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2:34:56

Hi-Fi

HiFi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하이파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의 프리미엄 전기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내용은 HiPhi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하이파이 시스템3. 모니터 스피커4. A/V와의 차이5. 기타

1. 개요

High Fidelity의 약자로 Hi-Fi(하이파이)이다.

본래 음향용어로 인간의 가청영역대인 20 Hz – 20 kHz를 원음에 충실하게 왜곡 없이 재생하는 음향기기의 특성을 말한다.

2. 하이파이 시스템

기본적으로 프론트 L, R의 2채널 스테레오만 사용하며, 서브우퍼는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극저음을 재생하기 힘든 북셸프 스피커로 셋팅하는 경우에는 서브우퍼를 1개 또는 2개를 배치하여 2.1ch 또는 2.2ch로 구성하여 스피커의 부족한 극저음 대역폭을 커버하는 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사실 프로페셔널 환경에서는 2.1이나 2.2채널을 자주 쓰는 편이라 서브우퍼를 붙여쓰는것이 사파라고 보는 태도가 하이파이 유저 특유의 고집과 아집임을 보여줄 뿐이며, 측정치 상으로도 상당수의 스피커는 서브우퍼 대역폭을 자르면 멀티톤 테스트에서 발생하는 왜곡이 확 줄어드니 외려 이전보다 더 이상적인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경우도 많다.[1]

순수한 음원 자체를 추구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소리의 왜곡, 착색, 손실 등을 최대한 줄인다. 이퀄라이저를 비롯한 음향효과를 적절히 사용하여 시스템의 왜곡을 보상하기도 한다. 음향효과를 잘못 사용하면 음질이 나빠지기 쉽기 때문에 대부분 배제하는 편이지만, 리스닝룸의 음향 특성을 마이크로 측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상의 뒤틀림, 정재파, 부밍등 다방면으로 조금씩 조절하여 음질 열화가 거의 없는 복합음향효과[2]가 있긴 하다.

사실 스피커 인클로저나 오디오 룸을 만들기 위해서 공간음향적인 특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사실 이 작업 자체는 EQ와 비슷하다. 전기적인 특성을 변화시키는 EQ로 튜닝을 하는것과 마찬가지로 공간 자체의 특성을 이용해 튜닝을 하는것이다. 하지만 부밍은 이걸로 잡아도 위상의 뒤틀림 같은 건 대부분 EQ로는 못잡는다. 또한 부밍으로 인한 딥은 EQ로 보상해봤자 잘 안잡히면서, 괜히 보상하면 층간소음만 커지니 이럴 때 공간의 배치는 여전히 중요하다.

오디오파일 중에서는 이러한 하이파이 마니아였다가 빈티지 오디오 마니아가 되는 경우도 많다.[3] 자동차, 낚시와 함께 장비마련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어가는 취미 끝판왕 중 하나로서 구매 최종테크는 리스닝 룸이 있는 이다.

3. 모니터 스피커

스튜디오 등에서 쓰는 모니터링 스피커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모니터 스피커는 작곡가들이 편곡이나 믹싱을 하는 과정에서 왜곡이 없는 플랫한 사운드를 듣기 위해 사용하는 스피커이다. 모니터링 스피커 대부분이 우퍼 크기가 5인치 이상을 하며 100만원이 넘어가는 미친 하이파이 장비와 비교하면 나름 저렴하면서도 왜곡없는 소리를 내주기 때문에[4] 방이 좁거나 몇 백만원 씩이나 쓸 수 없는 하이파이 매니아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어느 정도 성능이 보장되는, 전공자 이상의 작곡가들이 사용하는 것들은 대부분 30만원이 넘는다. 스튜디오의 마스터링단을 보면 야마하의 NS-10M과 같이 가성비 좋은 제품을 보유한 곳이 많다.[5] 값비싼 모니터링 스피커의 경우엔 JBL M2와 같이 2000만원을 넘기는 물건도 쓴다. 여기에서는 JBL 스튜디오 모니터 제품이 유명한다. JBL 'LSR305'라는 5인치 모니터링 스피커가 40만원대에서 원음과 거의 차이 없는 사운드를 들려주기 때문이라고 한다.[6] 이미 해외에서는 유명하고 이게 이헤갤에 퍼지면서 싼 가격에 하이파이를 즐길 수 있는 최고의 가성비 장비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홈 오디오 용 스피커만 개발하지만 모니터링 스피커 성향에 매우 가까운 하만카돈 산하 기업 Revel 스피커도 m105와 같은 라인업은 200만원대에서 매우 가성비가 좋은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모니터링 액티브 스피커는, 보통 근거리[7]에서는 심각한 히스 이슈가 있다. 스튜디오에서야 멀찍이 떨궈서 쓰니 별 문제가 없지만, PC-FI는 거의 초근접으로 들어야 하기 때문에 히스노이즈에 둔감한 일부 사람을 제외하고는 사용하기 부적합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부 액티브 스피커는 사실상 배경 소음과 비슷한 수준으로 히스 노이즈를 통제한 경우도 있으며, 이런 스피커들은 보통 골방용 가성비 갑으로 소개된다.

