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당구 선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경률(당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경률(당구)#|]][[김경률(당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영화감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경률(영화 감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경률(영화 감독)#|]][[김경률(영화 감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정치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경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경율#|]][[김경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矞은 급수에 배정돼있지도 않은 벽자인데[1], 이는 률이 아닌 율 단독 음가만 취한다. 그래서 원칙적으로는 김경율이 맞다.[2]
4. 군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경률(군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경률(군인)#|]][[김경률(군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다만 대법원 지정 인명용 한자이기는 하다.[2] 그런데 윤석렬처럼 혼용해서 쓰는 사례가 있기는 하다. 이 경우에도 悅(기쁠 열)은 단독 음가만 취하므로 원칙적으로는 윤석렬이 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