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16-11-26 00:56:23

더미:201611260001

1. 개요2. 알파 테스트
2.1. 패치 1.0.0.33882.2. 알파 패치 22.3. 패치 1.0.0.3664
3. 베타 테스트
3.1. 패치 1.0.0.38903.2. 패치 1.0.0.39373.3. 패치 1.0.0.42173.4. 패치 1.0.0.42433.5. 패치 1.0.0.44583.6. 패치 1.0.0.44823.7. 패치 1.0.0.4944
4. 정식 서비스
4.1. 패치 1.0.0.49734.2. 패치 1.0.0.5314
5. 낙스라마스의 저주
5.1. 패치 1.1.0.60245.2. 패치 1.0.0.61415.3. 패치 1.2.0.64855.4. 패치 1.3.0.6898
6. 고블린 대 노움
6.1. 패치 2.0.0.72346.2. 패치 2.1.0.76286.3. 패치 2.2.0.78356.4. 패치 2.2.0.80366.5. 패치 2.3.0.8108
7. 검은바위 산
7.1. 패치 2.4.0.83117.2. 패치 4.0.1.20157.3. 패치 2.5.0.84157.4. 패치 2.6.0.88347.5. 패치 2.7.0.9166

1. 개요

하스스톤의 업데이트, 밸런스 수정이 이루어지는 패치의 역사에 관한 항목입니다.

2. 알파 테스트

클로즈 베타 이전, 알파 테스트의 내용이다. 정식으로 발표된 내용은 없지만, HearthPwn이나 Hearthstone wiki에서 그 내용을 일부 찾을 수 있다.

2.1. 패치 1.0.0.3388

알파 패치 1. 2013년 6월 22일에 적용되었다. 아직 개발 단계였던만큼 현재와는 많이 다른 카드 능력이 보인다. 카드를 아예 뺏어오는 마음의 눈이나 카드를 3장 버리고 다시 3장 뽑는 일리단 등등.

2.2. 알파 패치 2[12]

2013년 8월 12일에 적용된 패치. 베타 테스트를 위한 준비와 거인 3종의 능력치 변화가 눈에 띈다. 또한 각종 치유 주문들이 아키나이 영혼사제나 예언자 벨렌과 연계되었을 때 수치가 바뀔 수 있게 되었다.

2.3. 패치 1.0.0.3664

알파 패치 3. 2013년 8월 14일에 적용되었으며, 900개가 넘는 현지화 음성파일이 추가되었다.

3. 베타 테스트

2013년 8월 16일부터 시작된 CBT와, 2014년 1월 21부터 시작된 OBT의 패치 내용. 이 때부터 하스스톤은 전국적인 단위의 서비스를 시작한다. 또한 이 때부터 각 패치에 대한 공식적인 공지가 올라왔다.

3.1. 패치 1.0.0.3890

공식 홈페이지 패치 노트(영문)
클로즈 베타의 문을 연 패치. 2013년 10월 2일에 적용되었다. 원활한 게임 플레이를 위한 UI변경과 황금 카드의 애니메이션 추가, 밸런스 변경이 있었다. 또한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기 위해 대규모 초기화 작업이 있었으며, 기존의 유저들에게 이에 관해 보상해 주었다.

3.2. 패치 1.0.0.3937

공식 홈페이지 링크
하스스톤이 한국에서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고 처음 적용된 패치. 2013년 10월 17일에 적용되었다. 한글로 번역된 공식 패치노트가 처음 올라온 패치이기도 하다.[22]

3.3. 패치 1.0.0.4217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3년 12월 12일에 적용된 패치. 이제 일일 퀘스트를 하루에 한번씩 교체할 수 있게 되었고, 모든 황금 카드가 애니메이션 효과를 적용받았으며, 등급전 시스템과 전설 등급이 도입되었다. 또한 원성이 자자했던 구)개들을 풀어라가 완전히 재개편되었고, 정신지배 또한 비용이 10으로 증가되었다. 오토 작업장이 처음으로 보고되어 하루 보상 100골드 제한이 생겨난 패치이기도 하다.

3.4. 패치 1.0.0.4243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3년 12월 19일에 적용된 패치. 카운터덱 마저 모두 씹어먹던 냉법의 핵심 주문들이 너프먹은 패치이다.