한가지 알아두어야 할 점은, 스튜디오용으로 개발된 모니터링 스피커는 경우에 따라서 음질보다는 내구성을 더 중요하게 여기도록 설계되었다는 점이다. 녹음 스튜디오에서는 매우 높은 볼륨으로 하루종일 스피커가 일을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 하다. 그리고, 스튜디오의 막대한 사용 요금을 생각해보면, 모니터링 스피커 하나 고장나서 녹음 못하고 시간을 낭비하는 것은 상상하기 힘든 재앙이다. 즉, 일반 가정에서 편하게 하루 한두시간 들을 수 있는 가정용 스피커에 비해서, 애초에 전문가용 시스템에 기대되는 내구성의 수준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문가용 모니터링 스피커는 설계단계에서부터 음질을 조금 희생하더라도 내구성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물론, 모니터링 스피커의 경우 음질을 조금 희생한다고 해도 여전히 저렴한 가정용 스피커 보다는 월등히 좋은 수준이긴 하지만. 내구성 보다는 음질 하나만을 목표로 설계된 최고 수준의 가정용 하이파이 스피커와는 설계 관점이 조금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8]

하지만 모니터 스피커가 내구도에 집중한 나머지 하이파이 스피커와 비교해서 가성비가 떨어진다고 보기도 힘든 것이 동가격대에서 저음 대역폭이 오히려 모니터링 스피커가 우수한 편이다. 모니터링 스피커 대부분이 스피커 내부에 앰프와 디지털신호처리기가 내장되어 있다보니 동가격에서 저음을 더 효율적으로 처리해서 하이파이 스피커에서는 꿈도 꿀수 없는 100만원 미만에서 40헤르츠 초중반대까지 (-6db) 끌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사실 하이파이 스피커는 음색에 튜닝을 가하는 성향이 있다보니 원음재생의 목적에 있어서는 오히려 거리가 있는 편이다.

4. A/V와의 차이

A/V와의 차이를 꼽자면 A/V는 영상기기와의 연동을 목적으로 하며[9] 최소 5.1채널 이상[10]서라운드를 구성하여 박력있는 음향과 생동감있는 공간감을 보다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 음향적 쾌감의 극대화를 위해 다소의 착색이나 왜곡도 감수한다.

목적이 뚜렷하게 구별되는만큼 주로 선택되는 기기의 면면에도 차이가 드러나는데, A/V에서는 소스로 다채널을 지원하는 영상 매체(블루레이)가 쓰인다면 Hi-Fi는 스테레오 소스를 사용한다. 또한 A/V에서는 프리앰프/파워앰프/소스기기가 전부 일체된 A/V 리시버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지만, Hi-Fi에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시스템이라면 대부분 프리앰프, 파워앰프, 소스기기가 분리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보통 같은 비용으로 5.1이상의 서라운드를 운용하는 A/V보다 스테레오만 사용하는 하이파이가 훨씬 좋은 고음질이다. 바꿔 말하면 A/V시스템은 같은 가격으로 보다 많은 채널과,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음질을 희생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음질에 욕심이 있지만 예산이 부족하다면 A/V보다는 하이파이를 지향하는 편이 좋을 것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것이고 일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마음만 먹는다면 시중의 값싼 5.1채널 액티브 스피커로 10만원이내의 저렴한 A/V질도 얼마든지 가능하긴 하다.

