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d7ffce,#0f4a02> |
1. 개요
난할 / 卵割 / cleavage난할이란 수정란이 연속적으로 빠르게 세포 분열하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인 체세포 분열과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가진
2. 주요 특징
- 세포 크기 감소: 난할이 진행될수록 세포의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각 세포(:en:Blastomere|할구(割球, blastomere))의 크기는 분열이 거듭될수록 점점 작아진다. 이는 G1기와 G2기와 같은 세포 성장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DNA 복제(S기)와 분열(M기)만 빠르게 반복된다.
- 배아 전체 크기 유지: 난할 동안에는 세포질의 양이 증가하지 않으므로, 배아 전체의 크기는 수정란과 거의 동일하게 유지된다. 즉, 세포의 수만 늘어날 뿐 배아가 커지지는 않는다.
- 빠른 세포 분열 속도: 일반적인 체세포 분열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세포 분열이 일어난다.
- 할구 형성: 난할의 결과로 생긴 각각의 세포를 할구라고 한다.
- 다세포 배 형성: 난할을 통해 단 하나의 수정란이 여러 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다세포 배로 발달하기 시작한다.
- 난황의 영향: 난황의 양과 분포는 난할의 방식과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난황이 많은 쪽은 분열이 억제되거나 느리게 진행될 수 있다.
- 발생 단계: 난할은 수정 후 배아가 자궁에 착상하기 전까지 일어나는 초기 발생 단계이다. 난할이 끝난 후에는 상실배(桑實胚, morula), 포배(胞胚, blastocyst) 등의 단계를 거쳐 낭배 형성(囊胚形成, gastrulation), 기관 형성(器官形成, organogenesis) 등의 본격적인 발생 과정이 진행된다.
3. 난할의 유형
난할의 유형은 난황의 양과 분포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주요 난할 유형은 다음과 같다.- 전할 (Holoblastic cleavage): 난황의 양이 적거나 고르게 분포된 난에서 일어난다. 수정란 전체가 완전히 분열된다.
- 등황할 (Isolecithal cleavage): 난황이 고르게 분포된 난에서 일어난다.
- 방사할 (Radial cleavage): 해면동물, 극피동물 등에서 나타난다.
- 나선할 (Spiral cleavage): 환형동물, 연체동물 등에서 나타난다.
- 회전할 (Rotational cleavage): 포유류에서 나타난다.
- 중황할 (Mesolecithal cleavage): 난황이 식물극 쪽에 치우쳐 분포된 난에서 일어난다.
- 부등할 (Unequal cleavage): 양서류에서 나타난다. 동물극 쪽 할구가 식물극 쪽 할구보다 작게 분열한다.
- 부분할 (Meroblastic cleavage): 난황의 양이 매우 많은 난에서 일어난다. 수정란의
일부만 분열된다. - 반할 (Discoidal cleavage): 난황이 한쪽 끝에 집중된 난에서 일어난다. 조류, 파충류, 어류 등에서 나타난다.
- 표할 (Superficial cleavage): 난황이 중앙에 위치하고 핵이 주변으로 이동하여 *분열한다. 곤충류에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