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15:18:37

FIFA 랭킹

피파 랭킹에서 넘어옴
2024년 12월 FIFA 랭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가명 볼드체: FIFA 월드컵 우승팀
주석이 없는 팀: FIFA 월드컵 불참 및 본선 진출 실패
<rowcolor=#fff> 순위 국가 당월 점수 전월 점수 전월 대비
점수 변화
전월 대비
순위 변화
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1] 1867.25 1867.25 0 0
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2] 1859.78 1859.78 0 0
3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3] 1853.27 1853.27 0 0
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4] 1813.81 1813.81 0 0
5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5] 1775.85 1775.85 0 0
6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6] 1756.12 1756.12 0 0
7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7] 1747.55 1747.55 0 0
8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8] 1740.62 1740.62 0 0
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9] 1731.51 1731.51 0 0
10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10] 1703.79 1703.79 0 0
11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11] 1695.91 1695.91 0 0
12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12] 1694.44 1694.44 0 0
13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13] 1691.59 1691.59 0 0
14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14] 1688.18 1688.18 0 0
1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15] 1652.79 1652.79 0 0
16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16] 1645.48 1645.48 0 0
17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17] 1637.25 1637.25 0 0
18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18] 1635.31 1635.31 0 0
19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19] 1627.4 1627.4 0 0
20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20][21] 1625.16 1625.16 0 0
21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22] 1611.49 1611.49 0 0
2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23] 1589.84 1589.84 0 0
2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24] 1585.45 1585.45 0 0
24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25] 1560.13 1560.13 0 0
25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26] 1554.94 1554.94 0 0
26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27] 1544.15 1544.15 0 0
27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28] 1540.2 1540.2 0 0
28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29] 1537.24 1537.24 0 0
29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30] 1534.39 1534.39 0 0
30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31] 1517.57 1517.57 0 0
31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32] 1515.96 1515.96 0 0
32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33] 1514.28 1514.28 0 0
33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34] 1513.48 1513.48 0 0
34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35] 1512.32 1512.32 0 0
35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36] 1510.62 1510.62 0 0
36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37] 1504.39 1504.39 0 0
37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38] 1495.85 1495.85 0 0
3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39] 1494.2 1494.2 0 0
39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40] 1489.88 1489.88 0 0
40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41] 1488.42 1488.42 0 0
41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42] 1486.19 1486.19 0 0
42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43] 1484.88 1484.88 0 0
43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44] 1484.44 1484.44 0 0
44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45] 1482.23 1482.23 0 0
45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46] 1480.24 1480.24 0 0
46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47] 1478.47 1478.47 0 0
47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1475.71 1475.71 0 0
48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48] 1474.6 1474.6 0 0
49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49] 1471.49 1471.49 0 0
50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50] 1469.44 1469.44 0 0
51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1466.1 1466.1 0 0
52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51] 1464.42 1464.42 0 0
53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52] 1458.26 1458.26 0 0
54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53] 1454.99 1454.99 0 0
55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54] 1454.25 1454.25 0 0
56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55] 1442.86 1442.86 0 0
57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56]
1428.87 1428.87 0 0
58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1424.93 1424.93 0 0
59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57] 1406.56 1406.56 0 0
6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58] 1400.22 1400.22 0 0
61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59] 1395.77 1395.77 0 0
62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60] 1390.85 1390.85 0 0
63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61] 1385.57 1385.57 0 0
64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1375.91 1375.91 0 0
65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1375.57 1375.57 0 0
66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1373.76 1373.76 0 0
67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1368.96 1368.96 0 0
68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1362.21 1362.21 0 0
69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1361.53 1361.53 0 0
70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62] 1355.1 1355.1 0 0
71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63] 1349.58 1349.58 0 0
72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1328.51 1328.51 0 0
73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1326.76 1326.76 0 0
74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64]
1326.69 1326.69 0 0
75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65] 1325.93 1325.93 0 0
7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66] 1322.25 1322.25 0 0
77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67] 1320.52 1320.52 0 0
78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1311.88 1311.88 0 0
79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68] 1308.58 1308.58 0 0
80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1306.67 306.67 0 0
81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1305.52 1305.52 0 0
82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69] 1301.04 1301.04 0 0
83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70] 1300.81 1300.81 0 0
84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1297.87 1297.87 0 0
85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71] 1296.48 1296.48 0 0
86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72] 1287.75 1287.75 0 0
87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1279.24 1279.24 0 0
88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1270.42 1270.42 0 0
8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73] 1269.83 1269.83 0 0
90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74] 1266.38 1266.38 0 0
91 파일:퀴라소 기.svg 퀴라소 1264.78 1264.78 0 0
92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1256.42 1256.42 0 0
93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1256.2 1256.2 0 0
94 파일:베냉 국기.svg 베냉 1250.99 1250.99 0 0
95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1249.47 1249.47 0 0
96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1232.7 1232.7 0 0
97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1231.17 1228.24 +2.93 0
98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1226.31 1226.31 0 0
99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1219.82 1219.82 0 0
100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1219.15 1219.15 0 0
101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1215.87 1215.87 0 0
102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75] 1214.81 1214.81 0 0
