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0px" | 국립환경과학원 | 국립환경인재개발원 | 화학물질안전원 | 한강유역환경청 |
낙동강유역환경청 | 금강유역환경청 | 영산강유역환경청 | 원주지방환경청 | |
대구지방환경청 | 전북지방환경청 | 수도권대기환경청 | 중앙환경분쟁조정피해구제위원회 | |
국립생물자원관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 한강홍수통제소 | 낙동강홍수통제소 | |
금강홍수통제소 | 영산강홍수통제소 |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National Institute of Wildlife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
| ||
설립일 | 2020년 9월 23일 | |
원장 | 이창규 | |
주소 | ||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암길 1 (삼거동) | ||
상급 기관 | 환경부 | |
정원 | 43명 | |
|
1. 개요
환경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34조의8(직무)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조제8호에 따른 야생동물 질병(이하 이 조에서 “야생동물 질병”이라 한다)의 체계적인 관리에 관한 다음 사무를 관장한다.
1. 인수(人獸)공통질병 등 야생동물 질병의 예찰ㆍ진단 및 조사ㆍ연구
2. 야생동물 보호ㆍ관리시설에서 보호ㆍ관리 중인 야생동물 질병의 진단
3. 야생동물 질병 진단기관 지정ㆍ취소 및 관리
4. 야생동물 질병 진단ㆍ분석기법 개발 및 보급에 관한 연구
5. 야생동물 질병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6. 야생동물 질병 발생 현황 분석 및 공개
7. 야생동물 질병 원인규명을 위한 역학조사
8. 야생동물 질병 현장방역 지원 및 환경부 소관 감염병ㆍ가축질병 위기대응 지원
9. 수입되는 야생동물(수산동물은 제외한다)의 검역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제2조제8호에 따른 야생동물 질병(이하 이 조에서 “야생동물 질병”이라 한다)의 체계적인 관리에 관한 다음 사무를 관장한다.
1. 인수(人獸)공통질병 등 야생동물 질병의 예찰ㆍ진단 및 조사ㆍ연구
2. 야생동물 보호ㆍ관리시설에서 보호ㆍ관리 중인 야생동물 질병의 진단
3. 야생동물 질병 진단기관 지정ㆍ취소 및 관리
4. 야생동물 질병 진단ㆍ분석기법 개발 및 보급에 관한 연구
5. 야생동물 질병 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6. 야생동물 질병 발생 현황 분석 및 공개
7. 야생동물 질병 원인규명을 위한 역학조사
8. 야생동물 질병 현장방역 지원 및 환경부 소관 감염병ㆍ가축질병 위기대응 지원
9. 수입되는 야생동물(수산동물은 제외한다)의 검역
2020년 설립된 대한민국 환경부 소속기관. 야생 동물의 질병을 치료하고 보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