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17 21:05:10

덕정고등학교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양주시 CI_White.svg 경기도 양주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덕계고등학교 덕정고등학교 덕현고등학교 양주고등학교
양주2고등학교(예정) 양주백석고등학교 옥빛고등학교 옥정고등학교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colbgcolor=#4dc3d5><colcolor=black> 덕정고등학교
德亭高等學校
Deokjeong High School
<nopad> 파일:덕정고등학교 로고.png
개교 1999년 3월 1일
유형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성별 남녀 공학
형태 공립
교장 윤태련
교감 이○영
교화 국화
교목 잣나무
학생 수 813명[기준]
교직원 수 64명[기준]
관할청 경기도교육청
주소 경기도 양주시 화합로 1488 (고암동)[3]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nopad>

1. 개요2. 학교 연혁3. 학교 상징
3.1. 교화3.2. 교목3.3. 교육목표3.4. 교가
4. 학교 특징
4.1. 복장
5. 학교 시설
5.1. 본관5.2. 별관5.3. 운동장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7. 운동부8. 출신인물9. 기타10. 기숙사11.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 개요

경기도 양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자율형 공립고등학교이다. 남녀합반이며 2025년 현재 1학년 9개반, 2학년 9개반, 3학년 9개반이 편성되어 있다.

2. 학교 연혁

<colbgcolor=#004b97><colcolor=white> 날짜 연혁
1999.01.22 덕정고등학교 설립 인가 (보통과 24학급)
1999.03.01 덕정고등학교 개교
1999.03.01 초대 이장우 교장 취임
2004.03.12 볼링부 창단
2005.09.23 덕정학관 개관
2008.07.01 복싱부 창단
2009.04.28 예성관 개관
2022.03.01 제9대 윤태련 교장 취임

3. 학교 상징

3.1. 교화

3.2. 교목

3.3. 교육목표

창의지성인
창의적 사고와 알찬 실력을 갖춘 지성 교육
도덕인
바른 예절을 갖춘 인성 교육
사회인
배려하고 봉사하는 사회성 교육
건강인
건강하고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심미성 교육
세계인
미래사회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교육

3.4. 교가

파일:덕정고등학교 교가.png

4. 학교 특징

양주시 내에서 최초로 개교한 공립 고등학교다.

2024년에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선도학교로 선정되었으며, 2025년에 IB 후보 학교로 선정되었다.

4.1. 복장

동복은 맨투맨, 검은 교복바지, 남색 야구점퍼로 구성되어 있다. 맨투맨의 경우 몸 부분은 회색이고 팔 부분은 짙은 남색이다. 바지는 평범한 교복 바지이며, 야구점퍼는 뒤에 교명이 영어로 쓰인 디자인이다.

체육복의 경우에는 시기 미상으로 없어져, 체육활동을 하는 경우 각자 체육하기에 편한 복장을 입고 오라고 안내했다. 2024년부터 당시 1학년을 기점으로 다시 체육복을 지급해주며, 위아래로 평범한 검은색 츄리닝에 흰색으로 두 줄이 있는 형태다.

교사들이 사복을 제지하지 않기에 자유롭게 입고 등교해도 상관은 없으나, 체육 수업이 있을 때는 사복이여도 무방하니 츄리닝이라도 입자.

학생회의 경우 2024년에 전용 야구점퍼가 지급되었다. 전체적으로 붉은색을 한 모습이며 팔 부분은 흰색이다.

5. 학교 시설

5.1. 본관


본관에서는 1학년과 2학년이 생활한다.

2023년 겨울방학에 학교를 리모델링하면서 5층의 시청각실이 Steady Study Space라는 이름의 스터디카페로 바뀌었고, 게시판이 자석판으로 바뀌는 등 전체적인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정보융합실은 학교에서 몇 안되는 전자칠판이 설치되어 있고, 노트북 보관함도 있다. 다만 2층에는 인터넷 공유기가 설치되지 않은 곳이 있어 간혹 인터넷 신호가 낮기도 하며, 이 교실 자체가 많이 활용되는 편은 아니다.

4층에는 본관과 별관을 잇는 통로가 있는데, 대부분 급식실을 통해 별관으로 넘어간다. 별관은 4층 건물이기 때문에 본관 5층에서는 별관으로 이동할 수 없고 무조건 내려와서 이동해야 한다.