103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1208.99 1208.99 0 0
104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1203.08 1203.08 0 0
105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1201.35 1201.35 0 0
106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1199.33 1199.33 0 0
107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1194.19 1194.19 0 0
108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1189.65 1189.65 0 0
109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1183.16 1183.16 0 0
110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1180.18 1180.18 0 0
111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1179.26 1179.26 0 0
112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171.43 1171.43 +3.33 0
113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1165.41 1165.41 0 0
114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1164.79 1161.11 +3.68 +2
1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76] 1164.41 1164.41 0 -1
116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1162.02 1162.02 0 -1
117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1158.7 1158.7 0 0
118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1158.03 1158.03 0 0
119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77] 1152.18 1152.18 0 0
120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1151.72 1151.72 0 0
121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1151.06 1151.06 0 0
122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1145.96 1145.96 0 0
123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1142.53 1142.53 0 0
124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1136.06 1136.06 0 0
126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1134.69 1134.69 0 0
12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133.62 1133.62 0 0
125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78] 1133.41 1135.11 -1.7 -2
128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1132.65 1132.65 0 0
129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1132.06 1132.06 0 0
130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1131.32 1131.32 0 0
131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1129.31 1129.31 0 0
132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1115.51 1117.05 -1.54 0
133 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1114.28 1114.28 0 0
134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79] 1109.16 1109.16 -0.44 0
135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 1102.23 1102.23 0 0
136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1098.85 1098.85 0 0
137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1096.88 1096.88 0 0
138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1096.6 1096.6 0 0
139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1087.26 1087.26 0 0
140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1084.11 1084.11 0 0
14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1083.36 1083.36 0 0
142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1069.96 1069.96 0 0
143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1065.42 1065.42 0 0
144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1064.99 1064.99 0 0
145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1063.04 1063.04 0 0
146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1059.94 1059.94 0 0
147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1051 1048.25 +2.25 +1
148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1048.48 1049.15 -0.67 -1
149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1046.76 1032.79 0 +1
150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1046.67 1047.73 -1.06 -1
151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1045.59 1045.59 0 0
152 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1034.43 1034.43 0 0
153 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 1031.47 1031.47 0 0
154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1030.6 1030.6 0 0
155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1028.76 1024.58 +4.18 +1
156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1025 1034.37 0 -1
157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푸에르토리코 1022.83 1022.83 0 0
158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1018.27 1017.84 +0.43 0
159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1015.25 1015.25 0 0
16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1011.68 1007.83 +3.85 +1
161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1010.97 1010.97 0 -1
162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1001.39 1001.39 0 0
163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80][81] 994.43 994.43 0 +1
164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994.22 996.21 -1.99 -1
16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990.56 990.92 -0.36 0
166 파일:버뮤다 기.svg 버뮤다 988.19 988.19 0 0
167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985.74 997.86 0 +1
168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983.95 980.5 0 +1
169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981.35 986.15 -4.8 -2
170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973.55 973.55 0 0
171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971.54 971.54 0 0
172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963.63 963.22 +0.41 0
173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961.92 961.92 0 0
174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955.44 955.44 0 0
175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939.2 939.2 0 0
176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935.41 935.41 0 0
177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933.3 933.3 0 0
178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925.02 925.02 0 0
179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923.46 923.46 0 0
180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920 921.2 -1.2 0
181 파일:몬트세랫 기.svg 몬트세랫 914.26 924.14 0 0
182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904.06 904.06 0 0
183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903.54 903.54 0 0
184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900.75 900.75 0 0
185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896.71 896.71 0 0
186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890.08 889.54 +0.54 +1
187 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 미국령 사모아 883.17 883.17 0 +1
188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879.75 883.57 -3.82 -1
189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878.09 878.09 0 0
190 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 877.53 877.53 0 0
191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877.37 877.37 0 0
192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876.41 876.41 0 0
193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868.79 871.52 -2.73 0
194 파일:케이맨 제도 기.svg 케이맨 제도 866.71 866.71 0 0
195 파일:아루바 기.svg 아루바 858 863.29 0 0
196 파일:지브롤터 기.svg 지브롤터 848.58 848.58 0 +1
197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846.8 850.83 -4.03 -1
198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842.59 842.59 0 0
199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835.64 835.64 0 0
200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832.8 829.39 0 0
201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831.19 831.19 0 0
202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829.81 829.81 0 0
203 파일:괌 기.svg 824.65 821.91 +2.74 0
204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821.71 834.15 0 0
205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818.58 818.58 0 0
206 파일: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기.svg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803.98 803.98 0 0
207 파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780.3 780.3 0 0
208 파일:미국령 버진아일랜드 기.svg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779.71 779.71 0 0
209 파일:앵귈라 기.svg 앵귈라 769.37 769.37 0 0
210
(최하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747.42 737.04 0 0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unranked[82] }}}}}}}}}
[ 각주 ]

