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8-18 21:43:26

리투아니아 탈로나

파일:lithuania-29.jpg파일:lithuania-39.jpg
Talonas

1. 개요

1. 개요

리투아니아에서 임시로 쓴 화폐. 전신은 소비에트 루블이며, 이후 리투아니아 리타스로 계승되었다. ISO 4217코드는 LTT이며, 특별히 기호는 없었다. 단수형은 탈로나스, 복수형이 탈로누, 탈로누스, 탈로나인데 명확한 구분은 이미 쌈싸먹은지 오래고, 끝에 's'를 흔히 영어식 복수형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아, 주로 '탈로나'로 기억해주는 편이다. 당시 소비에트 루블도 통용이 가능했고 탈로나는 일종의 보조화폐로 사용되었다.

소련 해체 후 러시아만큼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리투아니아는 가파른 인플레로 고생하고 있었다. 첫번째로는 독립 후에 러시아와 무역이 크게 줄어나가고 원자재를 더 이상 싼가격에 구입할수없었던데다가 타 CIS국가들이나 동구권 국가들과의 무역도 그리 신통치 않았고[1], 그렇다고 서방의 지원이 적극적인게 아니었고 무역도 크게 늘어난것도 아니었다. 거기에 더해 가격 자유화 조치까지 겹치면서 경제력 자체가 한 동안 리셋되다시피 한 것. 덕택에 탈로나가 통용되던 시기의 수치만 보면 1991년 225%, 1992년 1100%, 1993년 409%를 기록했다. 그나마 1994년부터 미국 달러 페그를 통해, 표면적으론 크게 줄여나갔다. 1999년에 현재와 비슷한 1%대를 찍었다.

이런 이유로 상당히 독특한 지불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소비에트 루블을 전량 교환해주는 방식 대신에, 월급의 20%를 탈로나로 지급하였고(최대 200탈로나), 공식상점에서 식료품 외 물품 구매를 무조건 루블과 탈로나로 동시에 지불하게 한 것이다. 예를들어 옷 한 벌에 100루블이라 한다면, 이걸 살 때 반반씩 내는 것도 아니고 100루블과 100탈로나를 동시에 지불해야 했다. 즉, 최대소비액수를 200루블로 한정시켜 소비를 강제로 줄여내 넘쳐나는 수요량을 끌어내리겠다는 심보.

하지만 애초에 생산량 자체가 늘어나는 대책도 아니고, 집이나 자동차같은 생활과 밀접한 고가품을 구매하기 위해서라도 수십년을 모아야만 하는 부작용이 있었다.(월 200탈로나가 최고치다보니) 게다가 판매량이 지나치게 제한되다보니 생산자가 한꺼번에 몰리며 병목현상이 터지는 기형적인 유통구조가 되었고, 근본적으로 탈로나가 완전히 루블화로부터 독립하지 못했기 때문에, 물가의 폭등을 원천적으로 막는 것이 불가능했다. 쉽게 말하면 힘들게 벌어들인 돈이 모두 휴지조각으로 변하는 과정을 손가락이나 빨며 지켜봐야만 했다는 것이다.

긍정적인 면이 아주 없는 건 아니긴하다. 일단 하이퍼인플레에 도달할 시간을 벌어다 준 건 확실하며, 반 강제적이긴 하지만 국민저축률이 크게 늘었다.[2] 문제는 현금 없는 통장 부자라는 현실이겠지만. 마치 지금의 나우루 국민들처럼.

이로 인해 국민들이 자국 통화를 믿지 못하고 월급을 물건으로 받아가게 되었고, 달러와 암시장을 더 선호하게 만든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다. 이것이 완전히 해소되기까지는 위와 같은 제도 폐지 이후로 8년이나 걸렸다. 그래도 이정도면 혼란기 치곤 짧은거다.

도안들이 모두 동물들로만 이루어져 있어, "동물원 쿠폰"이라 불렸다. 당시 사람들은 이걸로 거래하는 걸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위와같이 너무 제한이 많았던 것도 그렇지만, 질 자체도 매우 조잡했던 것이 이유 중 하나.

리타스로 전향한 1993년 7월 이후로는 많은 양이 회수되었는데, 잘게 분쇄된 후 제지공장으로 보내져, 화장지로 재활용되었다.

동전은 없었다.


[1] 이때 폴란드와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라고 해서 사정이 딱히 다른건 아니었다.[2] 저축률은 개발도상국의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다. 다만 소련의 경우에는 국민저축률이 꽤 높았기는 했다. 저축된 금액이 1990년대 혼란기속에서 휴지조각이 되어버려서 문제였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