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의 의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8b0c02><tablebgcolor=#8b0c02> | 강남구 제2선거구  강남구 일부 江南區第二選擧區 Gangnam District 2  | }}} | |||
| <nopad>  | ||||||
| <colbgcolor=#8b0c02><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81,332명 (2022) | |||||
| 상위 행정구역 | 서울특별시 | |||||
| 관할 구역 |  
  | |||||
| 시의원 |   | 김형재 | ||||
1. 개요
서울특별시의회의 시의원 선거구.2. 역대 선거 결과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강남구 제2선거구 도곡1동, 도곡2동, 삼성1동, 삼성2동, 역삼1동, 역삼2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김진수(金軫洙) | 42,206 | 1위 |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63.02% | 당선 | |
| 2 | 김동수(金同洙) | 24,757 | 2위 | 
|   [[민주당(2008년)| 민주당 ]]  | 36.97%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39,756 |  투표율 48.77%  | 
| 투표 수 | 68,155 | ||
| 무효표 수 | 1,192 | ||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강남구 제2선거구 삼성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김진수(金軫洙) | 43,329 | 1위 | 
|   | 60.75% | 당선 | |
| 2 | 박다미(朴多美) | 27,984 | 2위 | 
|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 39.24%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132,405 |  투표율 55.02%  | 
| 투표 수 | 72,847 | ||
| 무효표 수 | 1,534 | ||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강남구 제2선거구 논현2동, 역삼1동, 역삼2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김평남(金坪南) | 20,729 | 1위 | 
|   | 51.83% | 당선 | |
| 2 | 김명옥(金明玉) | 14,371 | 2위 | 
|   | 35.93% | 낙선 | |
| 3 | 선락규(宣珞奎) | 4,187 | 3위 |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 ]]  | 10.47% | 낙선 | |
| 6 | 조용기(曺龍基) | 703 | 4위 | 
|   | 1.57%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80,777 |  투표율 50.68%  | 
| 투표 수 | 40,938 | ||
| 무효표 수 | 948 | ||
강남구 병 신설로 강남구 시의원 정수가 6석으로 늘어나면서 선거구 영역이 크게 바뀌었다.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강남구 제2선거구 논현2동, 역삼1동, 역삼2동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김세준(金世埈) | 11,316 | 2위 | 
|   | 32.44% | 낙선 | |
| 2 | 김형재(金炯材) | 23,562 | 1위 | 
|   | 67.55%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81,332 |  투표율 43.70%  | 
| 투표 수 | 35,545 | ||
| 무효표 수 | 66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