[1] FIFA 월드컵 3회 우승 (1978, 1986, 2022)[2] FIFA 월드컵 2회 우승 (1998, 2018)[3] FIFA 월드컵 1회 우승 (2010)[4] FIFA 월드컵 1회 우승 (1966)[5] FIFA 월드컵 5회 최다 우승 (1958, 1962, 1970, 1994, 2002)[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1966)[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준우승 (1974, 1978, 2010)[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2018)[9] FIFA 월드컵 4회 우승 (1934, 1938, 1982, 2006)[10] FIFA 월드컵 4회 우승 (1954, 1974, 1990, 2014)[11] FIFA 월드컵 2회 우승 (1930, 1950)[1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5위 (2014)[1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준우승 (2018)[1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4위 (2022)[1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9위 (2002, 2010, 2022)[1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1930)[1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7위 (2002)[18] 이란의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978월드컵 14위(16강 조별리그)
2018월드컵 18위(32강 조별리그)
[1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6위 (1970, 1986)[2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6위 (1938)[21] 참고로 스위스는 1950월드컵에서도 6위를 기록하였지만 당시는 8강전이 없었고 13강 조별리그에서 각 조 1위만 4강 결승리그(풀리그 방식)에 진출하는 제도였고 스위스는 조 3위 대회 6위로 4강 진출은 실패했다.[2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1998)[2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1954)[2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4위 (2002)[2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2위 (2006)[2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2006)[2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1위 (2022)[2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준우승 (1958)[2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2002)[3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1958)[3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준우승 (1938, 1954)[3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4위 (1986월드컵 24강 조별리그)[3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4위 (1930, 1962)[3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3위 (1934)[3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4위 (1966)[3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1974, 1982)[3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2위 (2018월드컵 32강 조별리그)[3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4위(2014), 알제리의 월드컵 최고 순위 13위(1982)[3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6위 (1994)[4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3위 (2014)[4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7위 (1970)[4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6위 (2010)[4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준우승 (1934, 1962)[4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5위 (1998)[4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9위 (1994)[4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9위 (1974월드컵 16강 조별리그)[4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7위 (2010월드컵 32강 조별리그)[4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2위 (2022월드컵 32강 조별리그)[4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7위 (1990)[5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위 (1962)[5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9위 (1978월드컵 16강 조별리그)[5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2010)[5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2014)[5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8위 (2010월드컵 32강 조별리그)[5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3위 (1986월드컵 24강 조별리그)[56] FIFA 월드컵 17위 (2002월드컵 32강 조별리그)[5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강 12위 (1994)[5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1990)[5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위 (1974월드컵 16강 조별리그)[6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2위 (1998월드컵 32강 조별리그)[6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4위 (1990월드컵 24강 조별리그)[62] FIFA 월드컵 28위 (2018월드컵 32강 조별리그)[6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7위 (1958)[6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0위 (2014월드컵 32강 조별리그)[6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8위 (1982월드컵 24강 조별리그)[6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2위 (1970월드컵 16강 조별리그)[6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7위 (2010)[6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2위 (1930월드컵 13강 조별리그)[6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4위 (1994)[7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6위 (1970월드컵 16강 조별리그)[71]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3위 (2006월드컵 32강 조별리그)[72]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5위 (1974월드컵 16강 조별리그)[73]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2위 (2010월드컵 32강 조별리그)[74]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1위 (2002월드컵 32강 조별리그)[75]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7위 (2006월드컵 32강 조별리그)[76]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1966)[77] FIFA 월드컵 최고성적 30위 (2006월드컵 32강 조별리그)[78] FIFA 월드컵 최고성적 15위 (1938월드컵 15강 토너먼트. 이 때는 네덜란드의 식민지였기에 '네덜란드령 동인도' 라는 이름으로 월드컵에 참가했다.)[79] FIFA 월드컵 최고성적 21위 (1982월드컵 24강 조별리그)[80] FIFA 월드컵 최고성적 8강 8위 (1938)[81] 현재까지 역대 월드컵 본선 진출국 중 가장 낮은 순위. 유일한 기록인 8강(8위)에 진출한것도 80년을 넘어갔으니 그럴만도 하다.[82] 4년 이상 경기가 없어서 랭킹에서 빠졌다.

