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06:38:38

냄새

냄세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남우현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향기(남우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인터넷 방송인에 대한 내용은 냄새(인터넷 방송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원리3. 기능4. 어원5. 종류6. 여담

1. 개요

냄새(smell)는 인간오감중 하나인 후각으로 얻게되는 정보를 말한다. 미각과도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2. 원리

의 점막이 공기 중에 퍼진 분자와 닿으면 얻을 수 있다.

수중 생물들은 물 속의 물질로 감별한다.

3. 기능

많은 동물들이 먹을 수 있는 것인지 아니면 없는 것인지를 판단하거나, 자신의 새끼를 구별하고,[1] 낯선 물체를 탐지할 때 냄새를 이용한다.

사람도 마찬가지이며, 문명이 발달하기 전부터 냄새를 통해 음식의 상태를 살피는 등 썩은 음식 같은 치명적인 요소들로부터 자신의 목숨을 지켜낼 수 있었다. 먹어보는 게 제일 확실하지만 정말 치명적인 것은 조금 먹는 것도 위험할 수 있으니[2] 냄새를 통해 부패 여부를 아는 것이 요긴했다. 오늘날에는 냉장고를 위시하여 음식 보존 기술이 발전해 냄새로 부패를 판단해야 할 일은 줄었지만, 육류/해산물/우유처럼 상하기 쉬운 음식들은 여전히 냄새를 맡아보는 게 중요하다. 냄새가 안 난다고 꼭 안 상했다고 볼 순 없지만 냄새가 나는 건 상했다고 보는 게 안전하다.

비단 음식의 상한 여부를 확인 하는 것 외에도 냄새로 위생 상태나 건강을 체크할 수도 있으며, 화재가 발생했을 시에는 냄새가 불이 났음을 감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든 물질을 냄새로써 감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일산화 탄소, 라돈 같은 물질은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끼침에도 냄새가 나지 않는다.

4. 어원

어원은 자동사인 '나다'로, 이것에 사동 접미사 '-이-'가 붙어 '나이다→내다'가 되었고, 그 명사 파생형이 '내음'이 되었다. 오늘날 '꽃내음' 등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내음' 뒤에 '모양새', '낌새' 등에 있는, 꼴을 뜻하는 접미사 '-새'가 붙어 '내음새'가 되었고, 이게 줄어든 게 '냄새'이다. 한편, '내다'의 어간 '내-'는 이 자체로 명사로 무접 파생이 일어났는데, 그게 바로 '꽃내', '똥내', '향내' 등의 '내'이다.

5. 종류

기존 연구에서 인간이 식별 가능한 냄새는 약 1만 개가량이라는 것이 통설이었다. 그러나 2014년 3월 20일, 미국 연구진이 사람의 코로 1조 개의 냄새를 식별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고 한다. 관련 기사

한편 언어 표현은 이 종류 수를 따라가지 못하고 훨씬 적다. '빨간색' 등 추상 개념어가 존재하는 색깔 분야와는 달리 냄새 어휘는 주로 그 냄새를 뿜는 대상에 '○○ 냄새', '○○ 향' 식으로 이름을 붙이는 데에 그친다.[3] 때문에 '뭔가 익숙한 냄새가 섞인 것 같긴 한데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그런 냄새들이 상당히 많다.

6. 여담


[1] 대표적으로 고양이. 사람 손길이 조금만 오래 닿아도 냄새가 달라져 어미에게 버림받는다. 길거리에 혼자 돌아다닌다고 막 만지지 말자.[2] 다행히 냄새까지도 치명적인 물질은 이 세상에 그렇게 많지 않다. 조금만 흡입해도 죽는 독가스는 근대에나 개발되었다. 다만 오늘날 정제된 화학 물질은 냄새가 너무 강해 후각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니 바람을 일으켜 희석시켜 맡는 것이 안전하다.[3] 대표적인 예로 똥냄새는 인류의 문명이 시작되기도 전부터 맡아왔던 냄새지만 '똥'과는 별개의 개념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똥의 색깔은 똥과 별개인 갈색 등의 개념어가 존재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