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대평지구'라는 이름이 붙은 지역명이다.2. 목록
2.1.
대한민국
2.1.1. 세종특별자치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평동(세종특별자치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평동(세종특별자치시)#|]][[대평동(세종특별자치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대한민국 세종특별자치시의 옛 명칭. 1970년대 행정수도 이전을 검토하면서 '공주지구(公州地區)'와 '대평지구(大平地區)'라는 구역으로 구분하여 이전을 검토했다. 2023년 기준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에 해당된다.
2.1.2. 경상북도 경산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임지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임지구#|]][[대임지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산시에 소재한 신도시 이름. 1999년에 도시계획 되었다. 2023년 기준 명칭은 대평동(大坪洞)과 임당동(林堂洞)의 이름을 딴 '대임지구(大林地區)'이다.
2.2.
북한 평양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평지구(북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평지구(북한)#|]][[대평지구(북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북한 평양시 만경대구역 대평동에 소재한 신도시의 이름. 2021년 9월부터 공사에 들어가서, 2023년 5월 21일에 준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