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NovaBus LFS |
노바버스 LFS 위키디피아 |
1. 개요2. 상세3. 모델별 설명
3.1. 노바버스 LFS (1996 ~ 현재)3.2. 노바버스 LFSA (2009 ~ 현재)3.3. 노바버스 LFS Suburban (2005 ~ 현재)3.4. 노바버스 LFS/LFSA HEV (LFS: 2006 ~ 현재) (LFSA: 2011 ~ 현재)3.5. 노바버스 LFX 40/62 (40: 2009 ~ 현재) (62: 2011 ~ 현재)3.6. 노바버스 LFSe/LFSe+ (LFSe: 2011 ~ 현재) (LFSe+: 2019 ~ 현재)3.7. 노바버스 LFS CNG (2013 ~ 현재)
4. 경쟁 차량5. 둘러보기1. 개요
노바버스 LFS는 캐나다의 버스 제조사인 노바버스에서 생산하는 저상 도시형 버스로, 1996년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되기 시작하였다. LFS는 "Low Floor Series"의 약자이다. 디젤, 천연가스, 하이브리드, 전기 등 다양한 연료가 있다.1996년 출시 이후 차례의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계속 생산하고 있으며 여러 파생모델이 있다.
2. 상세
2.1. 개발 배경
초기 개발은 1993년경부터 시작되었으며, 당초 계획대로라면 1995년부터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추가적인 개발 필요성과 여러 외부 요인으로 인해 생산은 1996년까지 연기되었다.처음 Nova Bus는 퀘벡 지역 내 4개의 주요 교통 기관에서 시험 운영할 수 있도록 총 80대 규모의 프로토타입 파일럿 플릿을 제작할 계획이었다. 이 파일럿 차량을 통해 신뢰성 및 서비스 가능성 데이터를 수집하고, 본격 양산 전 차량 설계를 구체화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초기 계획은 전면 취소되었다.
- 디트로이트 디젤 엔진의 단종
- 파트너사였던 Den Oudsten과의 협력 종료
- 기존 Classic T-Drive 모델의 잦은 결함
결과적으로 LFS는 프로토타입 단계를 생략하고 본격 생산에 돌입하게 된다.
2.2. 초기 모델
1996년 말, 첫 번째 LFS(차량번호 16-004)가 STCUM(현재 몬트리올 STM)에 인도되어 서비스에 투입되었다. 이 시점까지 약 400대의 LFS가 이미 생산된 상태였으며, 퀘벡 지역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었다.그러나 초기 LFS는 여러 신뢰성 및 유지보수 문제를 동반하였다. 실제로 서비스 개시 후 18개월 동안 약 2,500건 이상의 문제가 접수되었다. 문제는 특정 부품에 국한되지 않고 차량 전반에 걸쳐 발생하였다.
특이점으로는 Den Oudsten 파생 모델에 적용된 3도어 옵션을 염두에 두고 엔진룸이 운전석 측으로 오프셋되어 설계되었지만, 실제로 이 옵션을 채택한 기관은 없었다. 이로 인해 오프셋 엔진룸 공간은 줄어들었고, 상대적으로 작은 Cummins 엔진만 장착 가능하여 일부 교통 기관은 도입 대상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또한 프레임 부식 문제가 발생하면서, 1998년 출시된 2세대부터는 스테인리스강 프레임으로 변경되었다.
2.3. 폐기 및 전환
STCUM에 공급된 451대 중 400대 이상이 16년의 수명을 채우지 못하고 조기 폐기되었으며, 이는 LFS 1세대의 기술적 미성숙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였다.2.4. 볼보의 인수와 발전
1997년, 볼보가 노바버스의 지분을 인수하였고, 이후 2004년에 완전한 지배권을 획득하였다. 이 시기를 기점으로 안정된 기술 기반을 확보하게 되며, 3세대 모델로의 번화가 이뤄진다.3세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있었다
- 엔진이 차량의 중앙선으로 이동
- 3번째 도어 옵션 완전 폐지
2.5. 미국 시장 진출과 철수, 재진입
미국 시장에서는 'Buy American' 정책에 따라, LFS는 뉴욕 Niskayuna 공장에서 조립되었다. 시카고 교통국(CTA) 등의 주요 기관에 공급되었으며, 1998년에는 400대 이상이 납품되는 대형 계약도 체결되었다.그러나 2002년 Niskayuna 공장이 폐쇄되면서 미국 시장에서 철수하고 캐나다 시장에 집중하게 된다. 이후 2009년, 뉴욕주 플래츠버그(Plattsburgh)에 새로운 공장을 열고 미국 시장에 재진입하였다.