3.5. 패치 1.0.0.4458

공식 홈페이지 링크
다소 지나치게 너프되었던 개들을 풀어라가 상향되고, '약속의 8턴'으로 불리던 불덩이 작렬이 너프되었다. 실바나스 윈드러너의 비용이 6으로 증가하면서, 악명높은 '실바난투' 콤보도 막을 내렸다. 또한 전쟁노래 사령관과 돌진이 너프되면서 '진격의 거인' 콤보가 불가능해졌으며, '2장 넣고 덱 짠다'고 까지 불리던 아르거스의 수호자와 풋내기 기술자의 생명력이 1씩 감소되는 너프가 있었다.

3.6. 패치 1.0.0.4482

1.0.0.4458 직후 적용된 패치 소위 '자리 버그'로 불리던 문제점을 많이 수정하였다.

3.7. 패치 1.0.0.4944

공식 홈페이지 링크
오픈 베타의 마지막 패치. 2014년 3월 13일에 적용되었다. 이 패치를 기점으로 하스스톤은 정식 서비스에 돌입한다.
등급전 500승 보상으로 황금 영웅 초상화가 도입되었으며, 필수 전설카드로 꼽히던 오버스파크와 내트 페이글이 너프를 받으며 뒤안길로 사라졌다. 또한 비밀의 발동이 상대 턴에만 발동되도록 되면서, 성기사의 비밀이 사장되게 되었다. 그 외 카드 겹침과 하수인 위치 버그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4. 정식 서비스

4.1. 패치 1.0.0.4973

정식 서비스 개시 이후 처음 적용된 패치. 숲의 수호자, 정의의 칼날과 관련된 약간의 버그가 수정되었다.

4.2. 패치 1.0.0.5314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4년 5월 9일에 적용된 패치. 재설계 이후 꾸준한 연구를 통해 다시 사냥꾼의 핵심 카드로 떠오른 개들을 풀어라가 너프를 맞게 되었다. 그러나 사냥꾼은 이정도 너프는 아무것도 아니라는듯 여전히 1티어를 유지한다. 이는 대머리수리의 너프까지 계속된다.

5. 낙스라마스의 저주

5.1. 패치 1.1.0.6024

2014년 7월 22일에 적용된, 낙스라마스의 문을 연 패치이다. 거미지구가 열렸으며, 사냥꾼의 핵심 카드 중 하나인 독수리뿔 장궁이 너프를 받았다. 죽음의 메아리가 주 컨셉인 낙스라마스 공개와 맞춰, 죽음의 메아리 발동 순서가 일괄적으로 수정되었다.

5.2. 패치 1.0.0.6141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4년 8월 1일에 적용된 패치. 로데브의 카드 문구가 전투의 함성이 아닌 죽음의 메아리로 되어있던 부분을 수정하였다.

5.3. 패치 1.2.0.6485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4년 9월 23일에 적용된 패치. 많은 덱에서 피니셔로 기용되던 리로이 젠킨스가 너프를 맞았다. 많은 덱들이 다른 피니셔를 찾아 연구하기 시작했고, 리로이 젠킨스가 필수 피니셔였던 도적은 이에 가장 피해를 입은 직업이었다.[23] 또한 '대머리+개풀+회갈늑+하이에나'의 핵심이었던 대머리수리가 엄청난 너프를 받으며 다시는 쓰이지 않을 카드가 되어버렸다.

5.4. 패치 1.3.0.6898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4년 10월 29일에 적용된 패치. 카드 뒷면이 몇 장 추가된 소규모 패치였으나, 마침내 대규모의 오토 계정 제재가 이루어졌다는 점은 주목할 만 하다.

6. 고블린 대 노움

6.1. 패치 2.0.0.7234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4년 12월 10일에 적용된 패치. 하스스톤의 첫 번째 확장팩인 고블린 대 노움이 적용되어 120여장의 카드가 추가되었다. 이에 투기장 무료 입장과 무료 팩 증정 이벤트가 시작되었다. 새로운 종족 기계가 추가되었으며, 사냥꾼과 흑마법사, 도적에게 너프가 내려졌다. 또 관전 모드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6.2. 패치 2.1.0.7628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5년 1월 30일에 적용된 패치. 이 날 장동간이 죽었다. 설을 맞이하여 인사 감정표현이 새해 인사로 바뀌기도 했다.

6.3. 패치 2.2.0.7835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5년 2월 26일에 적용된 패치. 미미론의 머리 카드에 엄청난 퀄리티의 애니메이션 효과가 추가되었다.

6.4. 패치 2.2.0.8036

위의 2.2.0.7835와 같이 적용된 패치. 비공식 패치이며, 다음 확장팩을 위한 더미 데이터가 일부 추가되었다.

