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8:43:41

리메멘토 - 하얀 그림자/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리메멘토 - 하얀 그림자|리메멘토 - 하얀 그림자]]

1. 개요2. 오픈 초기의 낮은 퀄리티와 버그 문제3. 2025년 4월 16일 유저 적대적 패치

1. 개요

리메멘토 - 하얀 그림자의 논란과 사건 사고를 정리한 문서.

2. 오픈 초기의 낮은 퀄리티와 버그 문제

파일:리메멘토 초반 버그.png

오픈 초기 버그 목록 [ 펼치기 · 접기 ]
  • 2024년 12월 19일 수정된 버그
    • 오타 및 텍스트 오류
    • 특정 퀘스트 진행 불가 현상
    • 일부 기기에서 그래픽이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문제
    • 상시 가챠에 특정 아이템이 누락된 문제

  • 2024년 12월 21일 수정된 버그
    • 루미넌스 구매 시 가끔 튕기던 현상
    • 퀘스트 클리어 후 에러 및 접속 불가 현상
    • 이벤트 알람 노출 오류
    • 뽑기 부산물 상점 구매 가능한 개수 오류
    • 월정액 연출 씹히는 문제
    • 에픽 스토어 결제 관련 오류

  • 2024년 12월 23일 수정된 버그
    • 공중 부양 이탈 불가 버그
    • 다계정 로그인 시 겹침 현상(아이템, 맵 정보 등)
    • 우편 만료 알람 오류
    • 특정 환경에서 그래픽이 비정상적으로 보이는 문제
    • 필드에서 특정 상자를 열 수 없는 문제
    • 일부 요리 버프 오류
    • 필드 전투 시 멈추는 현상
    • 경험치책 표기 오류

  • 2025년 1월 1일 수정된 버그
    • 맵 갇힘/끼임 버그
    • 간헐적으로 이사니아 추가턴이 발생하지 않는 버그
    • 간헐적으로 긴급탈출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버그
    • 랭킹전 티켓 시간 표시 오류
    • 친구 행동력 수령 버그

  • 2025년 1월 8일 수정된 버그
    • 낚시 미끼를 구매할 수 없는 버그
    • 특정 퀘스트에 NPC가 노출되지 않는 버그
    • 사념의 단편에서 속도 세트 6성 바지가 드랍되지 않는 버그

  • 2025년 1월 22일 수정된 버그
    • 니모닉 센스 사용 후 강조 연출이 남아있는 버그
    • 일부 지형 맵뚫 버그
    • PvP 결과창 비정상적 연출 버그
    • 특정 상황에서 베아트리스 패시브가 발동하지 않는 버그
    • 로마자 표기 오류
    • 간헐적으로 호감도 UI에서 모든 캐릭터가 잠금되던 버그
    • 호감도를 올릴 수 없는 캐릭터에게 호감도 아이콘이 나오던 버그
    • 탈것 탑승 중에 NPC와 대화 시도시 카메라 시점 버그
    • 탈것 탑승 중 지역 이동이 안되던 버그
    • 하진의 궁극기 피해 미적용 버그
    • 특정 전투 상황에서 캐릭터들이 땅에 파묻히는 버그
    • 특정 위치에서 점프시 공중부양하는 버그
※해당 목록에서 언급되지 않은 버그도 다수 존재.

오픈 초반에는 게임이 제대로 구동되지 않을 정도로 수많은 버그가 존재했다. 심지어 CBT에서 발견된 버그들 조차도 일부는 고쳐지지 않은 채로 출시되었다. 또한 다른 게임들에는 당연하게 존재하고 있는 각종 편의성 기능들이 누락되어 있었으며[1], PvP를 내세운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랭킹전 점수 규칙이 적절하지 못해서 플래티넘 랭크 이상은 올리는 게 거의 불가능할 정도였다. 게임으로서 기본도 갖추지 못한 상태로 성급하게 출시했다는 평가를 피할 수 없었으며, 수많은 유저들이 게임을 시작하기도 전에 떠나가는 계기가 되었다.

이슈에 대한 대처도 미흡했다. 던전 보상 상향을 예고하면서 기존에 던전을 돈 사람들에게 소급적용에 대해 설명하지 않아 불만을 사기도 했으며, 개발자 노트에서 글로벌 서버 오픈 일정을 발표하면서 한국 서버는 테스트서버냐는 불만을 사기도 했고[2], 재화 누락 오류가 있던 PvP티켓 패키지를 사전 예고 없이 판매 중단하기도 했다.