2.6. 생산 규모 및 시장 점유율
2019년 기준으로 총 12,500대 이상의 LFS가 생산되었으며, 북미 125개 운송 기관에서 운용 중이다. 연간 생산량은 약 1,000대 수준이며, 캐나다 버스 시장의 약 70%를 Nova Bus가 점유하고 있다.3. 모델별 설명
3.1. 노바버스 LFS (1996 ~ 현재)
3.1.1. 1차모델(1996 ~ 1999)
| |
전면부 (몬트리올 STM 소속) | 후면부 (롱괴이 RTL 소속) |
- 대형 일체형 앞유리
- 원형 대형 전조등
- 마일드 스틸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 완전 저상 구조 및 후방 경사 바닥
- 오프셋 T-드라이브 파워트레인
3.1.2. 2차모델(1999 ~ 2009)
| |
전면부 (시카고 cta 소속) | 후면부 (뉴저지 럿거스 대학교 소속) |
2차모델의 주요 변경사항
- 후면 디자인 변경
- 스테인리스강 스페이스 프레임 도입
- 완전 저상 구조 중단 및 부분 저상 구조 채택 (2005년)
- 헤드램프 클러스터 디자인 변경 (2007년)
- 하이브리드 전기 파워트레인 옵션 도입 (2007년)
3.1.3. 3차모델(2009 ~ 2013)
| |
전면부 (몬트리올 STM 소속) | 후면부 (뉴욕 MTA 소속) |
3차 모델의 주요 변경 및 추가 사항
- 중앙 배치 T-드라이브 파워트레인
- 배출가스 제어 장비 수용을 위한 냉각 시스템 지붕 이설
- 후미등 구성 변경
- 플러시 장착 창문 옵션 제공
- 굴절형 모델 출시
- 전면 및 후면 디자인 변경
- 후면 창 도입
- 바닥재 소재 변경 (합성 벌집 구조)
파생 모델 및 출시 연혁
- LFX 40'
- LFX 62' 굴절 모델 (2011년 출시)
- LFSe 전기버스 (2011년 출시)
- 60피트 HEV 굴절형 모델 (2011년 도입)
3.1.4. 4차모델(2013 ~ 현재)
| |
전면부 (토론토 TTC 소속) | 후면부 (뉴욕 MTA 소속) |
4차모델 주요 변경사항
- EPA 2013 엔진 대응 후면 디자인 변경
- 천연가스(CNG) 연료 옵션 도입
- 후면 및 실내 디자인 개선
- 전동식 냉각 팬 적용
- 후면 창 삭제 옵션
- 운전석 측 창문 선택 사양 개선
- 신형 에어컨 시스템 도입 (2021년)
- 신형 전기 모델
기존 LFSe 모델을 업그레이드한 LFSe+는 배터리 시스템과 주행거리가 개선되었다. 노바버스의 전동화 전략의 핵심 모델로 자리잡았다.
3.2. 노바버스 LFSA (2009 ~ 현재)
| |
3차모델 (뉴욕 MTA 소속) | 4차모델 (뉴욕 MTA 소속) |
- 굴절형 모델이다.
3.3. 노바버스 LFS Suburban (2005 ~ 현재)
| |
2018년식 (벤쿠버 Translink 소속) | 2008년식 (빅토리아 BC transit 소속) |
- 앞문만 달린 전문형 광역버스 모델이다.
3.4. 노바버스 LFS/LFSA HEV (LFS: 2006 ~ 현재) (LFSA: 2011 ~ 현재)
| |
2차모델 (몬트리올 STM 소속) | 4차모델 (뉴욕 MTA 소속) |
-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3.5. 노바버스 LFX 40/62 (40: 2009 ~ 현재) (62: 2011 ~ 현재)
| |
40피트 (나이아가라 WEGOniagarafalls 소속) | 62피트 (코네티컷 CT fastrak 소속) |
BRT 전용 모델이다. 일반형(40피트)과 굴절형(62피트)가 있다.
3.6. 노바버스 LFSe/LFSe+ (LFSe: 2011 ~ 현재) (LFSe+: 2019 ~ 현재)
| |
LFSe (몬트리올 STM 소속) | LFSe+ (퀘벡 RTC 소속) |
- 순수 전기버스 모델이다.
3.7. 노바버스 LFS CNG (2013 ~ 현재)
| |
2018년식 (나이아가라 NFTA 소속) | 2023년식 (벤쿠버 Translink 소속) |
- 천연가스버스 모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