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15:58:29

국제신문

국제신보에서 넘어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의 지역 언론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신문 파일:부산일보 아이콘.svg 파일:국제신문 아이콘.svg
지상파 방송 파일:KBS부산 로고.svg 파일:부산MBC 로고.svg 파일:KNN 로고.svg
종교방송 파일:파일:부산CBS 로고.svg 파일:부산BBS.png 파일:부산cpbc.png 파일:부산원음방송 로고.png 파일:부산극동방송 로고.svg
기타 방송사 파일:TBN 부산교통방송 로고(2024).svg 파일:부산국악방송 로고.svg 파일:부산영어방송 로고(2025).png 파일:연제FM 로고.png
}}}}}}}}} ||
파일:국제신문 제호.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국제신문 아이콘.svg주식회사 국제신문
株式會社 國際新聞
The Kookje Daily News
}}} ||
<colbgcolor=#5bbaec><colcolor=#fff>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창간 1947년 9월 1일
본사 소재지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217 (거제동)
대표자 윤규황
업종명 신문발행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소기업
임직원 179명 (2021년 11월)
사이트 <colbgcolor=#5bbaec><colcolor=#fff> 파일:국제신문 아이콘.svg 노조 홈페이지(현재 접속불가)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유튜브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구독자 5.65만명[A]
조회수 58,318,770회[A]
가입일 2012년 7월 13일

1. 개요2. 기업정신
2.1. 복간 이전2.2. 복간 이후
3. 사가4. 역사
4.1. 창간과 1950년대의 전성기4.2. 고난과 부흥기4.3. 언론통폐합에서 부활까지4.4. 복간 이후4.5. 기업회생과 법정관리
5. 특징6. 사건사고
6.1. 사장의 엘시티 게이트 연루
7. 기타8. 주변 교통편
8.1. 지하철8.2. 버스
9. 정기간행물10. 주요 행사11. 참고 문헌12. 역대 임원
12.1. 명예회장12.2. 대표이사 회장12.3. 이사회 의장12.4. 대표이사 사장12.5. 부사장
13. 역대 주요 간부
13.1. 논설고문13.2. 주필13.3. 논설주간13.4. 논설위원장13.5. 논설실장13.6. 수석논설위원13.7. 편집국장
14.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파일:국제신문빌딩.jpg
▲ 국제신문빌딩
1947년 9월 1일에 창간된 부산광역시부울경 지역의 대표적인 지역 언론사이다. 대주주는 능인선원.

한국ABC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동향신문 부산일보대구광역시매일신문에 이어 대한민국의 지방 일간지 중에서 발행 부수가 세 번째로 많다. 한동안 부산일보와 달리 토요일에도 신문을 발행하였으나 2019년부터 토요일에는 신문을 발행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전두환에게 한 번 까였던 신문사지만, 같은 사유로 망한 동향기업 국제그룹과는 무관하다.

노조는 민주노총 언론노조 소속이다.

2. 기업정신

2.1. 복간 이전

불편부당, 시시비비
국위선양, 언론창달, 문화향상, 경제부흥

2.2. 복간 이후

3. 사가

작사는 양희주, 작곡은 이상근이 맡았다.
(1절)보라 여기 늘푸른 금정산 / 더불어 우뚝한 국제
온갖 시련 이겨낸 오늘 / 그 전통 더욱 새롭구나

(2절)보라 저기 드넓은 태평양 / 더불어 나가는 국제
오늘은 더욱 알차고 새롭게 / 그 모습 더욱 당당하구나

(후렴)도도한 정론의 기상 / 뉘 감히 맞서랴
민주자유의 파수꾼 / 우리의 국제 국제신문

4. 역사

4.1. 창간과 1950년대의 전성기

1946년 대구 10월 사건 특종보도 필화로 민주중보를 떠난 김형두 기자가 종전의 <수산신문>과 <동아산업시보>를 통합시켜 1947년 9월 1일에 <산업신문>이라는 타블로이드판 2면짜리 경제전문지로 창간하였다. 초기 본사는 동광동 2가 261번지에 소재했다.