6.5. 패치 2.3.0.8108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5년 3월 20일에 적용된 패치. 검은바위 산의 발매에 맞춰 사전 구매가 활성화 되었다.

7. 검은바위 산

7.1. 패치 2.4.0.8311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5년 4월 1일에 적용된 패치. 검은바위 산의 데이터가 적용되었으며, 손놈전사의 시작을 알릴 전쟁노래 사령관의 버프가 있었다.[24] 또한 운명의 파멸이 크게 상향받아 수집 가능한 모든 악마 하수인을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7.2. 패치 4.0.1.2015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5년 4월 1일에 적용된 패치. 오리지널 카드 뒷면 리마스터를 포함한 다양한 변경사항이 있었다.여기까지 읽었으면 대충 눈치 챘겠지만, 만우절 장난으로 공개된 패치. 그러나 단 하나의 진실도 담겨있었으니...

7.3. 패치 2.5.0.8415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5년 4월 15일에 적용된 패치. '폰스스톤'의 시작이 된 패치이다.

7.4. 패치 2.6.0.8834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5년 5월 15일에 적용된 패치. 닌자 카드 뒷면이 추가되었고, 모바일 하스스톤에 관한 오류가 수정되었다.

7.5. 패치 2.7.0.9166

공식 홈페이지 링크
2015년 6월 16일에 적용된 패치. 간만에 대규모 패치로, 선술집 난투와 스킨 시스템이 도입 되었으며, '내 카드' 창의 인터페이스가 업데이트 되었다.
지역 열리는 시간 닫히는 시간
유럽 수요일 오전 5시 (CEST 기준) 월요일 오전 6시 (CEST 기준)
북미 수요일 오전 10시 (PDT 기준) 월요일 오전 3시 (PDT 기준)
대만/중국 목요일 오전 3시 (CST 기준) 월요일 오전 6시 (CST 기준)
한국 목요일 오전 4시 (KST 기준) 월요일 오전 7시 (KST 기준)

[1] Dark Summoner - 5코 5/3, 내 턴마다 처음 내는 하수인은 비용이 (3) 감소합니다.[2] 모든 플레이어는 카드를 3장 버리고 3장 다시 뽑습니다.[3] 이름만 바뀌었다.[4] 바로 밑의 발톱의 드루이드 참조[5] 2코 2/2 내가 야수를 낼 때마다, 그 야수에게 +1/+1를 부여합니다.[6] 2코스트 주문. 하수인 하나에게 도발을 부여합니다. 카드를 한 장 뽑습니다.[7] 1코스트 주문. 내 하수인 하나에게 +1/+1을 부여.[8] 상대편 손에 있는 카드 수 하나당 1의 피해를 적 영웅에게 줌.[9] 3코스트 주문. 피해를 3 줍니다. 내 영웅이 생명력을 3 회복합니다.[10] 4코 0/1 내 카드의 비용이 (1)감소합니다.[11] 2코스트 주문. 내가 가진 방어도를 모두 잃고, 이번 턴에만 그 만큼의 공격력을 얻습니다.[12] 정식 패치 넘버링을 알 수 없다.[13] 충격과 공포의 옛 초상화[14] 꼬꼬댁 변환장치로 나오는 닭. 격노 효과가 없다.[15] 이전에는 하수인 하나에게만 적용되었다.[16] 이 때에는 효과가 '내 영웅이 가진 공격력 만큼 모든 적 하수인에게 피해를 줍니다.'였다.[17] 알파 테스트의 경우 공식적인 패치 노트가 없어 개조식으로 번역하며 문서를 작성했습니다만, 베타 테스트부터 공식적인 패치 노트가 나와서 이를 반영하기 위해 문어체로 문서를 작성합니다.[18] 이전에는 모든 아군 하수인 대상이었다.[19] 원문 패치 노트에 괄호로 적혀있는 부분[20] 이전에는 전장의 아군 하수인 수에 따라 계속 변했다.[21] 원문 : Ice Block now protects the hero from incremental damage.[22] 앞으로의 서술 또한 공식 패치노트의 내용을 그대로 따릅니다,[23] 다만 주문도적이 '벽보고 게임하는' 스타일로 상대하기 매우 힘들고 재미없어서, 주문도적을 위로하는 유저는 별로 없었다.[24] 이 때에만 해도 험상궃은 손님 카드가 출시된 것도 아니고, 큰 변화가 없어보였기에 크게 주목받지 못한 버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