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19:44:21

Friday Night Funkin'/모드/VS Hex Mod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Friday Night Funkin'/모드/VS Hex Mod|{{{#!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riday Night Funkin'/모드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DetailedNaiveLiterateYarn|토론]]을 통해 각 모드 사이트에서 조회수 10만회 이상을 받은 모드만을 등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https://namu.wiki/thread/DetailedNaiveLiterateYarn|토론]] - 각 모드 사이트에서 조회수 10만회 이상을 받은 모드만을 등재하기'''
----
'''[[https://namu.wiki/thread/TellingBetterSkillfulSpot|토론]] - 파생 모드는 이 문서 내 '파생 모드' 문단의 하위 문단으로서 등재하기'''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SmellyAmazingLazyDinner|토론]] - 모드의 주소는 공식 사이트와 한글 패치 주소 외에는 기재가 불가능하나\'''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 파일:FNF Logo bumping.gif
게임 정보 등장인물 | 스테이지 | 더미 데이터
모드 목록
(단독 문서)
2020년 · 2021년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2022년 (1분기 · 2분기 · 3~4분기) · 2023년~
논란 및 사건 사고 2021년 · 2022년 · 2023년
기타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팬덤 | 템플릿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VS Hex Mod
파일:hex weekend.jpg
[ The Weekend Update 이전의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FNF mod 44225.png
[ Full Week 업데이트 이전의 섬네일 펼치기 · 접기 ]
파일:Hex Mod.png
제작 YingYang48[1]
KadeDeveloper[2]
DjCat[3]
MORØ[4]
JzBoy[a]
MamiPipo[a]
TaroNuke[7]
[ 카메오 캐릭터 제작자들 펼치기 · 접기 ]
SugarRatio[8]
Atsuover[9]
RatNonFat[10]
phloxio[11]
TheMaskedChris[12]
bbpanzu[13]
CesarFever[14]
Matt$[15]
EricFoda[16]
evilsk8r[b]
Clowfoe[18]
paperkitty[19]
Kawai Sprite[b]
Sulayre[21]
evdial[22]
DustBuster[23]
NDXLNathan[b]
Ninjamuffin99[b]
PhantomArcade[b]
Summus[27]
StickyBM[b]
homskiy[29]
ShinyTama[b]
Banbuds[31]
UniqueGeese[b]
Sock.clip[33]
Swankybox[34]

[ Special Thanks 펼치기 · 접기 ]
Stanishi[c]
Pierates[c]
분류 실행파일
출시 2021년 2월 10일
조회수 파일:게임바나나.ico313만 회[37]
파일:게임졸트 아이콘.svg93.1만 회[38]
관련 사이트 파일:게임바나나.ico
파일:게임졸트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등장인물
3.1. 헥스(Hex)
4. 스테이지5. 평가6. 파생 모드
6.1. Fun Sized Hex Mod
7. 기타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1. 개요

출시 트레일러
Full Week 업데이트 티저
The Weekend Update 티저
VS Hex Mod는 Friday Night Funkin'모드이다.

2. 상세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타이틀 및 메뉴 음악
[ 매뉴 화면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400><tablebordercolor=#3841bb><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매뉴 화면 (구버전) ||
파일:Hex_Menu.png

헥스(Hex)라는 로봇과 배틀하는 모드다. 모든 곡이 공개된 정식 출시 업데이트를 통해 풍부한 컷신이 추가되었으며, 유명 모드중에서는 드물게도 컷신이 그림으로 되어있다.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게임 오버 음악[39]

3. 등장인물

3.1. 헥스(Hex)

