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 제20회 (1948년) | 제21회 (1949년) | 제22회 (1950년) | 제23회 (1951년) | 제24회 (1952년) |
구두닦이 ( | 무슈 뱅상 ( | 자전거 도둑 ( | 말라파가의 성벽 ( | 라쇼몽 ( | |
제25회 (1953년) | 제27회 (1955년) | 제28회 (1956년) | 제29회 (1957년) | 제30회 (1958년) | |
금지된 장난 ( | 지옥문 ( | 미야모토 무사시 ( | 라 스트라다 ( | 카비리아의 밤 ( | |
제31회 (1959년) | 제32회 (1960년) | 제33회 (1961년) | 제34회 (1962년) | 제35회 (1963년) | |
나의 삼촌 ( | 흑인 오르페 ( | 처녀의 샘 ( | 거울을 통해 어렴풋이 ( | 시벨의 일요일 ( | |
제36회 (1964년) | 제37회 (1965년) | 제38회 (1966년) | 제39회 (1967년) | 제40회 (1968년) | |
8과 1/2 ( | 어제, 오늘, 내일 ( | 중심가의 상점 ( | 남과 여 ( | 가까이서 본 기차 ( | |
제41회 (1969년) | 제42회 (1970년) | 제43회 (1971년) | 제44회 (1972년) | 제45회 (1973년) | |
전쟁과 평화 ( | Z ( | 완전 범죄 ( | 핀치 콘티니의 정원 ( | 부르주아의 은밀한 매력 ( | |
제46회 (1974년) | 제47회 (1975년) | 제48회 (1976년) | 제49회 (1977년) | 제50회 (1978년) | |
아메리카의 밤 ( | 아마코드 ( | 데르수 우잘라 ( | 색깔 속의 흑백 ( | 마담 로자 ( | |
제51회 (1979년) | 제52회 (1980년) | 제53회 (1981년) | 제54회 (1982년) | 제55회 (1983년) | |
손수건을 꺼내라 ( | 양철북 ( | 모스크바는 눈물을 믿지 않는다 ( | 메피스토 ( | 비긴 더 베긴 ( | |
제56회 (1984년) | 제57회 (1985년) | 제58회 (1986년) | 제59회 (1987년) | 제60회 (1988년) | |
화니와 알렉산더 ( | 위험한 행마 ( | 오피셜 스토리 ( | 한밤의 암살자 ( | 바베트의 만찬 ( | |
제61회 (1989년) | 제62회 (1990년) | 제63회 (1991년) | 제64회 (1992년) | 제65회 (1993년) | |
정복자 펠레 ( | 시네마 천국 ( | 희망의 여행 ( | 지중해 ( | 인도차이나 ( | |
제66회 (1994년) | 제67회 (1995년) | 제68회 (1996년) | 제69회 (1997년) | 제70회 (1998년) | |
아름다운 시절 ( | 위선의 태양 ( | 안토니아스 라인 ( | 콜리야 ( | 캐릭터 ( | |
제71회 (1999년) | 제72회 (2000년) | 제73회 (2001년) | 제74회 (2002년) | 제75회 (2003년) | |
인생은 아름다워 ( | 내 어머니의 모든 것 ( | 와호장룡 ( | 노 맨스 랜드 ( | 러브 인 아프리카 ( | |
제76회 (2004년) | 제77회 (2005년) | 제78회 (2006년) | 제79회 (2007년) | 제80회 (2008년) | |
야만적 침략 ( | 씨 인사이드 ( | 갱스터 초치 ( | 타인의 삶 ( | 카운터페이터 ( | |
제81회 (2009년) | 제82회 (2010년) | 제83회 (2011년) | 제84회 (2012년) | 제85회 (2013년) | |
굿' 바이: Good&Bye ( | 엘 시크레토: 비밀의 눈동자 ( | 인 어 베러 월드 ( | 씨민과 나데르의 별거 ( | 아무르 ( | |
제86회 (2014년) | 제87회 (2015년) | 제88회 (2016년) | 제89회 (2017년) | 제90회 (2018년) | |
그레이트 뷰티 ( | 이다 ( | 사울의 아들 ( | 세일즈맨 ( | 판타스틱 우먼 ( | |
제91회 (2019년) | 제92회 (2020년) | 제93회 (2021년) | 제94회 (2022년) | 제95회 (2023년) | |
로마 ( | 기생충 ( | 어나더 라운드 ( | 드라이브 마이 카 ( | 서부 전선 이상 없다 ( | |
제96회 (2024년) | 제97회 (2025년) | 제98회 (2026년) | 제99회 (2027년) | 제100회 (2028년) | |
존 오브 인터레스트 ( | - | - | - | - |
1. 개요
1. 개요
흑역사가 되어 버린 한국판 포스터.
No Man's Land
다니스 타노비치가 연출한 2001년작 전쟁 영화.
보스니아와 세르비아가 한창 대치하던 1994년을 배경으로 한다. 영화 속 등장인물이 르완다 학살을 언급하는 장면이 나온다. 영화 속 노 맨스 랜드는 양국의 경계선으로 일종의 비무장 지대이다.
이 공간에 주인공 셋이 고립되는데 두 명은 보스니아 병사고 한 명은 세르비아 병사다. 근데 보스니아 병사 한 명은 지뢰 위에 누워있고 그를 사이에 두고 양국의 군인 둘이서 총을 겨누며 대치하는 상황. 심지어 이 상황이 세계에 보도되고 폭발물 전문가가 나서는데 지뢰 제거는 여의치 않는 등 계속 난감한 상황이 벌어진다.
아이러니한 상황을 그리는 블랙 코미디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폭소만발할 영화가 아닌데, 국내에서는 개그 영화처럼 포스터를 만들어 홍보해서 어느 관객도 잡지 못하고 욕만 먹었다.
상당한 다국적 영화이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벨기에, 프랑스, 슬로베니아, 이탈리아, 영국이 크레딧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