1947년 12월 30일에는 조선견직 사주인 김지태를 사주로 맞아들여 주식회사로 탈바꿈한 뒤 이듬해 1월에는 부산지역 일간지 중에선 처음으로 갱지를 사용하고 타블로이드판에서 대형판으로 바꾸어 변화를 꾀했으나, 경영이 어려워져 1949년 3월 1일에 지역 사업가 이연재에게 경영권이 인수되어 회복세에 들어서 7월 2일에는 제1회 전국고교야구대회[3]를 주최하는 등 사세확장에 주력하며 당대 부경지역 대표 일간지인 <민주중보>, <부산일보> 등과 경쟁을 벌였다.

그러나 1950년에 터진 6.25 전쟁은 뜻하지 않게 본사의 급속한 확장/발전을 가져다 주었는데, 이유는 전쟁으로 부산이 임시수도가 되어 중앙 신문사들이 부산으로 피난오면서 부산이 언론의 중심지가 되었기 때문이었다. 8월 19일부터 <국제신보>로 제호를 바꾸어 종합 일간지로 바꾸었고, 1952년에는 사옥을 중구 남포동 2가 28번지로 옮겼다.

부산이 임시수도였던 1950년대 초반의 국제신보는 상당한 상승세를 자랑했는데, 본사는 현민 유진오, 최호진, 조동필, 주요한, 송지영, 김영진, 박상익, 이건호 등 쟁쟁한 필진들을 논설위원으로 흡수하여 <민주신보>, <동아일보>, <한국매일신문>, <경향신문> 등과 국내 5대 일간지로 자리잡았고, 1953년에는 2.15 긴급통화개혁 소식을 신속하고 상세하게 보도해 연 1주간 가판 10만 부를 돌파하여 신기록을 세웠다.

거기에 본사는 영국제 헬슈라이버 자동수신기, 미제 델리타이프 수신기 등을 완비해 기술향상을 꾀하는 한편, 한국 신문사상 최초로 1951년 7월에 미국의 NANA사, 대만 중앙통신, 9월에 미국 AFP, 이듬해엔 영국 로이터와 뉴스 독점공급 계약을 각각 맺어 외신부문에서도 강세를 보였고, 9월 6일에는 서면에 분공장도 세웠다.

1953년 4월에는 (주)세계통신사[4]를 세우고 10월에는 서울 조선일보 사옥에 임시사무소를 설치하여 서울지방 판권을 따내려 했지만, 정치적 이해관계로 허가를 받지 못했다.

1957년에 본사는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회장직에 이연재, 사장직에 김형두를 앉힌 뒤, 이듬해 9월 25일부터 지방지 최초로 조석간제를 단행해 1959 신년호부터 조석간 8면을 내기 시작했고, 2월 4일에는 부산 본사와 서울지사 간 무선송수신시설을 확장 완비하는 한편, 7월 8일부터 사옥을 영도구 대교동2가 69번지로 옮겼다.

4.2. 고난과 부흥기

그러나 1959년부터 본사는 우울한 시대를 맞이했다. 그해 7월 17일에는 부산공설운동장에서 본사가 야심차게 주최한 '시민 위안의 밤' 행사 도중 폭우가 몰아닥쳐 우왕좌왕하던 시민 67명이 압사당하는 대참사가 발생했고, 설상가상으로 9월 17일에 불어닥친 태풍 '사라'로 인해 신문용지 창고가 물에 잠기는 불운을 겪었다. 1960년 3.15 마산항쟁 때 타 신문사보다 먼저 나서서 취재하던 특파기자 3명이 경찰에 붙잡혀 감금당하기도 했다.

4.19 혁명이 끝난 이듬해인 1961년 4월 25일에는 자금난으로 용지를 못 구해 사흘씩 신문 발행이 중단되고 사원자치위원회가 운영하는 등의 어려움을 맞다가 <한국일보> 사장 백상 장기영의 지원과 독자들의 의연금으로 계속해서 신문을 속간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후 이병주 주필이 필화사건으로 구속되는 아픔을 겪었으나, 1964년 5월 11일부터는 럭키그룹에 인수되면서 재정적으로 안정을 되찾아 대대적인 확장을 시도했다. 그해 11월에 먼저 대교동 사옥을 증설하고 이듬해 1월 25일에 미국 AP 및 동화통신과 특약을 맺는 동시에 전송사진수신기를 설치했고, 4월에는 미국 스틴손제 L-5 E형 경비행기를 들여와 명칭을 '비둘기'로 명명했고, 11월 29일에는 일본 지지통신과 국내 최초로 독점 특약을 맺으며 팩시밀리 수신기를 설치하였다.