1. 개요2. 사례
2.1. 2018 러시아 월드컵~현재
3. 산정 방식
3.1. 2018 러시아 월드컵 이후
4. 역대 피파 랭킹
4.1. 역대 피파 랭킹 1위
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FIFA/Coca-Cola World Ranking

FIFA에서 각 국가별 남자팀의 축구 실력을 알아보기 쉽도록 매긴 점수와 순위이다. 청소년 대회, 올림픽 경기 등 A매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기는 피파 랭킹의 기준에서 제외된다. 여자팀은 FIFA 여자 랭킹이 따로 있다.

fifa.com에서 매월 공식 랭킹을 발표한다.

2. 사례

구체적인 예시는 여기에 기입하고 추상적인 수학은 산정 방식에 적도록 한다.

===# 1993년 8월~1998년 프랑스 월드컵 #===
피파 랭킹은 1993년부터 생겨난 제도이다. 그러나 피파 랭킹 초창기 시절에는 매우 단순했기 때문에 신뢰도가 매우 낮은 편이었다. 그 이유는 친선이든 대륙컵 본선 및 예선이든 월드컵 대륙 예선이든 간에 경기를 많이 치르면서 많이 이길수록 플러스 3점을 추가하는 데다가 패배해도 점수가 전혀 깎이지 않는 방식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본선 이전까지는 일단 무작정 A매치 많이 하기가 상당히 랭킹에 유리하게 적용되었다.