2024년 겨울방학부터 2025년 5월 24일까지 학교 외벽 공사와 창호 교체 공사가 진행된다. 공사 기간동안 후문이 폐쇄되어 이용할 수 없다.[4] #

5.2. 별관

별관에서는 3학년만 생활한다. 학교 측에서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3학년들을 위해 공부하기에 알맞은 환경을 조성해주기 위한 배려로 보인다.

본관에서 시끄러울 정도로 빵빵하게 나오는 점심방송도 나오지 않는다. 학년부 교무실과 모집요강 책자를 볼 수 있는 공간은 3층에, 본관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는 4층에 위치해있다.

별관의 화장실은 2015년에 새로 공사를 해서 시설이 훌륭하다. 그러나 문제점이 있었는데, 공사를 여름방학식(7월 중순) 다음날 부터 시작했는데도 9월 모의고사가 끝나고 며칠 후에야 공사가 완료되었다. 상식적으로 말이 안되는 일. 실제로 이때 엄청난 소음, 공사장에서 나오는 먼지, 인부들의 담배 냄새 등등 덕분에 한 동안 공부와 수업을 제대로 할 수가 없었다. 원래 안 한 애들도 많지만

5.3. 운동장

운동장이 작다. 옆에 칠봉초와 크기는 비슷하지만 그쪽에는 잔디라도 깔려있지 여기는...[5] 게다가 축구골대도 진짜 고등학생용인지 의심이 갈 정도로, 옆에있는 칠봉초보다도 훨씬 작다. 둘이 맞바꿔야 할듯

2024년에 농구코트가 생겼다. 이로 인해 그 옆에 남는 공간이 있었는데, 그곳에는 언덕을 조성해두었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7. 운동부

8. 출신인물

9. 기타

10. 기숙사

11.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덕정고.한국병원(39580)
옥정신도시 방향
일반
덕정고.한국병원(39582)
덕정역 방향
일반

[기준] 2025년 3월 9일[기준] [3] 지번 고암동 121-1[4] 이 공사로 인해 본관과 별관 사이의 주차장 이용이 불가능해져, 운동장이 거대한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이 때문에 2025년 체육대회는 10월 현장체험학습과 순서가 바뀌었다.[5] 원래는 넓었는데, 교문 쪽 운동장을 잘라서 체육관을 지었다.[6] 양주시 관내 타 학교들은 기하 혹은 확률과 통계를 2학년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다. 즉 관내에서 덕정고만 이런다는 것인데, 이는 학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 특성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근본없이 편제한 결과이다.[7] 실제로 고암중은 한 학년 당 반 수가 11개 정도이며, 이는 양주 지역에서 가장 많다. 이 많은 학생들이 다 어디로 오겠는가...[8] 그도 그럴 것이, 은현면은 여름철에 비가 쏟아지면 버스가 다니지 못한다.[9] 그러나 이것도 이제 옛말. 2021년 말 학교 정문 건너편에 종합병원과 상가건물이 들어서면서 그래도 '그나마' 무언가 생기긴 했다.[10] 길을 건너서 약 7분 정도 걸어간다면 무려 4층 규모의 다이소가 있다![11] 주로 스타크래프트[12] 그걸 어떻게 아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의외로 상당히 간단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0912 ??이었다.[13] 과거에는 학교 내에 와이파이가 설치되어 있지만 비밀번호를 모르는 까닭에 누구도 그 와이파이를 사용한 자가 없었다고 한다. 심지어 교사들도 비밀번호를 모른다고 했다고 한다.[14] 주변에 위치한 고암중학교도 이날 졸업식을 했다.[15] 예를 들어 1학년 1반, 2학년 1반에서 몇명씩 선수를 뽑아 같은 팀이 된다.[16] 2014년까지는 외부에서 콘서트홀을 빌려 썼지만 2015년부터는 체육관에서 한다.[17] 2024년에는 갑작스럽게 2학년들의 현장체험학습이 수학여행으로 변경되어 1학년들의 현장체험학습을 9월에 진행했다.[18] 제 11회 졸업생.[19] 덕정역에서 80번, 87번을 타면 학교 정문까지 바로 올 수 있다.[20] 현재도 성적 순으로 기숙사생을 선발하고 있으며 남녀 각각 두명은 원거리 전형으로 선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