각 은하
(C23)
Arp 273 NGC 5 NGC 6 NGC 11
NGC 13 NGC 19 NGC 21 NGC 27
NGC 39 NGC 43 NGC 48 NGC 49
NGC 51 NGC 76 NGC 79 NGC 80
NGC 81 NGC 83 NGC 85 NGC 86
NGC 90 NGC 93 NGC 94 NGC 96
NGC 97 NGC 108 NGC 109 NGC 112
NGC 140 NGC 149 NGC 160 NGC 169
NGC 181 NGC 183 NGC 184 NGC 214
NGC 218 NGC 226 NGC 228 NGC 229
NGC 233 NGC 243 NGC 252 NGC 258
NGC 260 NGC 262 NGC 280 NGC 304
NGC 317 NGC 389 NGC 393 미라크의 유령
(NGC 404)
NGC 425 NGC 431 NGC 477 NGC 512
NGC 513 NGC 523 NGC 528 NGC 529
NGC 531 NGC 536 NGC 542 NGC 551
NGC 561 NGC 562 NGC 573 NGC 590
NGC 591 NGC 605 NGC 620 NGC 653
NGC 662 NGC 668 NGC 712 NGC 721
NGC 732 NGC 746 NGC 753 NGC 759
NGC 797 NGC 801 NGC 812 NGC 818
NGC 828 NGC 834 NGC 841 NGC 845
NGC 846 NGC 834 NGC 841 NGC 845
NGC 846 NGC 847 NGC 920 NGC 933
NGC 937 NGC 946 NGC 980 NGC 982
NGC 995 NGC 996 NGC 999 NGC 1000
NGC 7440 NGC 7445 NGC 7446 NGC 7449
NGC 7618 NGC 7640 NGC 7707 NGC 7831
NGC 7836 IC 43 IC 46 IC 65
IC 178 IC 179 IC 239 IC 1525
IC 1534 IC 1535 IC 1536 IC 1540
IC 1541 IC 1542 IC 1543 IC 1544
IC 1545 IC 1548 IC 1550 IC 1583
IC 1584 IC 1585 IC 1586 IC 1647
IC 1675 IC 1683 IC 1799 IC 5355
IC 5355 IC 1683 IC 1799 IC 5355
IC 5369 IC 5370 IC 5371 IC 5372
IC 5373 IC 5376 Arp 145 Arp 282
안드로메다 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I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IV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V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V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V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VI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IX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I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IV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V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V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V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VI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IX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X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X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X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XI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IV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V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V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V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VIII 왜소은하
안드로메다 XIX 왜소은하 도나티엘로 I 3C 66A UGC 1886
NGC 70 은하군
NGC 70 NGC 67 NGC 68 NGC 69
NGC 71 NGC 72 NGC 74 PGC 1208
Abell 262
NGC 708 NGC 679 NGC 687 NGC 700
NGC 703 NGC 704 NGC 705 NGC 709
NGC 710 NGC 714 NGC 717 IC 1732
Abell 347
NGC 910 NGC 898 NGC 906 NGC 909
NGC 911 NGC 912 NGC 913 NGC 914
NGC 923 3C 66B
}}}||
틀:별자리 · 안드로메다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메시에 천체
M31
안드로메다은하
안드로메다자리의 막대나선은하
M32
메시에 32

안드로메다자리의 타원은하
M33
삼각형자리 은하
삼각형자리의 정상나선은하
NGC 천체 목록 201-300
New General Catalog 201-30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5px;"
NGC 201 NGC 202 NGC 203 NGC 204 NGC 205 NGC 206 NGC 207 NGC 208 NGC 209 NGC 210
NGC 211 NGC 212 NGC 213 NGC 214 NGC 215 NGC 216 NGC 217 NGC 218 NGC 219 NGC 220
NGC 221 NGC 222 NGC 223 NGC 224 NGC 225 NGC 226 NGC 227 NGC 228 NGC 229 NGC 230
NGC 231 NGC 232 NGC 233 NGC 234 NGC 235 NGC 236 NGC 237 NGC 238 NGC 239 NGC 240
NGC 241 NGC 242 NGC 243 NGC 244 NGC 245 NGC 246 NGC 247 NGC 248 NGC 249 NGC 250
NGC 251 NGC 252 NGC 253 NGC 254 NGC 255 NGC 256 NGC 257 NGC 258 NGC 259 NGC 260
NGC 261 NGC 262 NGC 263 NGC 264 NGC 265 NGC 266 NGC 267 NGC 268 NGC 269 NGC 270
NGC 271 NGC 272 NGC 273 NGC 274 NGC 275 NGC 276 NGC 277 NGC 278 NGC 279 NGC 280
NGC 281 NGC 282 NGC 283 NGC 284 NGC 285 NGC 286 NGC 287 NGC 288 NGC 289 NGC 290
NGC 291 NGC 292 NGC 293 NGC 294 NGC 295 NGC 296 NGC 297 NGC 298 NGC 299 NGC 300
NGC 101-200 NGC 301-400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초록색 바탕은 불명인 천체.
}}}}}}}}} ||
NGC 천체
NGC 220
큰부리새자리의 산개성단
NGC 221
안드로메다자리의 타원은하
NGC 222
큰부리새자리의 산개성단
M32
메시에 32
Messier 32
<nopad> 파일:메시에 32.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0h 42m 41.832s
적위 +40˚ 51˝ 55´.03
별자리 안드로메다자리
겉보기 등급 8.08
물리적 성질
형태 cE2형 타원 은하
거리 763(±24) kpc
249(±8)만 광년
질량 3×109M
운동 시선속도 -199.961597(±5.99585) km/s
(적색편이량 : z = −0.00067)[1]
규모
장축 지름 6,500(±200) 광년
겉보기 크기 8′.7 × 6′.5
명칭
M32, NGC 221, UGC 452, PGC 2555, Arp 168

