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시리우스 Sirius | 베타성 미르잠 Mirzam | 감마성 물리페인 Muliphen | 델타성 웨젠 Wezen | |
엡실론성 아드하라 Ahara | 제타성 후루드 Furud | 에타성 알루드라 Aludra | 세타성 큰개자리 세타 θ CMa | |
이오타성 큰개자리 이오타 ι CMa | 카파성 큰개자리 카파 κ CMa | 람다성 큰개자리 람다 λ CMa | 뮤성 큰개자리 뮤 μ CMa | |
누성 큰개자리 누1·2·3 ν CMa | 크시성 큰개자리 크시1·2 ξ CMa | 오미크론성 큰개자리 오미크론1·2 ο CMa | 파이성 큰개자리 파이 π CMa | |
시그마성 우누르구니테 σ CMa | 타우성 큰개자리 타우 τ CMa | 오메가성 큰개자리 오메가 ω CMa | -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큰개자리 1 | 큰개자리 3 | 큰개자리 4 | 큰개자리 5 | |
큰개자리 6 | 큰개자리 7 | 큰개자리 8 | 큰개자리 145 | |
그 외 큰개자리에 속한 항성 | ||||
큰개자리 VY | 큰개자리 VX | 큰개자리 EZ | - |
}}}
- [ 심원천체 ]
- ||<width=9999><-4><nopad>산개성단||
메시에 41 캐롤라인의 성단 큰개자리 타우 성단 NGC 2204 NGC 2243 NGC 2318 NGC 2345 NGC 2352 NGC 2354 NGC 2358 NGC 2367 NGC 2374 NGC 2383 NGC 2384 Cr 121 Cr 132 Cr 140 Cr 142 Cr 143 Cr 145 가이아 1 구상성단X 성운Sh2-310
토르의 투구 성운 갈매기 성운Mon NGC 2327
Sh2-293 Sh2-295 Sh2-296 Sh2-297 큰개자리 EZ 이온화 성운 돌고래머리성운
(Sh2-308)Sh2-303 Sh2-304 - GS234-02Pup Sh2-301 Pup: 고물자리와의 경계선에 위치 , Mon: 외뿔소자리와의 경계선에 위치. 은하NGC 2206 NGC 2207 & IC 2163 NGC 2217 NGC 2223 NGC 2227 NGC 2263 NGC 2271 NGC 2280 NGC 2283 NGC 2292 & NGC 2293 NGC 2295 NGC 2325 큰개자리 왜소은하
틀:별자리 · 큰개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Sh2 성운 천체 목록 | ||||
Sh2-307 고물자리의 발광성운 | ← | Sh2-308 큰개자리의 발광성운 | → | Sh2-309 고물자리의 발광성운 |
Sh2-308 돌고래머리성운 Dolphin-Head Nebula | ||
<nopad> [1]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6h 54m 13s |
적위 | -23° 55′ 42″ | |
별자리 | 큰개자리 | |
겉보기 등급 | -[2]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초거품 | |
거리 | 4,530 광년 1388.9 파섹 | |
규모 | ||
겉보기 크기 | 35′ × 35′ | |
지름 | 46.12 광년 | |
명칭 | ||
Sh2-308, RCW 11, LBN 1052 | ||
출처 | ||
위키피디아 |
1. 개요
돌고래성운[3] / Sh2-308돌고래성운은 큰개자리에 위치한 초거품이자 발광성운이다.
2. 설명
중앙에 있는 볼프-레이에별 큰개자리 EZ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성운을 볼프-레이에 성운이라고 부른다.3. 큰개자리 EZ
EZ CMa 큰개자리 EZ EZ Canis Majoris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06h 54m 13.0441s |
적위 | -23° 55′ 42.015″ | |
별자리 | 큰개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A: 볼프-레이에별 | |
분광형 | A: WN4-s | |
거리 | 5016.4 ± 283.8 광년 1537.38 ± 86.52 파섹 | |
반지름 | A: 3.25 R⊙ | |
질량 | A: 23 M⊙ B: 1.5 M⊙ | |
평균 온도 | A: 89,100 K | |
나이 | -년 | |
운동 | 시선속도 | - km/s |
자전 속도 | -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6.71~6.95 | |
절대 등급 | -5.33 | |
광도 | A: 620,000 L⊙ | |
명칭 | ||
EZ CMa, ALS 98, CD−23°4553, CEL 1426, Collinder 121 4, CPD−23°1588, GC 9061, HD 50896, Hen 3-20, HIP 33165, HR 2583, LBN 1052, MR 6, PPM 251223, SAO 172546, SH 2-308, TYC 6522-3270-1, WR 6 | ||
출처 | ||
위키피디아 |
큰개자리 EZ는 돌고래머리성운 내부에 위치한 볼프-레이에별이다.
항성풍을 방출하여 볼프-레이에 성운인 돌고래머리성운을 형성하였으며, 곧 초신성을 일으킬 듯 보인다. 돌고래의 눈이다.
Cr 121에 속한다.[4]
4. 관련 문서
[1] 바로 옆에 적색초거성인 큰개자리 오미크론¹이 위치하나, 별개의 천체이다. 그리고 이 별 때문에 돌고래가 불쌍해졌다.[2] 많은 사이트에서 해당 성운의 겉보기등급을 7.0으로 서술하나, 이는 큰개자리 EZ의 겉보기등급으로, 실제로는 더 어두울 것이다.[3] 돌고래머리성운이라고도 불린다.[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