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8:10:32

덴자 D9

파일:덴자 영문 로고.png
파일:2024 덴자 D9 EV.png
D9

1. 개요2. 상세 (2022~현재)
2.1. 수출 시장에서2.2. 파워트레인2.3. 판매량
3. 파생차량
3.1. PHEV 사양
4. 참고자료5. 둘러보기

Denza D9/腾势 D9

1. 개요

중국의 자동차 제조사인 BYD Auto 산하의 덴자에서 생산하고 있는 전기 및 PHEV 형태의 MPV로 여기서는 전기차 사양에 대해서만 서술한다.

2. 상세 (2022~현재)

파일:2024 덴자 D9 EV 전면부.jpg <nopad> 파일:2024 덴자 D9 EV 후면부.jp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2022 덴자 D9 DM-i 운전석.png
파일:2022 덴자 D9 DM-i 2열.png
파일:2022 덴자 D9 DM-i 3열.png
}}}}}}}}} ||
<rowcolor=#ffffff> 덴자 D9 EV

덴자의 브랜드 재구축 후 출시한 첫 차량으로 2022년 5월[1]에 공개된 후 8월 23일부터 판매를 시작해 10월 21일부터 생산되어 다음 날부터 탁송되기 시작했다. e-플랫폼 3.0 플랫폼 구조가 적용되는 차량이다.[2] 차량의 생산은 중국 산시성 시안시에 위치한 공장에서 이루어진다. 해외에서는 2023년 3월에 이루어진 방콕 모터쇼 때 처음 공개되었다. DM-i 사양과는 달리 세로형 그릴이 특징이다. 차량의 설계는 볼프강 에거가 담당하였다. 출시 당시 가격은 389,800위안[3]~459,800위안[4] 선에서 책정되었다. 보증은 6년/150,000km 형태로 이루어진다.

중국 시장에서는 출시 이후 3개의 사양과 다양한 배터리와 파워트레인 옵션이 적용되었다. 사양명에는 프리미엄과 플래그십 2종으로 구성되었다. 2024년 3월에 첫 연식변경을 거치며 자동 소프트 클로징 도어가 추가되었고 새로운 실내 베이지색 소재가 사용되었다. 터치식을 대체한 버튼형 스티어링 휠, 열선 스티어링 휠의 전사양 장착, 중앙 콘솔의 추가 버튼, 온보드 냉장고 등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12월에 2번째 연식변경을 거치며 모든 사양에 중앙 지붕 전면에 장착된 라이다 센서와 BYD의 '신의 눈' BAS 3.0+ 고급 주행 보조 시스템이 기본으로 장착되었다. 럭셔리 사양이 추가되었으며 프리미엄 사양의 주행거리는 600km, 620 프리미엄은 620 럭셔리로 변경되었다. EV 600 플래그십 AWD만 유지되었다. 이외에도 스타리 그레이 외장 색상의 추가, 조수석용 추가 대시보드 스크린, 10스크린 상호 연결성, 2열 무중력 시트, 3열 시트의 파워 시트 조정 기능, 온보드 냉장고의 최신 냉난방 기능 지원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차체 제원은 전장 5,250mm, 전폭 1,960mm, 전고 1,920mm, 휠베이스 3,110mm, 공차중량 2,325kg에 달한다. 전륜 서스펜션은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V디스크, 후륜 서스펜션은 멀티링크 서스펜션+V디스크가 적용되었으며 조절 가능한 서스펜션과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가 장착된다. 타이어는 235/60 R18형(18인치) 알루미늄 알로이 휠이 적용되나 스페어 타이어는 들어가지 않는다.

실내에는 10.25인치 계기판, 15.6인치 중앙 제어 화면, 헤드업 디스플레이 등 전면에 3개의 인포테인먼트 화면이 있는 7개의 인포테인먼트 스크린이 들어간다. 2열의 경우 앞좌석 등받이에 2개의 화면이 있고 2열 암레스트에 2개의 스크린이 적용된다. 앞좌석 사이에는 2열 승객이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 역시 존재한다. 여기에 TS 링크 인텔리전트 인터랙티브 콕핏이 적용되어 안드로이드 휴대폰의 화면 미러링 기능을 지원한다. 2열 시트는 10방향 조절이 가능하며 발 받침대, 난방, 통풍, 10포인트 마사지 기능을 제공하며 3개의 무선 고속 충전기가 설치되었다.

