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민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2022 시즌 | → | 2023 시즌 | → | 2024 시즌 |
1. LCK 스토브리그/2022
2022년 11월 22일, 스토브리그 시작과 함께 KT와 계약을 종료하였다. 다음 날인 23일 한상용 감독의 한화생명 강조, 25일 데일리e스포츠의 김용우 기자의 킹겐과 제카가 이적했다는 기사 말미에 라이프 등 한화생명 이적이 유력해졌고 결국 젠지 원정대였을때 같이 합을 맞췄던 클리드와 함께 한화생명으로 이적했다.2. 2023 LoL Champions Korea Spring
|
2023 Spring "HLE Life" |
1주차 광동전은 1세트 서폿 진, 2세트 나미를 잡았으나 전반적으로는 헤매는 모습이 많았다. 팀도 다소 삐걱거리는 모습이 역력했지만 광동의 저돌적인 공세를 나름대로 버티면서 상대의 미숙한 운영을 틈타 역전해 2:0 승리를 거뒀다. 그나마 1세트 서폿 진을 잡았을 때는 제카와 합을 맞춰 상대를 몇 차례 끊어내는 모습이 나오긴 했다.
그러나 샌드박스전에서도 여전히 좋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클리드의 저점이 눈에 띄게 심각하긴 했지만, 라이프도 조용히 존재감이 삭제되어 한화생명이 높은 이름값에도 불구하고 제카 원맨팀이 되어버린 상황이다.
그 이후엔 라인전에서의 추가 딜교, 타워 데미지 추가를 이유로 하위템 때문에 혼자서 벨트 딩거를 가는 홍대병으로 굉장히 논란이 됐는데[1] 본인은 벨트의 하위템으로 이득을 보기 위해서라지만 정작 이게 큰 이득으로 이어진 적은 없고 벨트를 완성시켜도 기습 이니시로 사용되지도 않고 도주를 통한 슈퍼플레이는 커녕 라이프가 벨트를 쓴다→다음턴에 바로 적에게 먹잇감이 된다로 이어지기 때문에 모함과 함께 LCK 최악의 서포터로 지목되기도 했다. 그래도 T1과의 경기에선 드디어 벨트 딩거를 버리고 선 모렐로 딩거를 올리는 이타적인 모습으로 팬들을 안심시켰으며 해당 경기는 신들린 밴픽으로 T1의 카운터를 먹이면서 2:1로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인터넷 방송 롤붕토론에선 굉장히 쌘 체급의 제카, 바이퍼 단단한 킹겐, 지금은 부진하지만 잘할땐 공격적인 성향으로 게임을 풀어가던 클리드같이 팀합과 색깔이 얼추 맞아가는데 라이프는 다소 애매한 감이 없지 않아 있다란 평이 있었다. 유틸폿 메타라 이니시에이터 성향이 있는 라이프가 붕뜬단 느낌. 그래도 4주차부터는 탱폿들이 버프를 받을 예정이라 한화라는 팀에 어울리는 컬러를 갖춰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탱폿이 버프를 받은 4주차 이후로도 여전히 애매한 모습만 보이고있다. 리그 후반부로 갈수록 라이프의 고평가 요소였던 라인전도 다소 무뎌지는 모습을 보이는 것도 모자라서 여전히 게임을 굴리는 것은 못하고, 오히려 초반을 잘 풀어놓고 후반에 던지는 빈도수만 높아지면서 라이프의 운영능력에 대한 시선은 더욱 안좋게 변했다.
스프링이 끝난 시점에서는 포스트 시즌권 서포터중에선 가장 최악, 최약의 선수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3.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
|
2023 Summer "HLE Life" |
|
하지만 플레이오프에서는 그리즐리 이상으로 팀의 구멍으로 전락하여 플옵 광탈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그리즐리보다 심하면 심했지 덜하지는 않은 게 오더 능력은 고사하고 본래의 특기인 이니시에이팅도 제대로 못하는 수준으로 그로 인해 바이퍼가 막대한 부담을 지게 되며 공격적인 플레이를 할 수 없어 무색무취가 되었으며 그로 인해 강팀과의 경기에서 바텀 라인전을 지는 게 상수가 됐다. 그로 인해 킹겐과 제카의 부담이 커지고 그곳에서 2차적으로 그리즐리가 신인 이슈를 보이며 라이프 때문에 안 그래도 힘든 킹겐과 제카의 부담을 극악으로 늘려서 쵸비가 통나무를 들던 2021 한화처럼 만든 장본인이다.
4.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선발전
선발전에서 역시 바이퍼와 함께 저점을 띄우며 팀의 월즈 진출 실패에 일조했다. 애초에 열세인 kt전은 논외로 하더라도, 백중세인 DK전에서도 켈린과 서폿차이가 나면서 결국 선발전에서 탈락하고 말았다.클리드, 그리즐리와 함께 팀을 월즈에도 못 가게 한 원흉이 되었기 때문에 이대로면 다음 시즌에 서부권 팀에서 보기 힘들 가능성이 높다.[6]
[1] LCK의 어지간한 서포터 선수들은 cc를 보충하기 위해 선 라일라이부터 올린다.[2] 덕분에 정규 시즌 MVP는 T1의 서포터인 케리아 선수이며 최하위권팀의 서포터가 아닌 이상 어지간한 서포터 선수들은 POG 선정을 받았다.[3] 멤버들이 전부 잘해서 투표 동률이 나와 분석 데스크 선정으로 다른 선수가 받은 적이 있긴 하다.[4] 켈린 역시 오더의 부재로 인해 팬덤에선 디플의 부진의 원흉으로 꼽히기도 하나 정규시즌에선 팀의 역전승을 이끄는 플레이메이킹을 보여주기도 했으며 카엘은 23 스프링 서포터 단속 POG, 2번째 만장일치 POG선정을 받는등 샌박의 부진속에서도 윌러와 함께 꾸준히 잘해줬다는 평을 들었다.[5] LCK 2회 준우승, 롤드컵 4강 1회[6] 그나마 그리즐리는 급하게 투입된 신인이라는 참작 사항이 있고 정규시즌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줬으나 플레이오프에서 약점을 크게 찔려버리며 한계에 부딪힌 케이스다. 그러나 라이프는 이미 중견급 선수라 그리즐리처럼 성장을 기대할 수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