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6 22:13:37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양철인형

진구와 양철인형에서 넘어옴
파일:극장판도라에몽.png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오오야마 성우진
<rowcolor=#373a3c> 1기 2기 3기 4기 5기
진구의
공룡대탐험
(1980)
진구의
우주여행
(1981)
진구의
아프리카 모험
(1982)
진구의
해저성
(1983)
진구의
마계체험
(1984)
<rowcolor=#373a3c> 6기 7기 8기 9기 10기
진구의
우주소전쟁
(1985)
진구와
철인군단
(1986)
진구와
용의 기사
(1987)
노비타의
패럴렐서유기
(1988)
노비타의
일본탄생
(1989)
<rowcolor=#373a3c> 11기 12기 13기 14기 15기
진구와
동물혹성
(1990)
진구의
도라비안 나이트
(1991)
진구와
구름왕국
(1992)
진구와
양철인형
(1993)
진구와
꿈의 삼총사
(1994)
<rowcolor=#373a3c> 16기 17기 18기 19기 20기
진구의
천지창조
(1995)
진구와
은하철도
(1996)
진구의
태엽도시 모험기
(1997)
진구의
바다 대모험
(1998)
진구의
우주표류기
(1999)
<rowcolor=#373a3c> 21기 22기 23기 24기 25기
진구의
태양왕전설
(2000)
진구와
날개의 용사들
(2001)
진구와
로봇왕국
(2002)
진구와
바람의 마을
(2003)
진구의
시공여행
(2004)
미즈타 성우진
<rowcolor=#373a3c> 26기 27기 28기 29기 30기
진구의
공룡대탐험
(2006)
진구의
마계대모험
(2007)
진구와
초록거인전
(2008)
신 진구의
우주개척사
(2009)
진구의
인어대해전
(2010)
<rowcolor=#373a3c> 31기 32기 33기 34기 35기
진구와
철인군단
(2011)
진구와
기적의 섬
(2012)
진구의
비밀도구 박물관
(2013)
진구의
아프리카 모험
(2014)
진구의
우주영웅기
(2015)
<rowcolor=#373a3c> 36기 37기 38기 39기 40기
신 진구의
버스 오브 재팬
(2016)
진구의
남극 꽁꽁 대모험
(2017)
진구의
보물섬
(2018)
진구의
달 탐사기
(2019)
진구의
신공룡
(2020)
<rowcolor=#373a3c> 41기 42기 43기 44기 45기
진구의
우주소전쟁 2021
(2022)
진구와
하늘의 유토피아
(2023)
진구의
지구 교향곡
(2024)
진구의
그림이야기
(2025)
극장판 도라에몽
45기(가제)
(2026)
스탠바이미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도라에몽: 스탠바이미 2 }}} }}}}}}}}}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양철인형 (1993)
Doraemon: Nobita and the Tin Labyrinth
ドラえもん のび太とブリキの[ruby(迷宮, ruby=ラビリンス)]
파일:노비타와 양철의 미궁(라비린스).jp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external/geneido2.ocnk.net/5e187a682a.jpg

[1]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min-width: 256px" 도라에몽 극장판 시리즈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구름왕국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양철인형 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와 꿈의 삼총사 }}}
<colbgcolor=#9457A4><colcolor=#444693>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일상, 코미디, 액션, 시간여행물
제작 총지휘 후지코 F. 후지오
원작
각본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감수 쿠스베 다이키치로(楠部大吉郎)
연출 츠카다 쇼에이(塚田庄英)
히라이 미네타로(平井峰太郎)
작화감독 토미나가 사다요시(富永貞義)
미술설정 누마이 노부로(沼井信朗)
미술감독 모리모토 시게루(森元茂)
색채 디자인 노나카 사치코(野中幸子)
CG 야기 아키히로(八木昭宏)
미즈바타 사토시(水端聡)
촬영감독 타카하시 히데코(高橋秀子)
오사카베 토루(刑部徹)
특수촬영 와타나베 유리오(渡辺由利夫)
효과 카시와바라 미츠루(柏原満)
특수효과 도이 미치아키(土井通明)
편집 이노우에 카즈오(井上和夫)
사타 타다히토(佐多忠仁)
녹음감독 우라카미 야스오(浦上靖夫)
음악 키쿠치 슌스케
프로듀서 벳시 소이치(別紙壮一)
야마다 토시히데(山田俊秀)
코이즈미 요시아키(小泉美明)
제작 협력 후지코 프로
ASATSU
제작 쇼가쿠칸
신에이 동화
테레비 아사히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미디어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1993년 3월 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년 9월 29일 (TV 방영)
상영 시간 100분
흥행 성적 28.1억 엔
상영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스토리4. 등장인물5. 주제가6. 기타

1. 개요

도라에몽의 14번째 극장판이자 13번째 대장편. 정발명은 진구와 양철인형. 감독 시바야마 츠토무.

