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01:14:43

이개혈종

만두귀에서 넘어옴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이개혈종(耳介血腫, otohematoma)은 의 연골이 피부로부터 떨어져나가 그 빈 공간에 피가 차 만들어지는 일종의 타박상이다.

일본어로도 라고 하며 만두귀라고 하여 단어 그대로 사용한다.

2. 상세

귀가 만두처럼 붓기 때문에, 일명 '만두귀'라고 불린다. 영미권에선 'Cauliflower Ear(양배추 귀)'라고 불린다. 투기 종목, 그 중에서도 주로 유도, 주짓수, 레슬링[1]그래플링 계열의 격투기 수련자에게 생기는 것으로 유명하다. 굳이 그래플링이 아니더라도 생길 수 있다. 타격기 클린치 기술이 있는 무에타이[2] 또한 만두귀가 생길 수 있으며 심지어 헤드기어를 끼는 태권도, 아마추어 권투에서도 생길 수 있다. 투기 종목 이외에도 구기 종목임에도 매우 거칠기로 유명한 미식축구럭비에서도 나타나며 일상 생활에서도 가끔 귀를 어디 잘못 쓸리거나 어디 세게 부딪혀서 만두귀를 얻기도 한다.

이때 이 피를 빼지 않고 연골이 피부에 다시 붙도록 관리를 해주지 않으면 피가 찬 그대로 만두귀/양배추귀가 되며, 연골이 괴사하기 때문에 귀의 모양도 흉해진다. 크게 위험한 건 아니지만 부풀려진 정도가 심하면[3] 외이도가 협소해져서 이어폰이 안들어가고 청력이 저하되는 일도 일어난다.

이렇듯 만두귀는 곧 격투기를 전문적으로 수련했다는 증표이자 강함의 상징으로 통하며, "만두귀에겐 절대로 싸움걸지 말라."는 말도 전해질 정도. 귀가 저 지경이 되도록 격투기를 최소 연 단위로 단련한 사람들이기에 일반인이 어떻게 감당할 레벨이 아닌 것이다. 이토록 강인해 보이는 인상을 줄 수도 있어 일부러 만두귀를 얻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으나, 엄연히 부상의 일종이기 때문에 일부러 만드는 것은 상당히 좋지 않다.

물론 개인마다 체질 차이는 있어 모든 격투가들이 다 만두귀인건 아니다. 영장류 최강이라 불리는 알렉산드르 카렐린이나 표도르 예멜리야넨코등 전문적으로 격투기를 수련 했음에도 귀가 멀쩡한 사람들도 있다.

역사적으로도 만두귀는 강함의 상징으로 통하여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의 동상 유물 중 만두귀를 묘사한 작품도 있다. 당대 유행하던 격투기인 팡크라티온이나 레슬링 선수들이 수련하는 과정에서 부상이 반복되어 만두귀를 얻는다는 것은 이미 그 당시에도 잘 알려졌던 것이다.

고양이 같은 동물들에게도 발생하는데,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귀가 가려워서 뒷발로 귀를 세게 긁다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애완동물로 키워지는 경우 외모가 흉해지기 때문에 대부분 동물병원에서 수술로 치료한다.

참고로 만두귀의 일종으로 납짝귀라는 것도 존재한다. 일반적인 만두귀는 귀의 바깥쪽 입구 주변에서 연골 손상+출혈이 일어났다가 굳으며 귀 입구의 모양이 변하는 것인데, 납짝귀는 귀의 입구가 아닌 귓바퀴/귓불 뒤쪽에 보이지 않는 부분의 연골이 변형되어(귀 뒷부분이 울퉁불퉁하다.) 귀가 마치 옆에서 누른 것처럼 얼굴에 바짝 붙어있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사실 만두귀와 비교해 보면 이쪽이 더 무서운 쪽인데, 만두귀야 눈에 쉽게 보이니 피한다 쳐도 납짝귀는 귀가 얼굴에 바짝 붙어있는 사람들 중 귓바퀴 뒤쪽이 울퉁불퉁한지까지 확인해야 하다 보니 피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1] 이 때문에 귀보호대를 낀다. 보호대를 껴도 생길 사람은 생긴다.[2] 무에타이에서는 빰클린치 기술 특성상 한 쪽 귀만 만두귀가 되기도 하는데, 룸피니 챔피온 출신으로 331전 285승의 기록을 가진 '센차이'의 경우 사우스포이기에 왼쪽 귀만 만두귀고, 오소독스인 '쁘아까오'는 오른쪽 귀만 만두귀다.[3] 안토니오 호드리고 노게이라랜디 커투어 정도로 심각할 때 이야기이니 약간 부풀려진 정도로는 걱정 안 해도 된다. 만두귀인 김동현도 듣는 데에는 지장 없다고 말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7
, 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