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이름을 가진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필립(동명이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000><colcolor=#fff> 김필립 金必立 | Philip Kim | |
출생 | 1968년 (55~56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 / 학사) (199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학 / 석사) (1992년)[1]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응용물리학 / M.A.) (1996년)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응용물리학 / Ph.D.) (1999년) |
현직 | 現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 정교수)[2] |
경력 | 컬럼비아 대학교 (물리학과 / 정교수) (2014~2009년) 컬럼비아 대학교 (물리학과 / 부교수) (2006~2009년) 컬럼비아 대학교 (물리학과 / 조교수) (2002~2006년) UC 버클리 (밀러 펠로우 / 1999~2001년) |
수상 | 2008년 제18회 호암상 과학상 2011년 제6회 자랑스러운 한국인상 2023년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적의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그래핀 연구로 2023년 벤저민 프랭클린 메달을 수상했다.
본명이 한자 이름 필립(必立)이다.
서울대학교 재학 당시 하태경 의원과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블룸버그 석좌교수인 하택집과 동기였다.
2. 업적
김필립 교수도 그래핀 분야로, AFM[3] 등을 이용해 그래핀에 가까운 무언가를 얻어냈고 이후로도 왕성한 활동을 했다.그러나 AFM으로 분리한 물건은 너무 두껍고 활동 자체도 Novoselov-Geim에 비해서 뒤떨어진다고 봤다.
[1] 석사 학위 논문: STM을 이용한 Y₁Ba₂Cu₃O₇ 고온초전도체 박막의 연구[2] 공학응용과학부 응용물리학 프로그램 교수[3] Atomic Force Microscope, 쉽게 말하면 원자크기 탐침으로, 작동 원리는 LP용 축음기에서 바늘이 하는 역할을 생각하면 비슷하다. 원래는 측정용 기술 및 장비인데 Tip 끝을 기존의 Si같이 잘 부숴지지 않게 만든것에서 그라파이트로 바꾸는 마개조를 하였다. 자세한 것은 김필립교수의 15분짜리 스피치를 통해 확인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