1966년 3월 30일에는 일본 하마다제 다색도초고속윤전기를 설치하고 4월에는 사진제판시설도 보완하는 등 신문 쇄신을 위한 시설보완에 힘을 기울였고, 1967년 5월 10일에는 이흥배가 사장직에 취임하여 8월 31일부터 20년간 사용해 온 구 자모를 버리고 새 서체로 바꾸었으며, 1968년 6월 1일에는 UMSI VI형 초고속도윤전기를 증설하는 한편 미국 파이퍼 체로키식스 300형 7인승 비행기를 들여와 명칭을 '비둘기 2호'로 명명했다. 1973년 10월 11일에는 C-2조형 자동연판주조기 및 사상기를 도입/설치하였다. 1979년 9월 1일에는 같은 럭키 계열사인 부산문화TV와 함께 중앙동 신사옥으로 이전하였다.

4.3. 언론통폐합에서 부활까지

1980년 5월 계엄상황 속에서도 편집국 기자들은 총회에서 편집권에 대한 사내외의 부당한 간섭 배제와 급여 인상 등 9개 요구사항을 결의하고, 6일부터 4일간 철야 농성과 신문 제작 2시간 지연 투쟁을 벌여 편집권 독립을 쟁취했으나, 그해 5.18 민주화운동이 실패로 끝나고 국보위가 집권한 뒤 사측은 권력에 굴복해 7~8월 사이 언론인 자율정화에 따라 양심적 기자 35명을 해고시켰다.

그러나 1980년 11월 언론통폐합은 본사의 종말을 재촉하게 되었는데, 통폐합 전까지만 해도 국제신문은 부산일보보다 더 유리한 조건에 있었는데, 럭키그룹 소유로 경영도 안정되었고 발행 부수도 22만부로 20만부인 부산일보를 앞섰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5.16장학회 소유로 친정부 논조를 취한 부산일보에 비해 언론으로서의 신뢰도 더 높았다.

그러나 보안사 측 보고서는 국제신문을 '비판적 성향', 부산일보는 '자발적 협조' 성향으로 분류했고, 결국 국제신문은 "대정부 비판으로 시류에 영합하고 시시비비를 주장하면서 편파성을 노정했다"고 하면서 소유주인 럭키를 겨냥해 '럭키그룹 부정 은폐에 선봉적 역할을 한' 신문으로 보고되어 통폐합 대상사로 선정되었다. 반면 부산일보가 살아남은 데는 소유주인 5.16장학회에 대한 배려도 작용됐을 수도 있었는데, 이미 5.16장학회가 소유한 MBC 주식 중 민간주식 65%가 KBS로 넘어갔고, 부산MBC 지분 중 51%가 MBC 본사로 넘어간 관계로 자산 태반을 잃은 장학회를 배려해 부일을 살려둔 것이었다.

반면 국제신문 측은 객관적 조건에서 불리할 게 없다고 자신했지만, 11월 12일에 정순민 사장 등 경영진 3명이 보안사로 불려가 2시간을 버티다 수사관의 강압으로 결국 양도각서를 쓰고 지장을 찍게 되었다. 이에 본사 기자 50여명이 모여 대책을 논의하기도 했으나 당시의 폭압적인 상황에서 별다른 대응책을 내지 못하고 당월 25일에 부일과 합병되는 형식으로 창간 33년, 지령 10,992호로 폐간되었고, 1983년 6월 29일부로 법인 자체가 청산되었다.

합병 이후 부산일보로 편입된 국제 출신 사원들은 여느 통폐합 대상 언론사 출신이 그렇듯 진급과 급료에서 안 좋은 대우를 받다가, 1986년부터 본사 해직기자들과 부일로 이직된 일부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복간운동이 벌어져, 1987년 4월에는 '국제상조회'를 결성해 복간에 필요한 자본주의 물색 및 법적 절차 등을 추진하였다.