이 허점을 파고들어서 주로 아시아의 약팀들과 경기를 붙으며 차곡차곡 승리를 쌓았던 대한민국일본이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직전 피파 랭킹에서 각각 17위와 9위에 올랐다. 당시의 강팀 아르헨티나는 19위였다.

이러다 보니 온갖 말이 많아서 1998 프랑스 월드컵 이후 피파 랭킹 산정 방식이 개정되면서 이 논란은 사라지게 된다.

===# 1998 프랑스 월드컵~2006 독일 월드컵 이전 #===
A매치 경기의 승점으로 점수를 매겨서 랭킹으로 환산한다. 랭킹에 상관없이 패배할 경우 랭킹이 내려간다.

어쨌든 간에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간단히 설명하자면,
  1. 강한 대륙에 속해 있으면 유리하다.
  2. A매치 경기를 많이 해서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3. 큰 대회(특히 FIFA 주관 컵대회)에서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4. 원정경기에서 이기면 유리하다.
  5. 최근에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6. 자기보다 FIFA 랭킹이 높은 국가를 꺾을수록 유리하다.

===# 2006 독일 월드컵 이후~2018 러시아 월드컵 이전 #===
2006 독일 월드컵 이후 개정된 피파 랭킹에서는 지난 8년간의 경기를 기준으로 집계되던 것이 지난 4년간으로 대폭 축소시켰다. 또한 모든 대륙에게 똑같은 점수를 부여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대륙별로 차등해서 점수를 주는 방식으로 변경된 것. 2006 독일 월드컵 이후부터 2010 남아공 월드컵 본선 당시까지 적용된 대륙별 포인트는 유럽>남미>아프리카>북중미>아시아>오세아니아 순서다.

또한 2006 FIFA 월드컵 독일 당시는 미국이 4위, 멕시코가 6위까지 오르며, 개최국도 우승 후보도 아닌 멕시코가 톱시드가 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2]

대륙별 차등 방식은 문제가 매우 큰데 리히텐슈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같은 팀이 여기서 괴이할 정도로 고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남미가 아닌 이상 모든 대륙은 각 팀 당 편차가 매우 심하며 그 중 유럽이 가장 심한데 이를 생각하지 않은 처사였다.

2013년에는 브라질이 피파 랭킹 20위권대까지 추락했다. 2014년 월드컵 개최국으로서 지역 예선에 참가하지 않기 때문에, 월드컵 지역 예선 포인트를 쌓을 수 없어서 생긴 현상으로 피파 랭킹의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2013년 6월 당시 브라질의 피파 랭킹이 22위였는데 2011 코파 아메리카 성적이 최근 2년 이내에 포함된다. 하지만 대륙컵을 ×3.0배로 피파랭킹에서 중요하게 반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브라질은 8강에서 탈락하였다. 게다가 코파 조별예선 성적 역시 부진하였다. 즉, 최근 2년 내의 성적이 ×0.5배인데다 대륙컵 성적 가중치가 ×3.0배였음에도 브라질의 성적이 부진하였기 때문에 피파 랭킹 평균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가중치가 ×1.0배인 친선전만 치르고 있는 상황인 데다가 친선전에서도 패한 경우가 있어서 브라질의 피파 랭킹에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그리고 피파랭킹 22위까지 추락한 브라질은 대륙컵 본선처럼 가중치가 ×3.0배가 반영되는 컨페드컵에서 조별리그부터 결승까지 5전 전승을 하면서[3] 상당한 포인트를 얻게 되었고 이 덕분에 번개같이 9등으로 치솟아 올랐다.

일부 대륙에서는 피파 랭킹에 의해 지역예선 참가방식 자체가 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의 경우 53개국 중 피파 랭킹 기준으로 하위 10개국만 0차 예선을 치러서 48개국을 맞추며, 북중미의 경우 역시 피파랭킹으로 잘라서 반 정도는 역시 0차 예선을 치른다. 월드컵 본선에서는 개최국 대표팀과 더불어 개최국 대표팀을 제외한 피파 랭킹 상위 7개국에 톱시드를 부여한다.

