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닌자와 암살자의 동거|닌자와 암살자의 동거]]
닌자와 암살자의 동거 (2025) 忍者と殺し屋のふたりぐらし NIN×KORO | |||
<nopad> | |||
{{{#000000,#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cc00,#00cc00> 장르 | 개그, 블랙 코미디, 일상, 백합 | |
원작 | 햄버거(ハンバーガー) | ||
감독 | 미야모토 유키히로 | ||
시리즈 구성 | 아즈마 후야코(東 冨邪子) | ||
각본 | 니시베 마호(西部真帆) | ||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 시오츠키 카즈야(潮月一也) | ||
총 작화감독 | 시오츠키 카즈야 타카노 아키히사(高野晃久) | ||
메인 애니메이터 | 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 야마다 시노(山田詩乃) 許有真 | ||
미술 감독 | 이이지마 히사하루(飯島寿治) | ||
색채 설계 | 와타나베 야스코(渡辺康子) | ||
촬영 감독 | 후지타 카즈이(藤田和意) | ||
편집 | 마츠바라 리에(松原理恵) | ||
음향 감독 | 카메야마 토시키(亀山俊樹) | ||
음향 제작 | 비트그루브 프로모션 | ||
음악 | 카사이 류노스케(葛西竜之介) | ||
음악 제작 | 하트 컴퍼니(ハートカンパニー) | ||
기획 | 키쿠치 타케시(菊池 剛) 쿠도 다이죠(工藤大丈) 아오야기 마사유키(青柳昌行) 쿠보타 미츠토시(久保田光俊)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타나카 쇼(田中 翔) 키쿠치 사다카즈(菊池貞和) 타케우치 노부유키(竹内伸幸) 오오와다 토모유키(大和田智之) 타카하시 류(髙橋 竜) 사노 케이스케(佐野圭介) | ||
프로듀서 | 후지와라 토시키(藤原利紀) 마츠카와 유야(松川裕也) 사와하타 코지(澤畠康二) 오카자키 유우(岡﨑 優) 히가시 마오(東 真央) 미우라 후미토(三浦 史) 이이즈카 아야(飯塚 彩) | ||
애니메이션 제작 | 샤프트 | ||
제작 | 닌코로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25. 04. 10. ~ 방영 중 | ||
방송국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2화 (예정) | ||
시청 등급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일본의 만화 닌자와 암살자의 동거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미야모토 유키히로, 제작사는 샤프트. 방영 시기는 2025년 4월.2. 공개 정보
- 2024년 4월 23일,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
2.1. PV
티저 PV |
메인 PV |
===# CM #===
번선 CM |
2.2. 키 비주얼
| | |
<rowcolor=#000000,#ffffff> 티저 비주얼 1탄 | 티저 비주얼 2탄 | 키 비주얼 |
|
닌자의 날 특별 비주얼 |
3. 줄거리
닌자 마을에서 탈출한 여자 닌자 사토코. 길에 쓰러져 있던 사토코를 우연히 그곳을 지나가던 여고생 코노하가 구하게 된다. 그러나 안도할 틈도 없이 사토코는 마을에서부터 쫓아온 자에게 발각되고 마는데... 사토코를 쫓아오던 자의 공격을 단숨에 되받아친 코노하. 그녀의 정체는 무려 암살자였던 것이다! 세상 물정 모르는 여자 닌자와 암살자 여고생의 위험한 공동생활이 시작된다――! 애니맥스 코리아 |
4.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닌자와 암살자의 동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닌자와 암살자의 동거#등장인물|등장인물]][[닌자와 암살자의 동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주제가
5.1. OP
OP やれんの?エンドレス 할 수 있어? 엔드리스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노래 | 하나자와 카나[1] | ||
작사 | 켄모치 히데후미(ケンモチヒデフミ) | ||
작곡 | TAKU INOUE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콘티 | 사에키 쇼지 | |
연출 | |||
작화감독 | 시오츠키 카즈야(潮月一也) |
5.2. ED
ED にんころダンス 닌코로 댄스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Full ver. (feat. Hanon)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Full ver. (feat. Kotoha)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노래 | HoneyWorks feat.하코니와릴리 | ||
작사 | HoneyWorks MARUMOCHI | ||
작곡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콘티 | 이와모토 리나(岩本里奈) | |
연출 | |||
작화감독 |
6. 회차 목록
<rowcolor=#000000,#ffffff> 회차 | 제목[2]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제1잎[3][4] | 忍者と殺し屋の出会い 닌자와 암살자의 만남 | 니시베 마호 (西部真帆) | 미야모토 유키히로 시오츠키 카즈야 (潮月一也) 야마무라 히로키[아방] (山村洋貴) | 미야모토 유키히로 | 시오츠키 카즈야 이토 요시아키 (伊藤良明) 스기야마 노부히로 야마무라 히로키 이와모토 리나 (岩本里奈) 타카노 아키히사 (高野晃久) | 시오츠키 카즈야 타카노 아키히사 | 日: 2025.04.10. 韓: 2025.04.11. |
제2잎 | 忍者と殺し屋の日常 닌자와 암살자의 일상 | 야세 유키 | 후지타 쇼헤이 (藤田星平) | 이토 요시아키 許有真 아사이 아키토 (浅井昭人) 니헤이 레이아 (二瓶令暁) 시미즈 카츠유키 (清水勝祐) 츠키야마 쇼타 (築山翔太) 타다 카즈하루 (多田和春) 와다 켄토 (和田賢人) 富春 郭書夢 | 日: 2025.04.17. 韓: 2025.04.18. | ||