그해 6.29 선언 뒤 언론기본법 폐지로 1도 1지 제도가 사라지면서 그해 12월 하순에 럭키금성이 본지 복간의 의지를 밝혀 이듬해 3월 중순에 법인 등기까지 마쳤으나 시간만 질질 끌었는데, 1988년 5월부터 럭금의 중앙지 인수설이 유포되면서 다시 상조회 중심의 복간운동이 재개되었고, 6월 2일에는 최식림을 중심으로 한 본사 해직사원 10명이 '복간준비위원회'를 결성해 이틀 뒤에 발기인대회를 열었다.

7월 4일에는 복준위는 '복간추진위원회'로 개편하고 범일동에 사옥을 마련했다. 8월 19일에 럭금과의 끈질긴 협상으로 법인을 인수하여 소식지를 내는 등 복간을 위한 밑밥을 깔았고, 같은 시기에는 문공부에 복간 신청을 내 10월 12일에 등록필증을 교부받았다. 복추위 측은 대기업의 언론 소유가 편집권의 독립성을 해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그런데 이듬해 롯데그룹에 잠시 인수되었다 토착 중견기업인 태광, 부광, 삼도물산 등을 주주로 참여시킨 뒤, 폐간 8주년을 맞이해 ‘국제부활식’을 열었다. 이후 1989년 2월 1일에 마침내 복간되어 결실을 맺었다.

4.4. 복간 이후

복간 이듬해인 1990년 2월 1일에는 국내 지방지 사상 최초로 중국 <흑룡강신문>과 협력했고, 5월 22일부터 롯데그룹에 인수되었다.[5] 1991년에는 기획시리즈 '한려수도를 지키자'를 연재하며 당국의 한려수도 토석채취 허가와 희귀식물 남획 등 무분별한 개발에 제동을 걸었다.

1994년 8월 14일에는 복간 이후 부흥의 열망을 다졌던 범일동 시대를 마감하고 거제동 신사옥으로 이전한 뒤 12월 27일부터 전면 CTS 제작방식으로 바꾸었고, 1996년 7월 1일에 가로쓰기로 바꾸어 11월부터는 인터넷 신문서비스를 실시했다. 1997년 5월 1일에는 부산일보보다 먼저 조간으로 전환하고 같은 해에 국내 신문사 최초로 '해양수산부(현 해양수산팀)'를 신설하였다.

1999년에 9월 1일부터 롯데로부터 독립하여 독자경영체제로 전환하였다. 2004년 3월 31일에는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 역사회 등 학계 대표들과 함께 '부산과학기술한림원'을 설립하였다. 2006년에는 능인선원장 지광 스님이 회장직에 취임하여 대주주 지위는 능인선원이 차지하게 되었다.

4.5. 기업회생과 법정관리

파일:국제신문 기업회생 기자회견 사진.jpg
국제신문을 응원해주시는 독자·시민 여러분.

1947년 9월 1일 창간한 국제신문은 신군부의 탄압과 심각한 자금난 등 온갖 시련을 이겨내고 77년 동안 부산 울산 경남 대표 정론지의 자리를 지켰습니다. 독자와 시민 여러분이 없었더라면 국제신문은 이미 역사 속으로 흔적도 없이 사라졌을 것입니다. 위기 때마다 따뜻한 손 내밀어주시고, 쓰러질 때마다 일으켜 세워주시고, 흔들릴 때마다 매서운 회초리를 들어주신 독자·시민 여러분께 국제신문은 큰 빚을 졌습니다.

국제신문 전 구성원은 염치없게도 또다시 독자·시민 여러분께 절박함을 호소하려고 오늘 자 신문 1면을 빌립니다. 국제신문 전·현직 기자와 경영·판매·광고·문화사업 부문 사원 등 147명은 채권자 권한으로 지난 20일 부산회생법원에 국제신문의 기업회생 절차 개시를 신청했습니다. 더는 자력으로 국제신문을 살려낼 방법이 없어 법정관리라는 극약 처방을 선택했습니다.
2024년 12월 23일 국제신문 1면 국제신문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2024년 12월 20일에 국제신문 전·현직 기자와 경영·판매·광고·문화사업 부문 사원 등 147명은 채권자 권한으로 부산회생법원에 국제신문의 기업회생 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이로써 1947년 9월 1일 창간한 국제신문은 77년만에 기업회생과 법정관리라는 앞을 알 수 없는 정상 경영 또는 폐간의 기로에 선 것으로 보인다. 국제신문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5. 특징

부산일보와는 선의의 경쟁관계이며, 1980년 폐간 때까진 야당색이 짙었으나 1990년 롯데그룹 인수 이후 논조는 대체로 부산일보보다 보수색이 강해졌다.

