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공실률(空室率)은 부동산 용어로, 건물(아파트, 오피스 등)의 전체 방에서 입주가 되지 않은 방의 비율을 말한다. # 공실률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임차 수요가(수요량이) 낮다는 것을 말해주면서 해당 부동산 임대료가 적정 시세에 맞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높은 크기의 마천루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일부 상권의 미래 지표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일부
2. 지역/상권별 공실률
한국부동산원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 조사에 따르면 건물유형은 오피스, 중대형상가, 소규모상가로 분류하여 공실률을 집계하였다.우선 아래는 오피스에 관련한 공실률만 표기해놓았음.
2.1. 서울
서울 오피스 전체 공실률 (%)[A] | |
2019년 4분기 | 8.5 |
2020년 1분기 | 8.6 |
2020년 2분기 | 9.1 |
2020년 3분기 | 8.9 |
2.1.1. 서울 도심권
한국부동산원에서 분류하는 서울 도심권역에는 광화문, 남대문, 동대문, 명동, 시청, 을지로, 종로, 충무로 지역이 있음도심권 오피스 전체 공실률 (%)[A] | |
2019년 4분기 | 9.7 |
2020년 1분기 | 9.8 |
2020년 2분기 | 9.8 |
2020년 3분기 | 10.4 |
2.1.2. 서울 강남권
한국부동산원에서 분류하는 서울 강남권역에는 강남대로, 논현역, 도산대로, 서초, 신사역, 테헤란로 지역이 있음강남권 오피스 전체 공실률 (%)[A] | |
2019년 4분기 | 7.1 |
2020년 1분기 | 6.7 |
2020년 2분기 | 8.7 |
2020년 3분기 | 7.8 |
2.1.3. 여의도
한국부동산원에서 분류하는 서울 여의도권역에는 공덕역, 여의도, 영등포 지역이 있음여의도 마포권 오피스 공실률 (%)[A] | |
2019년 4분기 | 10.2 |
2020년 1분기 | 10.1 |
2020년 2분기 | 9.7 |
2020년 3분기 | 9.5 |
2.1.4. 기타
한국부동산원에서 분류하는 서울 기타권역에는 목동, 사당, 용산, 잠실, 장안동, 천호, 홍대합정, 화곡 지역이 있음기타권역 오피스 공실률 (%)[A] | |
2019년 4분기 | 10.8 |
2020년 1분기 | 11.3 |
2020년 2분기 | 11.7 |
2020년 3분기 |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