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2 12:05:42

광원수 칸델라토


1. 개요2. 설명3. OCG화된다면?

1. 개요

파일:CandelatotheBeastofLight-JP-Anime-GX-NC (1).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명칭=광원수 칸델라토,
일어판명칭=<ruby>光源獣<rp>(</rp><rt>こうげんじゅう</rt><rp>)</rp></ruby> カンデラート,
영어판명칭=Candelato\, the Beast of Light,
속성=빛, 레벨=12,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야수족,
효과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의 패를 2장 버렸을 경우에만\,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턴\,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의 패의 매수 × 1000 포인트 올린다. 또한\, 이 카드가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는 스킵한다.)]

2. 설명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빛의 결사 편 62화에 등장한 빛의 파동의 우주인이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몬스터. 공격명은 데스 샤이닝.

후공 첫 턴에 패 2장을 코스트로 바로 소환되었으며, 레벨 12의 몬스터가 단번에 튀어나온다는 점과 공격력 3000이라는 수치로 쥬다이를 놀래켰다. 빛의 우주인은 새로운 카드가 없어도 너 따위는 이긴다며 쥬다이를 도발했지만, 효과 특성상 아무것도 못하고 턴 엔드한데다 작중 활약이라곤 댄디라이언을 공격한 것 뿐이다. 그것도 수비 표시라서 쥬다이에겐 전투 데미지도 못 줬고, 다음 턴에 네오 스페이시언 아쿠아 돌핀의 효과로 패를 몽땅 털리면서[1] 공격력 0이 된 채로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의 공격에 파괴, 그대로 빛의 우주인의 패배로 이어졌다.

효과는 여러모로 나사가 빠져있는 수준. 레벨이 12이나 되면서 특수 소환에 제한이 없고 다른 소환에도 디메리트가 없는 대신, 자기 자신의 드로우 페이즈를 스킵하는 황당한 디메리트를 가지고 있고, 소환할 때 또 패를 2장 버리는 코스트도 크고, 결과적으로 패가 -3이 되는지라 실질적인 성능은 오시리스의 천공룡보다도 떨어진다. 그런 주제에 특수 소환한 턴에는 공격도 못하고, 소뢰탄같이 상대 필드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도 아니다. 그저 쥬다이가 새 동료를 만나서 슬럼프에서 벗어나는 극적인 연출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에 불과한 카드.

OCG 카드로서의 등장은 없지만, EN-인게이지 네오스페이스의 일러스트에 나오면서 얼굴이라도 비출 수 있게 되었다.

3. OCG화된다면?

OCG화 될 시 드로페이즈에 드로 불가 디메리트가 그대로 나온다 가정하여 작정하고 이 카드를 쓰고 싶다면 전용 덱을 짜는 것이 답일 것이다.

전반적으로 드로 페이즈에 드로 불가이므로 패 보충용 카드들로 보조해주며 공격력을 올려주는 것이 칸델라토 전용 덱의 주된 패턴일 것이다.

아래는 칸델라토의 공격력을 강화시킬 전략.

1. 메타모르 포트의 리버스 효과로 패를 전부 버리고 다시 5장을 새로 뽑기.

2. 최후라면 함께의 효과로 패를 덱의 맨밑에 되돌린 후 다시 5장을 새로 뽑기.

3. 파샤스 몬스터들로 비트한 후 자체 효과로 덱에서 1장 보충.

4. 칸델라토의 소환 코스트로 킬러 스네이크를 2장 묘지에 버리고 킬러 스네이크의 자체적인 효과로 패에 1장 되돌림.[2]
[1] 이 때 버려진 카드들은 트와이라이트존 드래곤, 이차원의 정찰기, 이차원의 야수 등 이차원 관련 몬스터들이었다.[2] 에라타 전이었다면 2장 전부 되돌리는 것이 가능했지만 에라타 후에는 상대 턴의 엔드 페이즈에 묘지에서 제외되는 디메리트가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