당연히 하이파이 시스템을 영화감상 같은 A/V용도로도 사용가능하다.[11] 하이파이를 추구한다는 오디오파일들중 일부는 A/V를 즐길 때도 본래 데이터 그대로 재생하는게 좋다고 생각하며[12] 소수는 다른 이들의 취향을 존중하지 못하고 과격한 발언도 서슴치 않는다.

5. 기타


[1] 특히 물리적인 한계를 넘어 극저역을 내려고 무리한 스피커들이 그런 경향이 강하다.[2] 오디오렌즈, 어쿠레이트, 디락라이브나 어큐페이즈의 DG-38 등의 디지털 이퀄라이저나 최신 디지털 프리앰프들. A/V 리시버들에도 도입된다.[3] 웨스턴 일렉트릭, 알텍랜싱, JBL, Harbeth 등의 브랜드.[4] 당연하지만 이쪽도 완전한 프로 장비로 넘어가면 100만원을 훌쩍 넘긴다. 하지만 이런 가격차이는 대부분 우퍼 크기의 차이이며, 프로들도 좁은 공간에서는 50만원대 아래의 5인치 우퍼 스피커를 잘 사용한다. 모니터링 스피커의 목적이 '왜곡없는 소리를 내는 것'인 만큼 인터넷에서 입문용으로 추천되는 비교적 저렴한 스피커라도 소리의 질은 충분히 보장된다. 다만 모니터링 스피커라고 해도 소리의 성향은 재질에 따라 스피커마다 다르다.[5] 나무위키에서 NS-10M이 많이 거론되긴 하지만, 플랫 사운드를 원하는 사람이면 일부러 중고를 구할 생각은 접는 게 좋다. 과거에는 가성비가 뛰어나서 일본에서 많이 쓰였지만, 현대 기준으로는 플랫한 소리와 거리가 멀어서 업계에서 사장되었다.[6] 유튜브에 검색하면 동급의 다른 스피커와 비교하여 측정용 마이크로 원음과 비교하는 영상이 있는데, 이 스피커가 원음과 거의 차이가 없는 소리를 들려주었다. JBL 문서에 들어가면 볼 수 있다.[7] 1m 이내[8] 전문가용 장비는 필요한 만큼의 성능을 필요할 때 언제든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된다. 러기드 노트북이 대표적인데, 절대적인 연산성능은 최신형 게이밍 노트북에 비하지 못하지만, 내구성과 부품의 신뢰성, 유지비용은 러기드 노트북이 압도적으로 좋다. 스튜디오 모니터링 스피커도 마찬가지. 애당초 전문가용은 장사도구이기 때문에 취미용 물품과 비교하면 곤란하다. 같은 음향 쪽의 예시를 들면 Shure의 무빙코일 마이크 중 SM58SM57이 저렴한 가격과 엄청난 내구성 덕분에 마이크 시장에서 표준으로 자리잡은 것이 유명하다. 물론 요즘 나오는 동급 경쟁품에 비해 평범할 뿐이지 성능 역시 준수하다.[9] 주된 용도는 영화감상이나 비디오 게임.[10] 왼쪽, 오른쪽, 가운데. 또는 왼쪽, 오른쪽, 서브우퍼. 후자의 경우 2.1채널이라 일컬으며 서브우퍼채널을 별도로 구분하고 있는데, 동일한 맥락 하에 4.1, 5.1, 7.1, 9.1등의 보다 확장된 포맷도 존재한다.[11] 정확히 말하면, 하이파이 시스템의 규모를 확장하는 방식이다.[12] 이런 경우, 전문가들이 쓸 법한 왜곡 없는 디스플레이를 함께 추구하기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