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김시연은 대한민국의 영화감독, 시나리오 작가, 영화제작자이다.2023년 영화 《내 이름은 O90》으로 제80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이머시브 경쟁 부문에 공식 초청되었으며, 다수의 국내외 영화제와 미디어아트 전시에서 수상 및 상영 경력을 가지고 있다.
2009년 제 16회 루이비통 세계 젊은 작가상을 수상하며 - 안느 발드사리, 전 프랑스 파리 피카소 미술관장, 루이비통재단 미술관장 -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불안과 고독, 고립을 주요 주제로 삼아 도시와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며 독창적인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2. 생애
프랑스 파리 국립고등미술학교와 아를 국립고등사진학교를 졸업하고, 파리 소르본 4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했으며, 한국영화아카데미에서 영화 연출 및 제작을 공부했다.작품은 불안, 의심, 고립, 착각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서사와 이미지를 연결하여 관객과 대화를 시도한다.
작가의 작업은 익숙함과 낯섦이 교차하는 경계에서 출발한다. 자연과 도시, 개인과 사회, 실제와 가상 간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며, 이미지와 사운드, 데이터 시각화를 통해 새로운 해석을 제안한다. 그는 일방적이지 않은 대화를 목표로 하며, 착각과 불안, 두려움을 통해 인간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를 드러낸다 대표작은 《Tremblement_진동, 파장》 은 기괴함과 불안을 연상시키는 작품으로 2009년 제 16회 루이비통 세계 젊은 작가상을 수상하며 - 안느 발드사리, 전 프랑스 파리 피카소 미술관장, 루이비통재단 미술관장 -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불안과 고독, 고립을 주요 주제로 삼아 도시와 인간의 내면을 탐구하며, 사진과 영상, XR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관객과의 독창적인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
《City Rhythm》 2019, 이 작품은 오스트리아 린츠 아르스 일렉트로니카에서 영예상을 수상하고 세계 여러 영화제에 초청되었다. 《LOST》는 몬트리올 국제 영화제에서 심사위원상을 받았으며 《Decalcomanie》 2020은 시체스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브뤼셀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등에서 초청되며 그의 작업이 가진 독창성과 예술성을 입증했다.
최근작 《My Name Is O90》 은 제 80회 베니스 국제영화제 이머시브 부문에 공식 선정되며 확장현실 XR 매체를 활용한 몰입형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이 작품은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를 주제로 삼아, 기술과 인간성이 교차하는 지점을 깊이 성찰한다. 김시연의 작품 세계는 인간의 불안, 착각 그리고 기억의 이중성을 탐구하며, 익숙한 공간에서 낯선 감각을 발견하게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팬데믹 시대에 고립과 이동이라는 주제를 다룬 《공의 매혹》에서는 이동과 고립의 경계가 주는 허무함을 탐구하며, 제주현대미술관 전시 《고립과 고독의 연대》를 통해 이를 심화했다. 또한 《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는 실감형 미디어 전시로 연장되어, 관객들에게 기억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경험할 수 있는 몰입형 공간을 제공했다. 이 작품은 2022 토론토 여성국제영화제에서 최우수 경험상을 받았다.
그의 작업은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흐트러뜨리며, 도시와 자연, 인간과 사회라는 주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한다. 관객들은 그의 작품을 통해 익숙하지만 낯선 공간에 들어가며, 자신의 내면과 세계를 새롭게 성찰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3. 필모그래피
! 연도 !! 제목 !! 형식/역할 !! 비고
3.1. 전시 및 설치 작품
* 2023년 《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 – 실감형 미디어전시, 제주현대미술관 한국* 2021년 《그리고 사라지듯이》 – 전시, 제주도립미술관 한국
* 2021년 《공의 매혹 : 고립과 고독의 연대》 – 전시, 제주현대미술관 한국
* 2021년 《도시의 욕망: 삶, 아파트》 –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제2전시관
* 2020년 《도시리듬》 – South by Southwest, 한국관 공식 상영 (미국 텍사스 오스틴)
* 2019년 《도시의 욕망: 삶, 아파트》 – 제19회 서울국제미디어페스티벌 경쟁작,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2020년 《데칼코마니》 – 부산국제영화제 VR 부문 경쟁작, 파리, 플로렌스, 앙굴렘 상영
4. 수상
* 제80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이머시브 경쟁 부문 공식 초청 – 《내 이름은 O90》 (2023)* 제16회 LVMH 루이비통 세계 젊은 작가상 수상 (심사위원장 전 피카소 미술관장, 루이비통재단 큐레이터 안느 발드사리) – 《Tremblement》 (2009)
The jury for the 16th LVMH Young Artists’ Awards, headed by Anne Baldassari,
Director and Curator of the Musée Picasso in Paris and Curator of the “Picasso and the Masters”
* 제40회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영예상 – 《도시리듬》 (2019)
*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올해의 VR 영화상 – 《데칼코마니》 (2019)
* 제4회 사티스 360 필름페스티벌 심사위원상 – 《데칼코마니》 (2019)
* 캐나다 몬트리올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심사위원상 – 《로스트》 (2020)
* 넥슨컴퓨터박물관 V Reality 오픈콜 수상 – 《언노운 월드》
* 제1회 중앙미디어아트 최우수 작품상 – 《산책》 (2021)
* 캐나다 국제여성영화제 최우수 경험상 – 《숲이라는 이름에 묻힌 나무》
* LA 시네마토그래피 어워드 최우수 작품상 – 《데칼코마니》
5. 외부 링크
http://siyeonkim.com/ 공식 웹사이트
https://www.kmdb.or.kr/db/per/00218642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jky&pkid=1&os=32311971&qvt=0&query=%EA%B9%80%EC%8B%9C%EC%97%B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