1. 개요2. 역사3. 특징4. 위치 및 찾는 방법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Messier 32 / NGC 221

메시에 32안드로메다자리에 위치한 타원 은하이자, 안드로메다은하의 위성은하이다. 1749년 르장틸이 발견하였다.

2. 역사

파일:external/messier.seds.org/m31m.jpg
샤를 메시에가 그린 안드로메다 대성운[2]

1749년 10월 29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기욤 르장틸(Guillaume Le Gentil)이 발견하였다. M32는 인류가 발견한 최초의 타원은하이다. 그 후 1757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독자적으로 재발견한 후 1764년 8월 3일 메시에 천체 목록을 작성하며 추가하였다.

3. 특징

메시에 32는 왜소 타원 은하로 비슷하게 생겨먹은 M110과 함께 안드로메다은하의 위성은하이며 국부 은하군의 구성원이다. 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규모는 태양 질량의 250만 배 수준이고, 지구와의 거리는 약 250만 광년 떨어져 있다. 은하의 지름은 약 6,500광년, 겉보기등급은 8.1등급으로 작지만 밝은 편이다. 타원 은하답게 늙고 오래된 별들로 이루어져 있다.

거리는 표면밝기 요동[3] 및 TRGB[4]를 이용해 안드로메다 은하와 같은 거리값을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안드로메다 은하의 뒤쪽에 있을 경우 관측되어야 하는 소광 및 적색화가 관측되지 않기 때문에 안드로메다 은하의 앞쪽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구우리 은하 내부에 속해 있어서 우리 은하가 밤 하늘에 한 줄기 빛구름처럼 보이지만 M32는 안드로메다 은하와 매우 가까운 거리로 떨어져있다. 따라서 M32에서 관측을 한다면 밤 하늘의 절반 이상을 안드로메다 은하가 차지하고 있는 장관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형성과정에 의문이 있는데, 일부에서는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분리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최근의 관측과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처음에는 나선 은하였으나 안드로메다 은하의 강한 조석력에 의해 나선팔에 있던 별들과 성간 물질들을 잃어버리고 핵만 남아 타원 은하로 변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흩어진 별들과 가스들은 안드로메다 은하에 흡수된 것으로 보인다. 형성 이후 2억년 전 안드로메다 은하를 가로질러 충돌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과정이 다시 진행되고 있다는 의견이 있다. 이 과정에는 20억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M32의 별 들 사이에서 몇 개의 행성상 성운을 찾았지만 산개성단과 같은 비교적 젊은 별들과 새로운 별들을 만들어 낼 가스나 먼지, 중성 수소등을 찾지 못하였다. 즉 M32는 더 이상 별들을 생성하지 못 할 것이다.

중심부에는 태양질량의 약 100~500만 배 질량의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심부에서 별의 큰 속도분산이 확인되며, 블랙홀의 가스 강착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는 약한 전파와 X선 방출이 관찰된다.

현재 약 200km/s의 속도로 우리와 가까워 지고 있는데 우리 은하안드로메다은하의 충돌 전에 이미 안드로메다 은하에 흡수 될 것으로 추정된다.

신성이 매우 자주 생기는 것으로 보이는데, 가장 최근에 발견된 것은 1998년 8월 31일에 UC버클리 천문학팀이 발견하였으며 광도는 16.5등급이었다. 아직 초신성은 발견된 기록이 없다.