소재는 유명 클리셰기계의 반란과 과학에만 의존해 육체가 약화된 인류다.

도라에몽이 작품 초반부터 리타이어[2][3]. 진구 일행을 메인으로 스토리가 진행되며 서스펜스를 매우 강조하였다. 도라에몽 극장판 중에서도 다섯 손가락에 들어가는 명작으로 꼽힌다. 특히 원작 만화보다 애니메이션이 낫다는 평을 듣는다. 원작 만화는 진구가 이런 사건을 겪고도 전혀 성장하지 않고 "도구 없이도 편히 살 수 있게 해주는 도구"를 빌려 달라며 도라에몽을 쫓는다는 개그성 결말이기에 애니메이션의 엔딩이 좀 더 호평을 받았다.

2. 예고편

예고편

3. 스토리

진구네 아버지는 잠결에 TV에 나오는 호텔 광고를 보고 무심결에 예약을 한다, 그리고 다음 날, 본인만 여행을 가지 않는다고 심통이 나 있는 진구에게 예약 소식을 알려준다. 신난 진구는 친구들에게 그대로 친구들에게 자랑을 하지만, 그러나 막상 되짚어 보니 잠결이었고, 그 사실을 안 진구는 그대로 실망에 잠긴다. 다음 날, 학교에서 돌아온 진구는 집에 특이한 가방이 도착한 걸 발견하고, 진구가 가방을 열자, 안에서 거대한 문이 나와 안에 들어가니 멋진 호텔이 있는 섬인데....

4. 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여담으로 일본판 성우 모리야마 슈이치로는 이후 시리즈의 진구와 로봇왕국에선 여기와는 반대로 로봇을 인간의 도구로 만들려는 데스타를 맡게 되면서, 로봇과 관련된 악역이지만 그 방향성이 완전히 다른 두 악역을 연기하게 됐다.

5. 주제가

OP
ドラえもんのうた
도라에몽의 노래
Movie ver.
Full ver.
<colbgcolor=#9457A4><colcolor=#444693> 노래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노 사토코
파일:일본 국기.svg 오오야마 노부요(도라에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선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문남숙(도라에몽)
작사 쿠스베 타쿠미(楠部工)
바바 스스무(ばばすすむ) (보조)
작곡 키쿠치 슌스케
편곡
ED
何かいい事きっとある
뭔가 좋은 일이 분명 있어
Movie ver.
Full ver.
<colbgcolor=#9457A4><colcolor=#444693> 노래 시마자키 와카코(島崎和歌子)
작사 타케다 테츠야
작곡 세리자와 히로아키
편곡 코니시 타카오(小西貴雄)

6. 기타



[1] 하단은 동시 개봉작인 도라미짱 헬로 공룡 키즈!!.[2] 작중 초반에 전기고문으로 몸이 고장 나버리게 된다. 어린 애들이 보기에는 약간 자극적인 장면일수도 있다.[3] 전전작 도라비안 나이트에서는 주머니를 도둑맞고 전작 구름의 왕국에서는 도라에몽이 고장 나며 도라에몽의 도구 없이 헤쳐 나가야 하는 상황이 늘었는데 이번 작품은 더 악화된 상태로 전개된다.[4] 미나구치 유코가 매우 드물게 도전한 소년 연기다.[5] 당시에는 스즈키 미에라는 이름으로 활동중이었다. 짱구는 못말려이훈이로 유명하다.[6] 이 모습을 본 진구는 납치당한 도라에몽를 그리워한다.[7] 왕과 대화를 하던 중 나포기스트라가 캡슐을 가지고 찾아오자 이런 것은 사용하면 안 된다고 말하다가 쓰러지는데 상당히 건장한 체격임에도 맥없이 쓰러지는 모습을 보면 이 시점에서 이미 차모차별 사람들의 육체는 상당히 약해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8] 미니도라 성우이다. 참고로 이 극장판에서는 미니도라도 등장해서 상당한 활약을 펼친다. 다만 더빙판에서는 미니도라를 김윤채가 맡았다.[9] 1934년 7월 26일 아이치현 출신의 배우 겸 성우로 본명은 오오츠카 히로오(大塚博夫). 지브리 애니메이션 붉은 돼지에서 주인공 포르코 롯소 역할을 맡은 것으로 유명했으며 2021년 2월 8일에 향년 86세에 사망했다.[10] 이미지 컨트롤러도 마찬가지. 사피오의 아버지는 이미지 컨트롤러 탓에 사람들의 몸이 약해질 것을 예견해 왕을 찾아가 중지를 요청했다. 그런 시점에 나포기스트라가 캡슐을 가지고 나타났다. 이후 사피오의 아버지를 돌려보낸 후의 반응을 보면 확실하다.[11] 진구 아빠와 중복이다.[12] 철인병단이 탄생한 메카토피아의 로봇들은 양철의 미궁의 로봇들 같은 개그는 없으나 그 역사 과정이 인류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