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20:51:13

게임트릭스

1. 개요2. 산정 방식3. 유의 사항4. 문제점

1. 개요

PC방 게임순위 집계 사이트. #

2. 산정 방식

미디어 웹아이에서 서비스하는 PC방 관리 프로그램인 피카 매니져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한다.[1] 차트 자체는 일반 유저들 한테는 10위권 안에는 보여지지만 게임트릭스 자체의 검색기능을 통해 원하는 게임의 순위를 조회하는 것까지는 가능하다.

게임트릭스는 Game에 Matrix를 더한 혼성어라고 하며 기계적인 통계수집을 쓰기 때문에 PC방 수치에 관해선 정확성은 높지만, 말 그대로 피시방 순위만 집계한다. 그러니까 집에서 하는 게임은 1시간이든 100만시간이든 집계에 포함되지 않고 피시방에 안 깔려 있는 게임도 통계에 들어가지 않는다. 그래도 이건 어쩔 수 없는 게 대한민국에서 비중이 높은 F2P 온라인 게임은 집에서 게임을 하는 유저는 100만시간이 아니라 천만시간을 플레이해도 직접적으로 수익을 발생시키는 것은 아니므로[2] 게임의 흥행 여부 관점에선 PC방 순위를 매기는 게 훨씬 정확할 수밖에 없다. 순위권에 오래 안정적으로 안착해 있을수록 지속적으로 또 안정적으로 돈을 벌고 있다는 소리이기 때문.

3. 유의 사항

그러나 게임트릭스에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정보를 바탕으로 보건대 PC방 동접자수가 전체 동접자수 대비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걸 알 수 있다. 실례로 디아블로3가 정식 런칭한 후 서버 문제로 정부에 실제 동접자 수를 제출했을 때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아시아 서버 전체 동접자수가 63만이었고 그중 42만 정도가 한국에서 이뤄졌다고 알려졌다. 이를 바탕으로 게임트릭스에서 제공하는 전체 PC방의 평균 PC보유대수, PC평균 가동률 , 전국 PC방 수 등의 수치를 가지고 계산 하면 한국 서버 동접자 중 40% 정도가 PC방에서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물론 평균은 이보다 약간 더 적다고 볼수 있다.

그래서 보통 PC방 동접자는 전체 동접자의 1/4 정도라고 보면 된다. 현재 1위를 하고 있는 롤의 점유율을 계산해 보면 얼추 비슷한 수치가 나온다. 하지만 게임사에서 특정 일 접속시 아이템을 크게 퍼주는 이벤트로 순간 사용자는 늘어나지만 한 주, 한 달 순위는 다시 원상복귀하는 경우가 있기에 일일 사용량만 보지 말고 한주, 한달 사용량을 보는 것 역시 중요하다.

어찌됐든 게임사에서 실제 동접자 같은 정보는 오픈 초기나 특정 이벤트 직후가 아니면 거의 풀지 않기 때문에 게임웹진이나 피시방에서는 게임트릭스를 기준으로 순위를 매긴다. 다만 이 통계의 함정은 사용자수 기반이 아닌 이용시간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멀티클릭도 해당되는 사항이다. 따라서 PC방 사용률이 높다고 해서 꼭 유저 수가 높은 건 아니므로 주의해야 한다.

4. 문제점

PC방의 전반적인 하드웨어 정보에 대해서는 10년 넘게 거의 방치되는 수준으로, 사이트 관리가 되지 않는건지 10년 가까이 게임 순위 옆에 버젓이 I5-6500을 최고 점유 CPU로 표시하는 차트가 있어 오히려 정보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2025년에도 인텔 7세대 까지만 CPU 순위를 나열하지 않나, 라이젠은 누락시킨 것도 모자라 소프트웨어 통계 항목의 운영체제 통계에서 윈도우 11윈도우 10을 누락한 채로 윈도우 7의 점유율을 99%로 표기하고, 인터넷 통계에서 디스코드와 같은 이제는 대중화가 된 지 오래된 메신저 시스템도 통계에 전혀 집계시키지 않는 등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나마 RTX 3000번대인 GeForce 30 제품군이 정보로 기재되고 통계에 잡히는 정도. 이마저도 현재는 2060까지만 순위 차트에 표시되고 있다.


[1] 비슷하게 자사의 PC방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게임순위를 집계하는 사이트로 더로그가 있다. 게임트릭스가 피카pc방 데이터라면 더로그는 게토pc방 데이터다.[2] PC방에서 하는 게임은 PC방에서 게임사에 돈을 주고 일정 시간분의 사용권을 구매하거나 하는 식이기 때문에 누군가 그 게임을 오래하면 오래할수록 게임회사의 수익으로 들어간다. 게다가 유저간 현질 금액의 규모는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통계내기도 힘들다. 그러나 이건 기본적으로 돈 주고 사야 하는 게 원칙인(PC방에서는 가맹비를 대가로 PC방 혜택 차원에서 무료로 푸는 거다) 오버워치, 레인보우 식스 시즈, 콜 오브 듀티 등의 패키지 게임은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