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0 12:39:24

Rift of the NecroDancer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리프트 오브 더 네크로댄서
Rift of the NecroDancer
파일:RiftoftheNecroDancer.jpg
개발 Brace Yourself Games, Tic Toc Games
유통 파일:세계 지도.svg Klei
플랫폼 Microsoft Windows
ESD Steam
장르 리듬 게임
출시 PC
2025년 2월 6일
엔진
한국어 지원 지원
심의 등급
해외 등급
관련 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스팀 아이콘.svg

1. 개요2. 발매 전 정보3. 시스템 요구 사항4. 게임 정보
4.1. 난이도4.2. 등장 몬스터 종류
4.2.1. 슬라임4.2.2. 해골4.2.3. 방패 해골4.2.4. 박쥐4.2.5. 웜4.2.6. 블레이드마스터4.2.7. 하피4.2.8. 아르마딜로4.2.9. 좀비
4.3. 음식류4.4. 기믹 및 트랩
5. 등장인물6. 평가7. 기타

[clearfix]

1. 개요

Brace Yourself Games에서 개발한 Crypt of the NecroDancer의 스핀오프이자 후속작. 전작의 여러 몬스터의 기믹을 건반형 리듬 게임으로 녹여냈다. 2025년 2월 6일 발매 예정이다.

2. 발매 전 정보

최초 공개 트레일러
공식 출시 트레일러

3.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Windows)
구분 최소 사양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운영체제 Windows 10
프로세서 Intel Core i3-2100 or AMD FX-4100, 6GB RAM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S 250 or AMD Radeon R7 240, 1GB VRAM

4. 게임 정보

※ 데모 버전 기준
크립트 오브 더 네크로댄서에서는 볼트를 제외하면 반박자 컨트롤이 필요하지 않으나, 리듬 로그라이크였던 전작과 달리 완전한 리듬게임이 된 본작에서는 반박자 입력이 굉장히 중시된다. 몬스터의 태생적인 능력 뿐만 아니라 애초에 엇박으로 다가오는 몬스터도 있어서 어떤 몬스터가 정박이고 어떤 몬스터가 엇박인지 순간적으로 혼란이 올 수 있기 때문에 패턴을 외우기 전까지는 맞으면서 배워야 한다.

24년 10월 경 업데이트를 통해 난이도 표시 체계가 개편되었고, 2곡 추가와 기존의 하드 상위 난이도인 임파서블이 추가되었다.

4.1. 난이도

4.2. 등장 몬스터 종류

현재까지 공개된 몬스터의 패턴은 다음과 같다. 이하 대부분의 몬스터가 1칸 내려오는 시간, 또는 1칸 거리를 1비트로 정의하고, 곡의 기준 비트에 맞춘 입력을 정박, 곡의 기준 비트에서 0.5비트 벗어난 입력을 엇박이라 칭한다.

4.2.1. 슬라임

4.2.2. 해골

4.2.3. 방패 해골

어떤 색의 해골이든 들고 나올 수 있다. 1회 타격을 막기 때문에, 방패 해골에게 1타를 때리려면 1비트에 2회, 0.5비트당 1번씩 타격해야 한다. 해골 색깔, 방패 유무, 엇박에 내려오는 해골 삼신기가 조합되면 지옥의 정박엇박 이지선다가 걸린다.

4.2.4. 박쥐

4.2.5.

4.2.6. 블레이드마스터

4.2.7. 하피

4.2.8. 아르마딜로

박자를 1/3박씩 쪼갠다.

4.2.9. 좀비

4.3. 음식류

슬라임과 유사한 패턴. 하지만 박자마다 1씩 체력을 회복시켜 준다. 음식을 놓쳐도 배수가 1로 떨어지기 때문에 사실상 일반 노트와 크게 다르지 않다. 때문에 몹들 사이에 섞여서 나오면 이게 체력 회복용인지 공격용인지 아리송한 경우도 많다.

4.4. 기믹 및 트랩

5. 등장인물

전작의 많은 등장인물들이 일신된 모습으로 등장한다. 케이던스의 가족과 네크로댄서, 녹터나와 컨덕터를 제외하면 캐릭터 사이의 상호작용이 없던 전작과 달리 제대로 된 회화와 상호작용이 있다.

6. 평가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c1d1f><table bordercolor=#333,#555><#333>
기준일:
2025. 2. 9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https://www.metacritic.com/game/rift-of-the-necrodancer/critic-reviews/| 메타스코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https://www.metacritic.com/game/rift-of-the-necrodancer/user-reviews/| 유저 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상세 내용

기준일:
2025. 2. 9
파일:오픈크리틱 로고.svg
파일:오픈크리틱 strong-man.png 평론가 평점
82 / 100
평론가 추천도
93%
유저 평점
XX / 100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1b2838,#555><bgcolor=#1b2838>
기준일:
2025. 2. 9
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rowcolor=#fff> 종합 평가 최근 평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073250/#app_reviews_hash| 압도적으로 긍정적 (9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073250/#app_reviews_hash| XX적 (X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9em"]]



7. 기타



[1] 인게임 번역은 '중간'으로 직역되어있다.[2] 정확히는 변속이라는 기믹이 추가된다.[3] 전작에서 도브의 컨셉은 평화주의자로, 적을 공격해도 적이 도망칠 뿐 죽지는 않는다.[4] 케이던스의 할머니로, 전작에서 황금 류트를 부수고 사망했다.[스포일러] 케이던스가 처음 상대하는 보스로, 그녀의 정체는 전작의 밴시다. 테마인 She banned를 뒤집으면 Ban she가 되고, 2페이즈의 산발한 모습과 괴성을 지르면 소리가 안 들리게 되는 점으로 유추할 수 있다.[6] 전작의 '어미라'(mommy)가 옷을 입고 가면을 쓴 모습으로, 보스전 도중 깨진 가면 사이로 붕대와 초록피부, 주황색 눈을 확인할 수 있다.[7] 케이던스의 목소리 역시 초기 데모에서는 전작과 거의 비슷한 분위기를 풍겼으나, 10월 4일 업데이트를 기점으로 상당히 밝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