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17:18:26

루손섬

루손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루손
NCR
메트로 마닐라
CAR
코르디예라 행정구
제1구
일로코스 지방
제2구
카가얀밸리 지방
제3구
중앙루손 지방
제4-A구
칼라바르손 지방
제4-B구
미마로파 지방
제5구
비콜 지방
비사야 제도
제6구
서비사야 지방
제7구
중앙비사야 지방
제8구
동비사야 지방
민다나오
제9구
잠보앙가반도 지방
제10구
북민다나오 지방
제11구
다바오 지방
제12구
소크사르젠 지방
제13구
카라가 지방
BARMM
방사모로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구
}}}}}}}}}
<colbgcolor=#363><colcolor=#fff> 루손섬
Luzon
파일:루손섬 위성사진.jpg
위치 동남아시아 북부 / 필리핀 북부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필리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필리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면적 109,965km²
행정구역 메트로 마닐라, 6지방, 1행정구
해안선 3,249.6km
최고봉 2,928m(풀락산)
인구 64,260,312명
인구밀도 490명/km²
최대도시 케손시티

1. 개요2. 상세3. 여담

1. 개요

필리핀 북부에 위치한 필리핀 최대의 섬. 면적은 109,965 km²로 남한 면적보다 살짝 더 크고 2019년 기준 인구도 6400만 명으로 남한보다 1000만 가량 더 많다. 세계에서 15번째로 큰 섬이며 자바섬혼슈, 그레이트브리튼섬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섬이다. 수도인 마닐라도 이 곳에 있다.

광의적 의미의 '루손'은 필리핀을 지리적으로 구분하는 세 개의 지역 구분 중 하나로 주섬인 루손섬 뿐만 아니라 민도로섬, 팔라완섬, 마스바테섬, 카탄두아네스섬 등 주변의 제도까지 모두 포함한다.

필리핀을 뜻하는 옛 이름인 여송(문화어:려송)(呂宋)은 이 루손섬을 한문으로 음차한 것이다.

2. 상세

루손이란 지명은 타갈로그어로 절구를 뜻하는 말인 루송(lusong)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시가의 다른 이름인 여송연(呂宋煙)은 이 루손섬에서 나는 향기가 좋고 독한 잎담배를 의미하는 것이다.

농업 생산이 높은 비옥한 지역인데 특히 이 섬의 누에바에시하 지방은 필리핀의 곡창지대로 여겨진다.

중국 남부 특유의 도자기가 루손 차기라는 이름으로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일본에서 대히트한 적이 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호평을 받기도 했다.

루손섬 북동쪽 이사벨라 지역에 필리핀 최초의 토착민으로 여겨지는 두마갓족이 산다.
EBS 다큐, 인류 원형 탐험 - 물고기 사냥꾼 필리핀 두마갓족(Dumagat tribe)
영상

3. 여담



[1] 처음에는 유구국에 표류했다.[2] 이 문순득은 여기서 일로카노어와 필리핀의 여러 문화를 습득하고 돌아와서 정약전의 도움으로 책을 냈으며, 10년 가까이 제주도에 체류 중이던 필리핀인들의 송환을 이뤄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