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10-01 10:46:04

나한간고첩



1. 개요2. 무공

1. 개요

풍종호의 무협소설 『화정냉월(花情冷月)』에 나오는 철불(鐵佛) 풍범릉이 비밀리에 간직하고 있는 독특한 비급이다. 누대에 걸쳐 천하에 전승되는 많은 비급에는 흔한 책의 형태를 한 것도 있고, 조상(彫像)이나 그림의 형태를 한 것도 상당하다. 나한간고첩(羅漢看苦帖)은 그 다양한 형태 중에 도첩(圖帖)이라는 형태를 띠고 있는 비급으로, 그 안에는 철나한권(鐵羅漢拳)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특이하게도 후대의 어떤 고수가 이 나한간고첩의 여백에 한 가지를 더 그려 넣는데, 이름하여 고해무변식(苦海無邊式)이다.

나한간고첩의 그림은 나한이 고통으로 가득한 이 세상을 섭렵하며, 그 자비(慈悲)로 고해 속에 허덕이는 중생을 구제하는 의미가 실려 있다. 그 고해를 바라보는 나한의 자태와 더불어 쓰인 글귀가 바로 철나한권의 비결이다. 그러나 여기에 추가된 고해무변식은 고해 밖에서 지켜보던 나한을, 그 고해 복판에 빠져 죽는 형세로 그림을 바꾸어버린 철나한권의 완전한 파해식(破解式)이었다. 게다가 이 황당한 그림을 그려 넣은 고수의 심술은 대단해서 철나한권을 연성한 뒤에야 그 의미를 알 수 있게 해 놓았다.

진작 알게 되면 철나한권보다 고해무변식에 정성을 쏟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는가? 그렇기에 고해무변식이 추가된 뒤로 나한간고첩의 전승자는 자기가 죽기 전까지 제자에게조차 그것을 쉽게 보여주지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非一非再)했다. 대신 나한간고첩을 감추고 우선은 구술(口述)과 실기(實技)로 전수한 다음, 후일 전승자가 결정될 때에야 전해주는 일이 거의 관례가 되다시피 한다.

원래의 나한간고첩은 오래 숙고하며 바라보고 궁리를 해야 비로소 그 의미가 명확해져 무예를 연마할 기틀이 잡히는 오묘한 비급이다. 하지만 여기에 고해무변식이 추가되면서 철나한권 부분은 금세 알 수 있도록 부각되어 거의 속성으로 익힐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어느 정도 경지에 이르러 다시 나한간고첩을 들여다보면 깨닫는 것이다. 무심히 지나쳤던 고해무변식을······. 그 안에 숨겨진 오묘한 현기(玄機)는 상승(上乘)의 절학을 단련했다는 일단의 고수들도 제대로 설명할 수 없을 만큼 대단한 것이다. 대체 어떻게 그림을 2~3번 봐야 의미를 알아차릴 수 있도록 그릴 수 있는가? 대체 어떻게 철나한권의 비결을 완전히 알아본 시점에서도 고해무변식의 실체를 보지 못하고 시간이 흘러 더 높은 경지에 이른 다음에야 알아볼 수 있는가? 이 때문에 나한간고첩은 더욱 특별하게 여겨진다.

이러한 나한간고첩을 알고 있던 엄자추는 성무장(聖武莊)의 위협에서 빠르게 힘을 키우기 위해 어떻게든 손에 넣으려고 한다. 철나한권을 부하들에게 전수하고, 자신은 고해무변식을 익혀 쉽게 고수들을 키워내면서 통제까지 유용하게 할 생각이었다. 그래서 부하로 삼은 수적들을 동원, 풍범릉의 처인 번서향을 납치하여 나한간고첩과 교환하고자 한다. 하지만 운이 없었는지 임천생이 번서향을 구출하면서 시간이 끌렸으며, 그사이에 풍범릉의 부탁으로 사정을 파악하러 온 봉무진에게 모든 사실이 들통나 실패하고 만다.

2. 무공


[1]광혼록(狂魂錄)』에서 드러난 성격과 나한간고첩에 부려놓은 심술이 너무도 잘 어울린다. 더구나 그의 무공 이름이 고해무변신공(苦海無邊神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