제3잎 | 忍者と殺し屋のお仕事 닌자와 암살자의 일 | 미야자키 슈지 (宮﨑修治) | 카쿠타니 오사무 (角谷 理) | 미야지마 히토시 (宮嶋仁志) 마츠자키 요시카츠 (松崎嘉克) 사메지마 히사시 (鮫島寿志) 사사가와 미유키 (笹川弥幸) 니헤이 레이아 키타지마 유키 (北島勇樹) 나카쿠마 타이치 (中熊太一) 호리노 유코 (堀野ゆうこ) | 日: 2025.04.24. 韓: 2025.04.25. | ||
제4잎 | 日: 2025. 韓: 2025. | ||||||
제5잎 | 日: 2025. 韓: 2025. | ||||||
제6잎 | 日: 2025. 韓: 2025. | ||||||
제7잎 | 日: 2025. 韓: 2025. | ||||||
제8잎 | 日: 2025. 韓: 2025. | ||||||
제9잎 | 日: 2025. 韓: 2025. | ||||||
제10잎 | 日: 2025. 韓: 2025. | ||||||
제11잎 | 日: 2025. 韓: 2025. | ||||||
제12잎 | 日: 2025. 韓: 2025. |
7.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ffffff,#000000><colcolor=#000000,#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잎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3잎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 |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5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colcolor=#fff> 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07:30 | ||||||||
08:00 | ||||||||
09:30 |
17:00 | {{{#!wiki style="margin: -6px -10px; font-size: 8pt; font-weight: bold; text-align: left; color: transparent" | ||||||
18:30 | [[베이블레이드 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brder: 2px Solid #a2ff1f; brder-radius: 12px; backgrund: black; clor: white" | ||||||
19:00 |
20:00 | |||||||
21:30 | |||||||
22:00 | |||||||
23:00 | |||||||
24:00 | 마에바시 위치스 | 닌자와 암살자의 동거 | 바이바이, 어스 2 | 길티기어 STRIVE: DUAL RULERS |
25:00 | 착각하는 공방주 ~영웅 파티의 전 잡무 담당이, 실은 전투 이외가 SSS 랭크였다는 흔히 있는 이야기~ |
26:00 | |||||||||||
26:30 | 나는 성간 국가의 악덕 영주! | ||||||||||
27:00 | |||||||||||
{{{#!wiki style="margin: 0px -10px; letter-spacing: -1px" | |||||||||||
{{{#!wiki style="margin: -15.5px -10px" | | 무료 스트리밍 | 유료 스트리밍 | }}} |
한국에서는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2025년 2분기 동시방영작으로 들여와 자막으로 방영한다. 담당 번역은 김보영, 검수 윤가영, 종합편집은 이서연이 맡았다.
9. 평가
처음에는 별 주목을 받지는 못했고, 감독 미야모토 유키히로가 다작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사기도 했으나, 이후 나온 PV가 호평을 받으면서 같은 샤프트 제작, 미야모토 감독의 바로 전작인 5등분의 신부 ∽[6]를 기억하는 사람은 기대감을 가지기도 했다.방영 이후엔 1화부터 샤프트의 걸출한 원화진들이 참여해 원작에는 없는 오리지널 액션 신 등 고작화를 보여줬고, 동시에 감독 미야모토 유키히로 특유의 막 나가는 연출까지 합쳐져 의외의 분기 다크호스라는 평을 받았다.
원작을 보지 않고 애니메이션만으로 이 작품을 처음 접한 사람들을 위한 주의사항이 있다면, 동글동글한 그림체에 비해 내용이 그야말로 막장이라는 것. 주인공 듀오가 시작부터 눈 하나 깜빡 않고 사람을 2명이나 죽이고 사체를 낙엽뭉치로 바꿔버리며 은폐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이것도 모자라 암살자가 학교 친구의 아버지마저도 의뢰를 받았다며 서슴지 않고 죽이는 충격적인 전개를 보여준다. 원작부터 이런 급발진 블랙 코미디 전개를 많이 보여주었기 때문에 호불호가 심하게 갈린다.[7][8] 여기에 더해 2화 에필로그는 코노하에게 살해당한 쿠노이치들의 평화로운 일상을 보여주며[9] 만화의 잔혹성을 더해준다. 이정도면 15세 판정 뜬게 용할 수준.
10. 기타
[1] 코가 코노하의 성우[2]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 원화 이토 요시아키(伊藤良明), 스기야마 노부히로, 타카노 아키히사(高野晃久), 카와타 카즈키, 나가타 히로토, 야마무라 히로키(山村洋貴)아방 작화, 아베 겐이치로아방 작화 등.[4] 작화감독, 원화, 동화 애니메이터가 모두 샤프트 사원 애니메이터이다.[아방] [6] 시리즈 중에선 가장 높은 퀄리티라는 평을 받았다.[7] 여기에 한 술 더 떠서 아예 제작사가 각 화에서 죽은 캐릭터들의 영정 사진(...)을 X에 올리며 밈으로 쓰고 있다.[8] 일각에선 똑같이 동글동글한 그림체에 주인공이 암살자인 킬미 베이비가 떠오른다는 평가도 있다. 다른 점은 킬미 베이비는 간접적으로 언급만 하거나 정황만 보여주는 수준이었지만, 여기서는 그냥 이들의 본업을 처음부터 끝까지 노골적으로 다 보여준다는 것이다.[9] 원작 단행본 1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