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5 01:45:19

녹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한국의 싱어송라이터}}}에 대한 내용은 [[nokjo]]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nokjo#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nokjo#|]]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국의 싱어송라이터: }}}[[nokjo]]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nokjo#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nokjo#|]]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60px-River_algae_Sichuan.jpg

1. 개요2. 원인 3. 독성4. 피해5. 기타6. 한국의 주요 녹조 사례7. 관련 문서

1. 개요

녹조[1]는 부영양화된 호수 또는 유속이 느린 하천에서 녹조류남조류가 크게 늘어나 물빛이 녹색이 되는 현상이다.

2. 원인

이름과 달리 남조류가 주요 원인이다. 녹조류와 남조류의 생태 메커니즘은 유사하지만 남조류는 사실 세균에 가까워서 식물성 세포인 녹조류에 비해 번식 주기가 짧아[2] 훨씬 개체수가 많고 또한 독성 물질 또한 남조류가 더 강하고 많이 뱉어내기에 녹조류가 아닌 남조류가 주원인이라 할 수 있다. 학계에서는 녹조현상이라는 단어 대신에 수화(水花)현상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천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플랑크톤들이 살고 있는데, 만일 하천에 이 플랑크톤들의 먹이가 되는 영양분이 크게 증가하면 이 영양분을 먹고 사는 플랑크톤도 많아진다. 녹조는 조류들이 바로 이 많은 영양분을 먹고 크게 늘어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하천에 그러한 영양분의 공급하는 일은 현대에 들어서 거의 대부분 사람의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하천에 폐수를 무단 방류해 부영양화 현상을 유발하게 되면 자연히 녹조가 생길 수밖에 없다. 공업 폐수보다는 농업 폐수, 즉 논밭에서 쓰인 비료, 축산농가의 가축분변 등이 녹조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또한, 하천의 유속이 줄어도 녹조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데, 한 곳에 씻겨 내려온 영양분이 쌓이기 때문이다. 댐과 같은 인공 구조물로 인해 유속이 느려진 경우나 하천 상류에서 공사를 해서 토사가 내려와 유속이 느려진 경우에 녹조가 구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곳곳에 댐과 보가 있어서 하천의 유속이 느린 편이기 때문에, 가뭄으로 강수량이 줄어든데다가 폭염으로 인해 강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그 지역에 녹조가 쉽게 생기게 된다. 이와 정반대로 갑작스런 집중호우가 있을 때에도 녹조가 단기적으로 생기기도 하는데, 논밭에 뿌려져 있는 비료 등의 영양물질과 하천 등에 흩어져 있던 녹조가 한꺼번에 물에 씻겨 내려와 '하류'에 모이게 되므로 그런 것이다.[3]

3. 독성

강과 환경에 따라 분포하는 종들이 다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남세균 Microcystis aeruginosa가 평균적으로 가장 많이 존재한다. 이 종은 마이크로시스틴 이라는 간독성 물질을 만들어 내는데, 사람이 기르는 가축을 죽일 정도로 강력하다. 반수치사량[4]이 50μg/kg으로 코브라 독[5]의 10배 정도의 유독성을 가지고 있다. 물론 녹조의 물에는 해당 독소가 극미량 포함되어 있어서 먹는다고 바로 죽을 정도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마신다면 단기적으로는 구토와 설사를 일으키고 심하면 간부전이 되며 장기간 노출되면 암을 유발하고 사망에 이를 수 있다.[6]

남조류가 만들어내는 단백질 BMAA(beta-Methylamino-L-alanine) 역시 큰 문제인데, 신경세포에 침투하여 루게릭병이나 파킨슨-치매 복합 증상 등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남조류 자체의 농도만으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이들이 먹이사슬을 거쳐 생물농축이 일어나면 위험한 수준에 이를 수 있다. 예컨대, 미국 뉴햄프셔주에서 루게릭병 환자들이 집단 발병한 적이 있는데, 녹조현상이 흔하게 발생되는 마스코마 호수 인근 사람들에게서 루게릭병 발생이 다른 지역에 비해서 10~25배 이상 높았다.

4. 피해

일반적으로 조류는 수중 생태계에서 가장 하위에 속한다. 플랑크톤을 섭식하는 개체가 제대로 유지될 경우에는 그 개체가 녹조가 증가하는 족족 먹어치우므로 녹조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 균형이 깨져 녹조가 이상 증식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하천 생태계는 심각한 문제가 생기게 된다. 조류는 수초와 함께 광합성을 통한 용존 산소의 유지를 위해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인데, 클로렐라 등의 부유성 단세포 녹조류가 하천 표면을 뒤덮으면서 수중에서의 태양빛을 차단시키고, 이로 인해 민물 수초와 붓이끼 등의 다세포 조류의 광합성을 크게 방해하게 되고, 하천 생태계 생존을 위해 필요한 용존 산소의 공급이 급감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결과는 하천에 사는 물고기와 수중생물들이 그대로 죽게 된다.

적조는 바다에서, 녹조는 하천에서 발생한다는 점과 적조는 적색을, 녹조는 녹색을 띈다는 점을 제외하면 적조와 본질적으로 같은 현상이다. 적조와 비교하면 녹조가 일반인들에게 더 알려졌는데, 녹조는 일단 육지에서 발생하기에 직접 목격하는 사람이 많고, 상수원에 영향을 준다는 점과 적조는 하천따위는 범접할 수 없는 넓은 바다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라서 녹조에 비해 비교적 피해가 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조도 양식업 어민에게는 기반이 흔들릴 정도의 매우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며, 어패류 물가에도 영향을 끼친다.

5. 기타

6. 한국의 주요 녹조 사례

7. 관련 문서



[1] 영어: Algal bloom, 일본어: 水の華, アオコ[2] 남조류의 경우, 개체수가 2배가 되는 더블링 타임이 평균 30분 정도이다. 즉, 30분마다 2배로 개체수가 늘어나는 것.[3] 2022년 다대포 해수욕장에 녹조가 생긴 것도 낙동강 하류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 홍수가 생겼을 때 댐에 녹조가 많이 생기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에서이다. 고여 있던 녹조가 홍수로 인해 댐 쪽으로 내려와서 많아진 것. 우리나라에서는 대청댐에서 이런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 물론 이런 현상은 단기적인 집중호우일 때에만 생기며, 장기적인 호우, 즉 장마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씻겨 내려가기 때문에 녹조를 볼 수 없다.[4] 실험 동물들에게 독을 주입했을 때 개체수의 절반이 죽어나가는 시점의 양을 나타낸 것이다.[5] LD50 - 500μg/kg[6] 해외에서도 가끔 녹조 물을 마신 가축들이 죽은 사례들이 보고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