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성씨로 김, 이름으로 구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목록.2. 현대
2.1. 실존 인물
2.1.1.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자세한 내용은 김구 문서 참고하십시오.2.1.2. 대한민국의 전 가수 현재는 성우
자세한 내용은 김구(가수) 문서 참고하십시오.2.1.3. 대한민국의 성우 김준의 본명[1]
자세한 내용은 김준(성우) 문서 참고하십시오.2.2. 가상 인물
2.2.1. 웹툰 〈대가리〉의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김구(대가리) 문서 참고하십시오.3. 현대 이전
3.1. 고려시대
3.1.1. 金坵
고려 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차산(次山), 호는 지포(止浦)이다. 젊을 적에 제주 판관을 지낸 적이 있으며, 이 시기에 토지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 자연적으로 많이 놓여 있는 현무암을 돌담으로 활용해 땅을 빼앗길 수도 있는 양민의 토지를 지키는 데 기여했다.3.2. 조선시대
3.2.1. 金絿
조선 4대 명필 | |||
사자관체 | 예서체 | 인수체 | 초서체 |
석봉 한호 | 비해당 이용 | 자암 김구 | 봉래 양사언 |
김구의 필체인 인수체. - 대전시립박물관 전시
1488년 예산군 ~ 1534년
조선 중종 시대의 문신으로 자는 대유, 호는 자암(自庵)과 삼일재, 시호는 문의, 본관은 광산(光山)이다. 조선의 4대 명필로 손꼽힌 사람으로, 김구가 인수방에 살았으므로 김구가 쓴 필체는 '인수체'라고 불렸다.
생원 시절 세조 즉위 초에 폐위된 단종의 어머니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소릉(昭陵)을 복위를 청했으나 거절당한 적이 있으며[2], 1513년에 별시문과에서 을과로 급제하였다. 조광조, 김식 등과 함께 사림파의 주요 인물로 홍문관 부제학까지 올랐으나,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투옥된 뒤 개령으로 유배되고 남해, 임피 등으로 이배되었다가 1533년에 풀려났다. 이후 고향 예산에서 여생을 보내었으나 1534년, 풀려난 지 1년 만에 사망하였다. 사망한 지 4년 뒤인 1538년에 부제학 직첩을 되돌려받고[3] 영조 시절 시호를 추증받았다.[4]
3.2.2. 金構
자세한 내용은 김구(1649) 문서 참고하십시오.[1] SNS 등지에 본명으로 등록되어있기도 하다.[2] 중종실록 17권, 중종 7년 12월 7일 정미 3번째기사[3] 중종실록 87권, 중종 33년 4월 12일 을묘 3번째기사[4] 영조실록 64권, 영조 22년 9월 6일 기해 7번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