많은 개정이 이루어졌지만, 아시아와 북중미 지역에서는 유독 신뢰도가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북중미의 경우에는 멕시코, 미국 등의 상위권 팀을 제외한 중상위권 - 중위권 팀들의 피파 랭킹이 실력에 비해 높게 나오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는 북중미 중상위권 - 중위권 팀들이 아시아 중상위권 - 중위권 팀들에 비해 피파 랭킹 올리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하기 때문이다. 피파 랭킹은 대회 가중치를 많이 반영하는데, 월드컵 본선 4배, 대륙컵 본선 및 컨페더레이션컵 3배, 대륙컵 예선 및 월드컵 지역 예선 2.5배, 친선전 1배다.

반면 북중미의 경우에는 가중치 3배인 대륙컵 본선을 2년마다 개최하고 게다가 대륙컵 예선 역시 아시아보다 더 자주 치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아시아의 경우에는 가중치 3배인 대륙컵 본선을 4년마다 개최하고 대륙컵 예선 역시 북중미보다 적게 치른다. 또한 북중미의 경우 상대적으로 아시아에 비해 돈이 많기 때문에 피파랭킹 평균 순위를 올리는 목적으로 작정하고 대회를 더 치를 수 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자연스럽게 북중미 중상위권-중위권팀들의 피파랭킹이 아시아 중상위권-중위권팀들의 피파랭킹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

반면, 아시아의 경우에는 피파 랭킹과 별개로 실제 실력은 북중미보다 평균적으로 더 강한 편이다.[4]

어쨌든간에 약간 논란이 있는 피파랭킹이지만 국제축구연맹에서는 지속적으로 FIFA 랭킹의 공신력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예로 2010년 남아공 월드컵부터 톱시드 배정이 오로지 피파 랭킹을 통해서만 이루어졌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톱시드 배정에서는 당시 우승 후보로 분류되지 않았던 스위스, 벨기에, 콜롬비아가 포함되었다.[5]

그리고 전통의 축구 강호인 이탈리아, 잉글랜드, 네덜란드프랑스가 톱시드에서 모두 떨어졌다. 이는 대회 운영과 피파 랭킹의 유기적 연계를 대폭 강화함으로써, 장기적으로 피파랭킹의 권위와 중요도를 높이려는 국제축구연맹의 조치라고 볼 수 있다.

2015년 AFC 아시안컵의 경우 피파 랭킹을 통해서 포트 배정을 했다.[6] 여기서 제대로 피 본 게 호주. 이는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아시안컵 본선 4대 우승후보 중 하나였던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2013년~ 2014년 02월까지의 a매치 성적이 상당히 좋지 않은 탓[7]에 피파랭킹 평균 점수가 상당히 깎인 탓에 2포트로 밀려서 같은 조에 편성됐던 것이다. 게다가 아시안컵 본선 조별 리그 3차전에서 한국에게 1대 0으로 패한 바람에 1등도 놓치고 상대적으로 더 유리한 우승루트를 한국에 내주었다.[8] 물론 결승전에서 되갚아주긴 했지만.

참고로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지역예선(아시아)도 피파 랭킹에 근거해서 시드 배정과 추첨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조 추첨식도 대륙 우선에서 피파 랭킹 우선으로 바뀌었다.