2.1. 수출 시장에서

2024년 6월 24일에 출시되었다. 첫 해외 판매 지역이자 처음으로 우핸들 사양이 판매된 시장이기도 하다. EV 사양만 판매되며 전륜구동4륜구동으로 구성되었다.
2024년 7월 14일부터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아세안 국가 중 처음으로 판매된 지역이다. 이 시장에서는 EV와 DM-i 모두 판매된다.
2024년 1월에 좌핸들 중국 사양을 소개한 후 10월부터 판매하기 시작했다. 엘리트라는 FWD 사양과 그랜저라는 AWD 사양으로 구성되며 EV 사양만 판매된다.
2024년 11월 1일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역시 해당 국가의 첫 덴자 브랜드 차량이다. 프리미엄 FWD 사양과 퍼포먼스 AWD로 판매되며 EV 사양만 판매된다. 해외에 처음 공개된 국가에기도 하며, 그 때는 DM-i 사양이 전시된 바 있었다.
2025년 1월 22일부터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인니에서 판매하는 첫 덴자의 차량이다. 2024년 처음 공개할 때는 좌핸들 차량을 공개한 바 있었다. 해당 차량은 중국에서 수입되며 FWD EV 사양만 판매된다.
2025년 2월 20일부터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해당 국가에서 판매하는 첫 덴자의 차량이다. 역시 중국에서 EV 사양을 수입하며 어드밴스드라는 FWD 사양과 프리미엄이라는 AWD 2종이 판매된다.

2.2. 파워트레인

덴자 D9 EV 파워트레인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rowcolor=#fff> 사양 EV 620 EV 600
<rowcolor=#fff><colbgcolor=#0067c0> 배터리 <colbgcolor=#fff> 103.36kWh LFP 블레이드 배터리
<rowcolor=#fff> 레이아웃 FWD <colbgcolor=#fff> AWD
<rowcolor=#fff> 전기 모터 <colbgcolor=#0067c0> 형태 전륜 PMSM 전륜+후륜 PMSM
<rowcolor=#fff> 최고 출력 308마력 복합 369마력[5]
<rowcolor=#fff> 최고 토크 360Nm 복합 470Nm[6]
<rowcolor=#fff> 제로백 9.5초 6.9초
<rowcolor=#fff> 주행거리 CLTC <colcolor=#000> 620km <colcolor=#000> 600km
<rowcolor=#fff> NEDC 600km 580km
<rowcolor=#fff> WLTP 520km 480km
}}}}}}}}} ||

103kWh의 LFP 배터리가 들어가며 최고 620km까지 주행할 수 있다. 166kWh의 DC 충전이 지원되며 양쪽 후면 쿼터 패널에 충전 포트가 있어 완속 충전기도 사양해 최대 충전 속도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4년 3월 변경에서 660km AWD 사양이 추가되었으며 600과 620 사양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2.3. 판매량

덴자 D9 EV 판매량
<rowcolor=#000> 연도 중국 시장 판매량
<colbgcolor=#0067c0> 2023년 <colbgcolor=#fff> 7,035대
2024년 4,862대

3. 파생차량

3.1. PHEV 사양

파일:2025 덴자 D9 DM-i 전면부.jpg <nopad> 파일:2022 덴자 D9 후면부.jpg
<rowcolor=#ffffff> Denza D9 DM-i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덴자 D9 DM-i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덴자 D9 DM-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덴자 D9 DM-i#|]][[덴자 D9 DM-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참고자료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white><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
파일:덴자 영문 로고.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067c0><colcolor=#fff> 준중형차 - EV · 400 · 500
준대형차 Z9 -
중형 SUV N7 X · N8
대형 SUV N9 -
MPV D9 · D9-DM-i -
}}}}}}}}} ||



[1] 외장, 실내 디자인과 이름은 실차 공개 한 달 전에 이루어졌다.[2] PHEV 사양은 DM-i 플랫폼이 탑재된다.[3] 원화가치 약 7,813만원[4] 원화가치 약 9,216만원[5] 전륜 308마력/ 후륜 60마력[6] 전륜 360Nm/ 후륜 110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