환경과 해양수산 보도 쪽에서 강세를 보이는 신문인데, 1991년 '한려수도를 지키자', 1994년 '산업폐기물 대란 이대로 안된다', 1998년 '생태계 보고, 늪을 살리자' 등의 기획시리즈를 마련해 당국의 무분별한 자연개발과 환경정책 부재를 호되게 비판했으며, 1997년에 국내 언론사 최초로 설치된 해양수산팀은 1999년 한일어업협상 쌍끌이 제외 사실을 특종 보도한 바 있었다.

6. 사건사고

6.1. 사장의 엘시티 게이트 연루

엘시티 시행사 임원에게 "엘시티 관련 의혹을 보도하겠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보내 경쟁 신문사와의 광고비 차액 5천100여만 원을 받아내고 엘시티 법인카드로 100여만 원을 쓴 혐의로 지난해 3월 기소됐다. 그는 또 다른 개발사업자로부터 부정적 내용이 담긴 기사 게재를 자제해달라는 청탁과 함께 1천100여만 원 상당의 금품과 향응을 받은 혐의로 추가기소됐다.

징역 2년을 선고한 원심 판결을 깨고 차 전 사장에게 징역 1년 6개월·집행유예 3년, 추징금 1천165만원을 선고하고 사회봉사 120시간을 명령했다. #

7. 기타

국제신문사는 2001년조갑제[6]의 추천을 받아 당대 지한파였던 구로다 가쓰히로를 논설위원으로 영입한 적이 있다. 구로다는 그 해 3월 칼럼에서 "영도다리6.25 전쟁의 상징이지 일제강점기 착취의 상징이 아니다."라고 주장해 논란이 있었으며 민언련과 새천년민주당 김경재 의원은 "국제신문은 구로다를 퇴출시키고 산케이 신문은 서울지국을 폐쇄하라"라는 성명을 냈다.

여담으로, 이 신문사 사옥 1층 로비는 24층 뷔페 고객 때문인지는 몰라도, 일반인의 출입이 아주 자유롭다. 본사 바로 앞에 있는 교대역이 구조적인 문제로 화장실 찾아가기가 매우 까다로운데, 그때 본사 사옥에 있는 화장실을 많이 사용하는 편.

8. 주변 교통편

8.1. 지하철

8.2. 버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교대역(부산) 문서
10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정기간행물

10. 주요 행사

11. 참고 문헌

12. 역대 임원

12.1. 명예회장

12.2. 대표이사 회장

12.3. 이사회 의장

12.4. 대표이사 사장

12.5. 부사장

13. 역대 주요 간부

13.1. 논설고문

13.2. 주필

13.3. 논설주간

13.4. 논설위원장

13.5. 논설실장

13.6. 수석논설위원

13.7. 편집국장

14. 참고 자료


[A] 2022년 1월 4일 기준[A] [3] 1974년부터 '화랑대기'로 명명.[4] 이후 이승만 정권 말기인 1957년에 경영난으로 이철원 전 공보처장에게 매각되었고, 같은 시기 이기붕이 실질 소유주로 참여하면서 관제통신사로 변모했다가 1960년 5월 23일 자진해산됨.[5] 이 영향으로 수년간 지면광고의 절반을 롯데그룹 계열사 광고가 차지했고, 롯데캐논의 광고에도 국제신문 지면이 나온 적이 있었다.[6] 1971년부터 1980년까지 기자 생활을 했다. 항목 참고.[7] 언론통폐합 이후 부산일보가 주최권 인수.[8] 등기상 재임기간.[9] 이후 (주)럭키, 금성사 대표이사, LG반도체 및 아워홈 회장 역임.[10]더불어민주당 부산 금정구지역위원장[11] 퇴사 후 2017년도 부산광역시 사회복지직 9급에 합격했다. 이와 관련하여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76화에 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