2.1. 2018 러시아 월드컵~현재

피파랭킹 시스템에 대륙별 유불리가 없고 강팀을 상대로 경기를 하면 승리를 높게 쳐주고 패배도 참작해주는 엘로 레이팅 방식이 도입된다는 발표가 나왔다. 당시 피파랭킹 1위였던 독일을 상대로 2:0으로 승리(카잔의 기적)함에 따라 한국이 20위권까지 올라가서 차후 시드 배정에서 유리해질 것으로 예상돼서 축구 팬들과 스포츠 뉴스가 떠들썩했다. 하지만 기사에 나오듯이 2018년 8월에 나온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피파랭킹 순위는 57위로 동일했다. eloratings.net처럼 2018년 월드컵 이전 수십 년의 모든 경기까지 소급 계산하고 골 득실도 감안하면 20위권이 될 수도 있었겠지만, 피파 랭킹은 소급 적용을 하지 않고 골득실 계산도 하지 않았기 때문에 57위가 유지된 것이다.

AFC 상위 다섯 팀의 피파 랭킹은 월드컵 직전 2018년 6월 기준 36, 37, 57, 61, 67위(평균 51.6위)이었지만 방식이 변경되고 약 4년이 지난 후 카타르 월드컵 직후 2022년 12월 피파 랭킹은 20, 24, 25, 27, 49위(평균 29.0위)로 상당히 많이 올랐다. 다섯 국가의 경기력이 큰 변화가 없는데도 이런 큰 상승 폭은 산정 방식 문단에 적혀있듯이 기존 피파 랭킹 제도가 아시아 국가들에게 있어 상당히 불리하게 적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런 랭킹 상승이 가장 극명하게 체감되는 것이 월드컵 포트 배정이다. 2018 러시아 월드컵부터 포트 배정 방식이 FIFA 랭킹 순으로 완전히 변경되었는데 포트별 커트라인은 밑의 표와 같다.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포트 배정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조 추첨
(포트별 하위 2팀만 기재)
포트1 포트2 포트3 포트4
... ... ... ...
파일:FIFA WORLD CUP 2018 POL.png 폴란드
(6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URU.png 우루과이
(17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SEN.png 세네갈
(32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KOR.png 대한민국
(62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FRA.png 프랑스
(7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CRO.png 크로아티아
(18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IRN.png 이란
(34위)
파일:FIFA WORLD CUP 2018 KSA.png 사우디아라비아
(63위)
※ 위 포트 배정은 2017년 10월 기준 FIFA 랭킹에 따른 것임.
2포트의 커트라인은 18위, 3포트의 커트라인은 34위로 지역 예선이 진행중이던 21년 9월 시점에서 커트라인 34위보다 높은 아시아 국가가 3팀이나 있다. 삼국의 진행 과정은 한국의 3포트 가능성 문서 등 참조.

최종적으로 3팀(이란, 일본, 한국)이 3포트에 배정되는 데에 성공했고 조 추첨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 이 역시 기존 피파 랭킹이 아시아 국가들에게 불리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론상, 확률상 그렇다는 것뿐이고 결국 뚜껑을 열어보니 생각보다 이득을 못 봤다.[9]

2024년 기준, 12조×4포트로 열리는 2026 월드컵에서는 한국, 일본, 이란 모두 밑에 3, 4포트를 두고 갈 수 있는 2포트가 유력하다.

각종 대회의 시드가 FIFA 랭킹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2015년부터 변함 없다.

3. 산정 방식

===# 1993년 8월~1998년 프랑스 월드컵 #===
내용이 너무 적으므로 사례 문단에서 몰아서 서술한다.

===# 1998 프랑스 월드컵~2006 독일 월드컵 이전 #===
A매치 경기의 승점으로 점수를 매겨서 랭킹으로 환산한다. 랭킹에 상관없이 패배할 경우 랭킹이 내려간다.[10]

어쨌든 간에 상당히 복잡하기 때문에 간단히 설명하자면,
  1. 해당 팀이 가중치가 높은 대륙(남미, 유럽)에 속해 있으면 유리하다.
  2. A매치 경기를 많이 해서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3. 큰 대회(특히 FIFA 주관 컵대회)에서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4. 최근 경기에서 많이 이기면 유리하다.
  5. 해당팀이 자신의 팀보다 FIFA 랭킹이 높은 팀을 상대로 승리할수록 유리하다.

