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3 06:42:56

기후 변화 부정론



1. 개요2. 설명3. 근거4. IPCC와 기후 변화 옹호론자들의 신빙성이 떨어지는 주장들5. 사례

1. 개요

지구 온난화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에 의한것이 아니라 자연적인 현상이며 기후 종말과 같은 재앙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주장.

2. 설명


기후 다큐멘터리 '냉정한 진실'

지구 온난화 허구설은 지구 온난화가 인간이 배출한 탄소때문이 아닌 자연적인 현상이라고 믿는 사람들의 의견이다. 이들의 주장은 기후의 변화는 태양활동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며 탄소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이다.

첫번째 입장을 대표적인 인물로는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존 클라우저,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이바르 예베르, MIT의 대기과학자 리처드 린즌(Richard Lindzen), 대기물리학자 프레드 싱어(Fred Singer) 등이 있으며 토론토대 조던 피터슨 교수도 최근 기후 위기를 옹호하는 환경옹호론자들을 사이비 종교라고 비난했다. #. 한국에서는 이화여대박석순 교수가 기후 위기론은 허구이며 기후 변화의 원인이 탄소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다. #

3. 근거

기후 변화를 부정하는 다큐멘터리 '냉정한 진실'에 자세히 설명되어있다.#
파일:grld103.jpg
그린란드의 1만년 전부터 지금까지의 빙하량을 측정한 그래프를 보면 빙하가 5천년 전쯤에 많이 녹았다가 다시 형성된것임을 알수있다.

이와 관련된 하버드 대학교의 천체물리학 센터 연구원 윌리 순 박사의 영상
파일:grld104.jpg
We're talking of a few tenths of a degree change in temperature. None of it in the last eight years, by the way. And if we had warming, it should be accomplished by less storminess. But because the temperature itself is so unspectacular, we have developed all sorts of fear of prospect scenarios – of flooding, of plague, of increased storminess when the physics says we should see less. I think it's mainly just like little kids locking themselves in dark closets to see how much they can scare each other and themselves.

우리는 지금 기온이 몇십분의 몇 도 변한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지난 8년간은 아무 변화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만약 온난화가 실제로 일어났다면, 그것은 폭풍 활동이 줄어드는 방식으로 나타났어야 합니다. 하지만 기온 자체가 매우 미미하기 때문에, 우리는 홍수, 전염병, 폭풍 증가 등 온갖 종류의 공포 시나리오를 만들어냈습니다. 실제 물리학은 폭풍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하는데 말이죠. 제 생각엔, 이건 아이들이 어두운 옷장에 들어가 서로 얼마나 겁을 줄 수 있을지 시험하는 것과 같습니다.

4. IPCC와 기후 변화 옹호론자들의 신빙성이 떨어지는 주장들

IPCC를 비롯한 기후 변화 옹호론자들은 터무니 없는 예측들을 해왔으며 이들중 맞은것은 없다.
타임지의 1977년 "How to Survive Coming Ice Age (다가오는 빙하기를 살아남는 방법)"과 2006년 "Global Warming: Be Worried. Be Very Worried (지구 온난화: 걱정하라. 정말 많이 걱정하라)"

기후 변화 회의론자들은 IPCC의 모델 또한 신병성이 떨어진다고 본다.
Based on the weak argument that the current models used by the IPCC couldn't reproduce the warming from about 1978 to 1998 without some forcing, and that the only forcing that they could think of was man. Even this argument assumes that these models adequately deal with natural internal variability—that is, such naturally occurring cycles as El Niño, the Pacific Decadal Oscillation, the Atlantic Multidecadal Oscillation, etc. Yet articles from major modeling centers acknowledged that the failure of these models to anticipate the absence of warming for the past dozen years was due to the failure of these models to account for this natural internal variability. Thus even the basis for the weak IPCC argument for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was shown to be false.

IPCC에서 사용한 현재 모델들이 1978년부터 1998년까지의 온난화를 외부 강제력 없이 재현할 수 없었고, 그들이 생각할 수 있었던 유일한 강제력이 인간이라는 약한 논거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주장조차도 이러한 모델들이 자연 내부 변동성 즉, 엘니뇨, 태평양 10년 진동, 대서양 수십년 진동 등과 같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주기를 적절히 처리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주요 모델링 센터들의 논문들은 지난 10여 년간 온난화가 멈춘 현상을 이 모델들이 예측하지 못한 이유가 바로 이 자연 내부 변동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인정했다. 따라서 인위적 기후 변화에 대한 IPCC의 약한 주장조차도 그 근거가 거짓으로 드러난 것이다.

- MIT 리처드 린즌 교수

유엔도 2010년에 이산화탄소가 지구 온난화 주범이라는 이론이 과장됬다는 것을 시인했었다.뉴스기사

5. 사례


[1] 지구 온난화 논쟁에서 기후 민감도란 이산화 탄소 농도가 2배로 증가했을 때 일어나는 기온상승의 정도를 뜻한다.[2] Deposit of Faith Coalition. 12개 이상의 가톨릭 단체로 구성된 극우 성향 종교 단체. '종교좌파'와 공산주의 세력이 UN을 비롯한 국제기구와 결탁해 거짓된 기후위기를 설파한다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가톨릭 신자들의 정치적 투쟁을 도모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