이러한 이슈들에 대해서 게임사 측에서는 여러 차례 사과문을 올리고 개선을 약속하며 사과 보상을 배포했다. 오픈 한달 동안 매주 사과 보상이 끊이지 않았다. 바꿔말하면 매주 새로운 이슈가 터지고 사과문이 올라오기를 반복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2025년 1월 17일, 공식 방송에서 총괄PD와 디렉터가 오픈 초기의 각종 이슈들을 되짚으며 사과했다.# 완성도가 낮은 상태로 게임이 출시된 이유는 QA단계의 미숙함이 큰 원인이었으며, 변명할 여지가 없고 매우 죄송하다고 밝혔다. 또한 방송 당일 기준으로 많은 이슈들이 이미 해결되었거나 해결 중이며, 앞으로는 이러한 이슈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을 약속했다.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점차 개선되고는 있지만, 이미 실망하고 떠난 유저들의 마음을 돌리려면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2025년 4월 16일 유저 적대적 패치

2025년 4월 16일 1.3버전 패치로 유저들이 수급할 수 있던 재화가 싸그리 사라지는 쪽으로 개악되었다.#

핵심은 공용 돌파권이 증발해버렸다는 점인데, 리메멘토는 돌파가 무려 12단계까지 있는 대신 주기적이고 여러 방법으로 공용 돌파권을 수급할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사실상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에 있는 여신석 등의 재화와 비슷하게 게임상에서 얻을 수 있는 공용 재화라고 봐도 무방했는데, 개발진이 캐릭터가 12돌파까지 있는 것이 사람들에게 안 좋은 인식을 심어준 것 같다며 5돌파로 줄이는 패치를 진행하며 동시에 이 공용 돌파권 수급처를 거의 없애버리다시피 한 것이다. 기존에는 결투장 15회를 플레이하면 1주마다 1개, 이벤트 상점에서 3주마다 1개, 패스 상점에서 공용돌파권만 구입한다고 하면 6주에 2개를 획득할 수 있었는데 이 모든 것을 다 삭제시켜버렸다. 리메멘토의 장점은 명함을 따놓고 게임만 꾸준히하면 풀돌을 찍을 수 있다는 것인데 이제는 가챠를 하지 않으면 절대 풀돌을 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버린 것이다.

또 다른 문제는 이걸 명분으로 샵 리뉴얼을 진행하면서 뽑기권 수급량을 대폭 줄여버렸다. 기존에는 매일마다 일반뽑기권 1개[3]를 줬는데 이걸 여명석 10개로 줄여버렸고 매주마다 한정뽑기권 1개를 주던 것은 아예 삭제, 3주마다 주던 여명석 300개는 100개로 줄였다. 게다가 이벤트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던 일반뽑기권 10개는 5개로 줄였고 패스에서 제공하던 일반뽑기권 9개와 한정뽑기권 9개도 완전히 삭제시켜버렸다. 현재는 이벤트로 한정뽑기권 30개와 일반뽑기권 60개를 주고 있지만 이벤트 기간이 끝나고 나면 어떻게 되는 지 알려진 바가 없다.

재화 문제 말고도 다른 문제도 여럿 있는데, 대표적으로 신규 유저에게 제공하던 초기 5성 선택권을 갑자기 막고 유저에게 후통보 했다.#

돌파권 삭제, 뽑기권 수급량 감소 등 유저 적대적 패치들에 유저들은 각종 커뮤니티에서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로드맵 등의 소통을 통해서 유저들을 안심시키기는커녕 공지사항으로 버그픽스 패치 몇 개만 달랑 올리면서 눈과 귀를 막고있다. 이에 유저들이 대량으로 이탈하였다.

약 일주일이 지난 4월 22일 대표가 공지를 올렸다.# 기존의 BM으로는 게임을 지속하는게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이렇게 바꿀 수밖에 없었다는 해명이다. 그러나 당연하지만 사태 일주일 후에 나온 공지가 이모양이라 유저들의 민심은 더 흉악해졌다. 더 민심이 안 좋을 수밖에 없는 이유가,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100일 기념 방송에서 자랑스레 공개했던 배포 재화의 양이 송두리째 날아갔기 때문이다.# 회사가 글로벌 서버 및 실시간 pvp를 추후 내놓을 것임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의 유저들을 놓치더라도 글섭 출시까지만 버텨보겠다는 계산인 것으로 추정된다.
[1] 던전 결과창에서 아이템 보유 수량을 확인할 수 없고, 일괄 파견이 없어서 하나씩 눌러줘야 하고, 보스를 잡을때마다 컷씬을 봐야 하는 등 불편한 것들 투성이였다. 현재는 전부 개선된 상태.[2] 원래 의도는 글로벌 서버 오픈까지 고려하고 있으므로 서비스 종료를 할 일은 없으니 걱정하지 말라는 뜻이었다고 한다. 또한 미래시 없는 동일 빌드로 통합 관리할 예정이므로 한국 서버를 소홀히 할 생각은 없다고 뒤늦게 밝혔다.[3] 여명석 160개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