<colbgcolor=#f7339a><colcolor=#ffffff> Hex
파일:Hex.Anim.gif
[ R.A.M.에서의 모습 펼치기 · 접기 ]
파일:HexSunsetAnim.gif
[ Hello World!에서의 모습 펼치기 · 접기 ]
파일:HexNightAnim.gif
[ Glitcher에서의 모습 펼치기 · 접기 ]
파일:Hex.VirusAnim.gif
[ Glitcher 중간에 나오는 와이어배경에서의 모습 펼치기 · 접기 ]
파일:HexWireAnim.gif
[ Cooling, LCD에서의 모습 펼치기 · 접기 ]
파일:HexBlueAnim.gif
[ Detected에서의 모습 펼치기 · 접기 (공포 주의) ]
파일:VirusedHexAnim.gif
[ Glitcher Remix 중간에 나오는 와이어배경에서의 모습 펼치기 · 접기 (공포 주의) ]
파일:VirusedHexWireAnim.gif
[ LCD(중반부)에서의 모습 펼치기 · 접기 ]
파일:HexLCDRedAnim.gif
아이콘 파일:HexNewIcons.png[40]
[ Glitcher에서의 아이콘 펼치기 · 접기 ]
파일:HexVirusIcons.png
[ Detected에서의 아이콘 펼치기 · 접기 (공포, 약혐 주의)]
파일:VirusedHexIcons.png
[ 구버전에서의 아이콘 펼치기 · 접기 ]
파일:HexIcons.png
원작자 YingYang48
Kade Dev
DjCat
종족 로봇
나이 불명
성별 남자
205cm
주변 인물 Whitty (절친)
Carol (친구)
Garcello(친구)
Cyrix (친구)
Static (친구)
Hatsune Miku (팬)
Boyfriend (친구)[41]
Girlfriend (친구)
Fun Sized Whitty(친구)
Rich Guy (옛 친구)
I'm always ready!
난 항상 준비돼있어![42]

TV 형태의 머리를 가진 로봇이다.

[ 헥스의 스토리 펼치기 • 접기 ]
외로움을 느끼고 동반자를 원했던 한 리치 가이(Rich Guy)가 로봇 전문 회사에 의뢰하게 되어 만들어졌으며, 봇에 추가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을 연구하면서 시제품이 만들어지고, 그 시제품의 이름이 헥스였다. 하지만 욕심 많은 CEO는 새로 발견한 기능으로 로봇 공학에 대한 솔루션을 대량 생산하면 때돈을 벌 수 있다는 것을 직감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계약은 리치 가이가 없는 사이 알게모르게 종료된다.

해당 일로 인해 헥스는 쓸모없다고 여겨져 힘이 고갈된 상태로 저장 장치에 넣어진다. 운 좋게도, 헥스는 창고방의 창문 바로 아래에 놓여 있어, 태양 전지판을 통해 에너지를 얻고 다시 살아나 창문을 통해 탈출하여 근처 어딘가에 숨어있었다.

리치 가이는 계약이 종료된걸 알고 실망한 채 상황의 행방을 찾기 위해 프로젝트를 점검한다. 그런데 집으로 향하는 동안 리치 가이는 상태가 좋지 않은 헥스를 발견하고 집으로 데려 간 뒤 친한 친구가 되었으며, 함께 사는 동안 농구, 노래방 등의 활동을 함께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리치 가이는 세상을 떠났고, 헥스에게는 리치 가이가 남긴 엄청난 재산을 가지고 있었지만 친한 친구는 없었기 때문에 친구를 찾기 위해 여러 가지 활동을 하였다. 헥스가 리치 가이와 함께 한 활동 중에서 가장 좋아했던 것이 농구였기 때문에 농구 팀에 합류하였지만, 진정한 친구라고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다. 헥스가 리치 가이와 했던 또다른 활동인 노래방은 리치 가이가 죽은 후 남자친구 일행을 만날 때까지 그만뒀었다. 그래도 남자친구 일행과 만난 후 지금은 캐롤과 위티라는 다시 진정한 친구들이 생겨서 잘 지내고 있는 듯.

아래는 헥스에 관한 자잘한 설정들이다.

