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01:02:35

남평문씨본리세거지


{{{#!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5c3>
파일:달성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2px"
논공읍 달성 100년 타워
구지면 도동서원
가창면 가창댐
화원읍 달성습지 남평문씨본리세거지 마비정 벽화마을 사문진 주막촌과 낙조
다사읍 디아크문화관강정고령보
유가읍 비슬산참꽃군락지 국립대구과학관 대견사비슬산암괴류
옥포읍 옥포벚꽃길
}}}}}}}}}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008837>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호]⠀
{{{#!wiki style="margin:-10px 0"

[1] 국가민속문화유산 제261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1. 남평문씨본리세거지2. 인흥서원

1. 남평문씨본리세거지

남평문씨본리세거지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세거지로 남평 문씨 일족 집성촌이다. 1995년 5월 12일 대구광역시의 민속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후기 남평 문씨의 동족마을이자 세거지이다. 대구수목원, 인흥서원과 붙어있으며 총 면적은 1만 1701㎡(3,546평)이다. 문익점의 18대손 문경호가 터를 닦아 남평 문씨 일족이 모여 살던 곳이다. 조선 후기의 전통가옥 9채와 정자 2채가 있으며 보당고택, 수봉고택, 광거당, 혁채가, 약산가, 인수문고, 남평문화씨제당이 위치한다. 남평문씨문중을 기념, 기리는 곳이기도 하다. 인흥서원과 바로 붙어 있으며 대구시와 달성군의 관광지 조성화로 둘 다 달성12경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2. 인흥서원

인흥서원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서원으로 조선 후기 추계 추씨 4현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서원이다. 1866년 고종서원 철폐로 폐지되었다가 1936년 재개설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남평문씨 본리세거지와 바로 붙어있으며 대구시와 달성군의 관광지 조성화로 둘 다 달성12경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