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08:42:50

리마솔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의 도시
리마솔
Λεμεσός
width=100% 파일:Limassol_Municipality_Logo.png
<rowcolor=#ffffff> 시기 문장
<colbgcolor=#DC143C> 국가 <colbgcolor=#fff,#19191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키프로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키프로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리마솔 구
면적 124.71㎢
인구 198,558명[A]
인구 밀도 1,600명/㎢[A]
시간대 UTC+2

1. 개요2. 언어별 표기3. 역사4. 경제5. 관광6. 축제7. 스포츠8. 자매도시9. 출신 인물

1. 개요

키프로스의 남쪽 도시. 키프로스 내에서는 니코시아 다음으로 큰 도시이다.

뜬금없게도 국경도시인데, 이웃나라(?)는 영국(령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2. 언어별 표기

그리스어Λεμεσός[3]
튀르키예어Limasol
영어Limassol

3. 역사

리마솔은 기원전 1100년경 고대 그리스인이 세웠다. 기원전 11세기경, 그리스 미케네인들이 정착하며 도시를 세웠고, 아프로디테 숭배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미케네인들은 리마솔 일대에 아마투스라는 고대 도시국가를 세웠다. 암아투스는 오랜 기간 독립 도시국가로 번성하다, 기원전 4세기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으로 헬레니즘 세계에 통합되었다.

그 이후 키프로스가 로마 제국의 속주가 되면서 암아투스도 로마 행정체계에 편입되었다. 7세기~10세기경 아랍인의 침입과 자연재해(지진)로 암아투스가 쇠퇴하자 대체제로 리마솔이 발전하였다. 1191년 제3차 십자군 전쟁 때 잉글랜드의 국왕 리처드 1세의 배가 폭풍우를 만나 키프로스에 도착하였다. 그 때 키프로스의 황제 참칭자인 키프로스의 이사키오스 콤니노스가 그의 예비 신부인 베렝겔라 나바라 왕녀를 인질로 잡았다. 이에 분노한 리처드 1세는 이사키오스를 몰아내고 예비 신부를 구출하였다. 그 이후 리마솔에서 리처드 1세와 베렝겔라 나바라 왕녀와 정식으로 결혼식을 올렸다. 그 이후 리처드 1세는 키프로스를 성전 기사단에 10만 베잔트를 받고 팔아버렸다. 그러나 성전 기사단은 이 지역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였고 결국 기 드 뤼지냥이 예루살렘 왕국의 왕위에서 축출되자 그에게 키프로스 지배권을 내주었고 그는 키프로스 왕국의 국왕이 되었다.

약 3세기(1192-1489) 동안 리마솔은 놀라운 번영을 누렸다. 13세기 키프로스, 특히 리마솔에 상인들이 정착하면서, 상업의 중심지로서 금융 및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키프로스 왕국의 마지막 여왕인 카타리나 코르네르베네치아 공화국에 키프로스를 강제로 매각하였다. 모든 주민들은 베네치아인들에 의해 노예가 되었고, 이곳이 그들의 토지 생산물의 일부인지 여부에 관계없이 소득의 3분의 1을 지불해야했다. 1570년 오스만 제국이 키프로스를 침공하였을 때, 리마솔은 아무런 저항없이 항복하였다. 오스만 제국 시기 리마솔의 기독교인들은 터키인들이 집에 말을 타고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설계된 작은 낮은 집에서 살았다. 또한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터키인들은 리마솔의 발전에 어떠한 기여도 하지 않았다. 정복자들의 관심 부족, 억압, 높은 세금 부과로 인해 키프로스인들의 지적 수준이 저하되어 아이들의 지적 발달이 저해되었다.

1878년 키프로스가 영국의 손에 넘어가자 리마솔의 총독인 워렌 대령은 도로를 청소하고 나무를 심고, 육지에 정박한 배들의 하역을 위해 부두를 건설하는 등 낙후된 리마솔을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영국 점령 초기부터 우체국, 전신국, 병원이 운영되기 시작한 것이다.

1974년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으로 인해 터키계 키프로스인 리마솔 주민들은 키프로스 북쪽으로 이동했다. 그리고 북부에 위치한 그리스계 주민들은 리마솔에 정착하였다. 이로 인해 리마솔은 파마구스타를 대신하여 키프로스의 새로운 상업 중심지로 발돋움하였다. 현재 유럽에서 해운업이 가장 활발한 도시로 고급 관광지, 외국 기업의 본사 밀집되어있다.

4. 경제

원래 리마솔은 낙후된 도시였다. 키프로스의 주요 관광지는 현재 북키프로스 공화국이 다스리는 파마구스타키레니아 였다. 그러나 위의 두 도시는 북키프로스의 차지가 되자 키프로스 관광청은 리마솔을 새로운 관광지로 개발하였다. 리마솔에는 일광욕과 수영에 적합한 해변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 리마솔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산업 중심지로, 약 350개의 산업 유닛과 90개의 산업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이 산업에는 의류 제조, 가구, 신발, 음료, 식품, 인쇄, 금속 가공, 전기 장치, 플라스틱 등이 포함된다.

5. 관광

6. 축제

리마솔은 키프로스에서 특히 카니발과 와인 축제로 유명하다. 리마솔 카니발은 즐겁고 재미있는 가면극으로 가득 찬 열흘간의 행사로, 고대의 뿌리가 이교도 의식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와인의 신인 디오니소스를 기리기 위한 축제였다. 그리고 15세기에서 16세기 사이에 키프로스를 통치했던 베네치아 카니발을 합쳐서 1890년 시작되었다.

카니발은 킹(또는 퀸) 카니발의 입장 퍼레이드로 시작되며, 이어서 어린이들의 화려한 의상 경연 대회가 열린다. 마카리우 거리에서 열리는 그랜드 카니발 퍼레이드에는 섬 전역에서 많은 인파가 몰려들며, 이들은 수레, 세레나데, 그리고 다양한 가면을 쓴 사람들을 보러온다.

10월 초, 키프로스 와인 축제는 매일 저녁 08:00부터 23:00까지 리마솔 공공 정원에서 열린다. 이 축제 기간 동안 방문객들은 최고의 키프로스 와인을 무료로 맛볼 수 있다. 이 행사에서는 키프로스 및 해외 단체들의 민속 춤 공연뿐만 아니라 합창단 공연이 열린다.

7. 스포츠

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에서 리마솔을 연고로 하는 AEL 리마솔아리스 리마솔 FC, 아폴론 리마솔 FC 이렇게 3팀이나 있다.

8. 자매도시

9. 출신 인물


[A] 2021년 1월 1일 기준[A] [3] Lemesó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