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3 21:41:48
구민정의 역임 직책 및 수상 이력 |
- [ 펼치기 · 접기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c72c30> ![파일:image_1527657991585.png]() |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주장 (올림픽, 아시안 게임)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2c292a; margin:-5px -1px -11px" | 1962 자카르타 AG | 1964 도쿄 OG | 1966 방콕 AG | 1968 멕시코시티 OG | 1970 방콕 AG | 김영봉 | 서춘강 | 이춘일 | 문경숙 | 김영자 | 1972 뮌헨 OG | 1974 테헤란 AG | 1976 몬트리올 OG | 1978 방콕 AG | 1980 모스크바 OG 예선 | 김영자 | 이순복 | 윤영내 | 변경자 | 1982 뉴델리 AG | 1984 LA OG | 1986 서울 AG | 1988 서울 OG | 1990 베이징 AG | 김영숙 | 이운임 | 심순옥 | 박미희 | 1992 바르셀로나 OG 예선 | 1994 히로시마 AG | 1996 애틀랜타 OG | 1998 방콕 AG | 2000 시드니 OG | 이도희 | 장윤희 | 박수정 | 2002 부산 AG | 2004 아테네 OG | 2006 도하 AG | 2008 베이징 OG 예선 | 2010 광저우 AG | 김남순 | 구민정 | 김사니 | 2012 런던 OG | 2014 인천 AG | 2016 리우 OG | 2018 자카르타·팔렘방 AG | 2020 도쿄 OG | 김사니 | 김연경 | 2022 항저우 AG | | | | | 박정아 | | | | | 1 1980 모스크바 올림픽은 예선 탈락 후 보이콧이 결정되었고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과 2008 베이징 올림픽도 예선에서 탈락했다. |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9a1ad><tablebgcolor=#59a1ad> ![파일:대통령배전국남녀배구대회 로고.png]() | 대통령배 · 슈퍼리그 · V-투어 여자부 MVP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59a1ad><tablebgcolor=#59a1ad> ![파일:대통령배전국남녀배구대회 로고.png]() | 대통령배 · 슈퍼리그 · V-투어 여자부 베스트 6 | }}} ||}}}}}}}}}}}}}}} ||
|
|
<colcolor=#fff><colbgcolor=#0057a2> 구민정 具珉正 | Ku Min-Jung |
출생 | 1973년 8월 25일 ([age(1973-08-25)]세) |
전라북도 군산시 (現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
국적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학력 | 대야초등학교 (졸업) 월명여자중학교 (졸업)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체육학부 (스포츠지도전공 / 학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학 / 석사) |
포지션 | 레프트 (아웃사이드 스파이커) |
신체 조건 | 신장 182cm, 체중 71kg |
점프 높이 | 스파이크 315cm, 블로킹 300cm |
국가대표 | 대한민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1995~2004) |
소속팀 | 한일합섬 (1991~1998) 현대건설 (1998~2005) |
한국의 은퇴한 배구 선수. 김연경 이전 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대한민국을 대표했던 거포이다.2. 선수 생활
중학교 1학년 때 선배의 권유로 처음 배구를 시작했다고 한다.
2001 월드그랑프리, 2004 월드그랑프리, 그리고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 대표팀의 주장을 맡았다.
2000 시드니 올림픽과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 팀내 최고득점을 올렸다.
2004 아테네 개막식에서 북한의 농구 감독 김성호와 함께 입장할 남측 기수로 선정되었다.
2005년 6월 30일에 은퇴하였다.KOVO 프로필 같은해 9월에 결혼하였다.- 월드그랑프리 :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4
- 월드컵 : 1995, 1999
- 올림픽 : 2000, 2004
- 세계배구선수권 : 1998, 2002
- 아시안 게임 : 1998, 2002
- 아시아선수권 : 1995, 1997, 1999, 2001
- 월드그랜드챔피언십 : 1997
3. 개인 수상
- 1999 슈퍼리그 베스트6
- 2000 슈퍼리그 베스트6, 인기상
- 2001 세미프로리그 MVP, 최우수공격상
- 2002 금호생명컵한국배구대제전 MVP
- 2003 금호생명한국배구대제전 MVP
- 2001 슈퍼리그 베스트6, 인기상
- 2004 V-Tour MV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