4. 위치 및 찾는 방법

사실상 안드로메다은하를 찾는 방법과 동일하다.
파일:external/freestarcharts.com/M31_M32_M33_M110_Finder_Chart.jpg
파일:external/www.space.com/091021-andromeda-02.jpg
1. 가을철 사각형을 이루는 페가수스자리의 북동쪽 꼭지점이자 안드로메다자리 알파(α)인 알페라츠[5]를 찾는다.

2. 알페라츠에서 북동쪽으로 뻗어나가는 두 개의 2등성[6] 중 첫 번째인 미라흐를 찾는다.

3. 미라흐에서 북서쪽으로 3등성인 안드로메다자리 뮤(μ)가 있다. 이 둘 사이의 거리만큼 뮤의 북서쪽으로 연장하면 그 자리에 안드로메다 은하가 자리하고 있다.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찾아오는 방법도 있지만 중간에 밝은 이정표가 없어 헤매는 경우가 많으므로 알페라츠에서 찾아가는 방법이 권장된다.

5. 여담

유니버스 샌드박스에도 등장하는데 M32가 비교적으로 크다. 안드로메다 은하보다 훨씬 클 정도. 지금은 수정됐다.

6. 둘러보기

메시에 천체 목록
Messier catalo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M1 M2 M3 M4 M5 M6 M7 M8 M9 M10
M11 M12 M13 M14 M15 M16 M17 M18 M19 M20
M21 M22 M23 M24 M25 M26 M27 M28 M29 M30
M31 M32 M33 M34 M35 M36 M37 M38 M39 M40
M41 M42 M43 M44 M45 M46 M47 M48 M49 M50
M51 M52 M53 M54 M55 M56 M57 M58 M59 M60
M61 M62 M63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4 M65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6 M67 M68 M69 M70
M71 M72 M73 M74 M75 M76 M77 <colcolor=#373a3c> M78 M79 M80
<rowcolor=#373a3c> M81 M82 M83 M84 M85 M86 M87 M88 M89 M90
<colbgcolor=#87cefa,#44677d> M91 M92 M93 M94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5 M96 M97 <colbgcolor=#87cefa,#44677d> M98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9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100
M101 M102 M103 M104 M105 M106 M107 M108 M109 M110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 ||

[[국부 시트|거인의 의회
Council of Giants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e9e9e9,#2c2d30><-7> 질량 순 ||
파일:ESO_Centaurus_A_LABOCA.jpg
파일:우리 은하 이미지 02.png
파일:andromeda galaxy.jpg
파일:마페이1.jpg
파일:external/www.messier-objects.com/Messier-81.jpg
파일:1000006287.jpg
파일:external/cdn.spacetelescope.org/heic1403b.jpg
센타우루스자리 A
우리 은하
안드로메다은하
마페이 1
보데 은하
조각가자리 은하
남쪽바람개비 은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M82_HST_ACS_2006-14-a-large_web.jpg 파일:컴퍼스자리 은하.png 파일:1000006288.jpg 파일:1000006289.png 파일:1000006290.jpg 파일:external/www.messier-objects.com/Messier-94.jpg 파일:Euclid’s_view_of_spiral_galaxy_IC_342_ESA25170723.jpg
시가 은하
컴퍼스자리 은하
NGC 4945
검은 눈 은하
마페이 2
고양이 눈 은하
IC 342
기타 은하
新 거인의 의회 舊 거인의 의회
파일:1000004648.jpg 파일:NGC 2403.png 파일:external/www.messier-objects.com/Messier-32.jpg
NGC 300
NGC 2403
M32p
거인의 의회에는 # 논문에서 인용된 국부 시트 은하의 태양질량 로그값이 10 이상인 은하들이 포함된다.
※ NGC 2403/NGC 300의 경우 최근 연구결과에서 항성질량의 로그값이 10을 넘는 수치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M32p의 경우 원래 거인의 의회의 일원이었으나, 안드로메다은하와의 상호작용으로 은하의 대부분이 안드로메다은하에 흡수되었다.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국부 시트 · 처녀자리 초은하단



[1] 음수는 청색편이를 의미한다.[2] 이 당시에는 은하라는 개념이 없어 희끄무리해 보이면 죄다 성운이라고 하였다.[3] 가까운 은하일수록 표면밝기의 분산값이 커지는 현상을 이용한 거리측정법.[4] 적색거성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광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을 이용해 은하를 구성하는 적색거성의 최대 겉보기등급을 통해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5] 또는 시라흐라고도 불린다. 둘다 뜻은 '말의 배꼽'[6] 가까운 것이 미라흐, 멀리 있는 것이 알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