4. 스테이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riday Night Funkin'/모드/VS Hex Mod/스테이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riday Night Funkin'/모드/VS Hex Mod/스테이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riday Night Funkin'/모드/VS Hex Mod/스테이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평가

다른 고난이도 모드들에 비하면 쉬운 난이도 덕분에 Smoke Em' Out Struggle 모드와 함께 초보자들이 접하기 좋은 모드였다.

하지만 The Weekend Update에서 Detected라는 곡이 추가되면서 난이도가 크게 상승했다. 하지만 다른 곡들은 여전히 쉬운 편. 물론 초보자 추천 모드라기에는 Detected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라 애매해졌다.

남자친구의 목소리 역시 호불호가 상당히 갈리는데, 노래 분위기와 맞다는 의견도 있으나 이상하고 쉰것같다는 의견이 많다.

6. 파생 모드

6.1. Fun Sized Hex Mod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fff> Fun Sized Hex Mod
파일:613511b0ac236.jpg
제작 LeafyTheFoliage
분류 리믹스/커스텀 채보 + 스킨
출시 2021년 3월 23일
조회수 12.45만 회[46]
관련 사이트 모드 주소
남자친구를 남자친구처럼 작아진 헥스로 바꾼 모드. 이 헥스도 같은 Fun size 위티처럼 헥스의 동생이라고 한다.Fun size 위티하고는 어렸을 때 부터 친구였다고 한다.

7. 기타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colbgcolor=#f7339a,#400f28><colcolor=#fff> 파일:FNF Logo bumping.gif
게임 정보 등장인물 | 스테이지 | 더미 데이터
모드 목록
(단독 문서)
2020년 · 2021년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2022년 (1분기 · 2분기 · 3~4분기) · 2023년~
논란 및 사건 사고 2021년 · 2022년 · 2023년
기타 디시인사이드 갤러리 | 팬덤 | 템플릿

[1] 아티스트, 작곡가, 차트 작성, UI 디자이너. 자신의 오너캐로도 등장.[2] 프로그래머. 자신의 오너캐로도 등장.[3] 배경 아티스트.[4] 메인 애니메이터.[a] 어시스던트 에니매이터.[a] [7] 모드 보조.[8] 아고티, 니쿠사[9] 가셀로, 애니[10] 아야나[11] [12] CJ, 에텔레드[13] 캐롤, 선데이[14] 피버[15] 사이릭스[16] 디스플로[b] 오너캐[18] 검정 임포스터[19] 카피[b] [21] 오스카[22] 미쿠[23] 모니카[b] [b] [b] [27] 스태틱[b] [29] 타비[b] [31] 트리키 더 클라운[b] [33] 위티[34] 자디[c] 모드 테스터[c] [37] 2024년 3월 10일, 게임바나나 기준[38] 2024년 3월 10일, 게임졸트 기준[39] Weekend Upadate 후 추가되었다.[40] R.A.M.과 Hello World!,Cooling에서도 이 아이콘을 쓴다.[41] 랩 배틀이 끝나고 친구가 되었다고 한다.[42] 해당 문장은 헥스의 상징적인 대사이며, 페이즈 1의 컷씬(중후반부)과 페이즈 3의 컷씬(극후반부)에서 등장하는 대사이다.[43] 헥스의 이름도 16진수를 나타내는 Hexadecimal의 줄임말이다.[44] 파일:Hexpansex.png[45] 파일:MinusHex.png[46] 2021년 9월 17일 기준[47] 그래서 Glitcher의 바이러스걸린 헥스 빼고는 전부 스프라이트 파일 이름이 아빠의 스프라이트 이름인 DADDY_DEAREST이다.[48] TV속에서 사는 로봇[49] 솔티선데이에서 선배 역할(다만 글리치는 게임기에 갇히기 전에는 인간이었다.)[50] 목소리가 특이한 로봇[51] 전봇대처럼 키가 매우 큰 로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