===# 2006 독일 월드컵 이후~2018 러시아 월드컵 이전 #===
위의 방식이 논란이 많아서인지, 2006 독일 월드컵 이후부터 많은 개정이 이루어졌다.

먼저 경기가 끝나면 그 경기에 대한 매치 포인트를 부여한다. 매치 포인트는 경기결과, 중요도, 상대팀 점수, 대륙별 가중치를 곱하여 결정된다.

매치 포인트 = 경기 결과[13] * 경기 중요도[14] * 상대팀 점수[15] * 대륙별 가중치[16]

현재 FIFA 랭킹과 관련 없이 예시를 들어 보자면,
예시1) 브라질이 친선 경기에서 아르헨티나(피파랭킹 2위)와 무승부한 경우
1(경기결과) * 1(경기 중요도) * 198(상대팀 랭킹) * 1 (대륙별 가중치) = 198
예시2) 한국이 월드컵 본선에서 독일(피파랭킹 1위)에 승리한 경우
3(경기결과) * 4(경기 중요도) * 200(상대팀 랭킹) * 0.92(대륙별 가중치) = 2208
예시3) 사우디가 아시안컵 본선에서 호주(피파랭킹 102위)에게 패배한 경우
0(경기결과) * 3(경기 중요도) * 98(상대팀 랭킹) * 0.85(대륙별 가중치) = 0

상술된 예시와 같이 경기별 매치 포인트를 계산하고[17], 데드라인을 기준으로 하여 12개월 단위로 매치 포인트의 평균을 낸다. 이후 각각의 점수에 기간별 가중치[18]를 적용한 뒤 모두 더한다. 예시를 들어 보면,
(기간 뒤의 점수는 경기별 매치 포인트)
최근 12개월: 108.8, 0, 387.6, 114.75, 112.2 - 평균 144.67
최근 24개월: 0, 800.7, 1086.3, 632.4, 872.1, 0, 742.05, 826.2 - 평균 619.97
최근 36개월: 162.84, 374.85, 158.18, 0, 0 - 평균 139.17
최근 48개월: 0, 1264.8, 0, 0, 127.5 - 평균 278.46
이 경우 기간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면 각각 144.67, 309.98, 41.75, 55.69가 된다. 이를 더하면 이 국가의 피파 랭킹 점수는 552.09가 된다.

상기된 사항대로 각 국가별 피파 랭킹 점수를 계산한 뒤, 순서대로 정렬하면 피파 랭킹이 된다.

설명이 복잡하므로 이를 요약하면,
  1. 패하면 랭킹에 악영향을 준다.[19]
  2. 친선전보다 중요한 경기(월드컵, 대륙컵)에서 승리할 시 랭킹에 유리하다.
  3. 피파랭킹 1위에게 패배하나 전세계 피파랭킹 꼴지에게 패배하나 동일하다.[20]
  4. 경기를 하지 않아도 점수가 오르거나 떨어질 수 있다.[21]
  5. 승리해도 오히려 점수가 떨어질 수 있다.[22]

이 랭킹 계산법에는 문제점이 있는데, 12개월 간 A매치 경기 전적이 없던 국가가 단 한 경기만 치러 그 점수를 많이 획득했다면 전체 점수가 매우 뻥튀기되어 상위 랭크에 있게 된다. 또한 12개월 단위로 끊어 점수를 내기 때문에 최근 12개월 안에 중요한 경기에서 많이 이겨 점수를 많이 획득했다면 그 뒤에는 경기를 하면 이겨도 오히려 점수가 깎이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또한 해당 대륙의 약팀과의 경기를 고려하지 않은 대륙별 가중치 때문에 유럽국가나 남미국가들은 다른 대륙의 국가에 비해 점수의 이득을 보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월드컵 본선에서의 성적이 가중치가 무려 4배나 될 정도로 피파 랭킹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특히 2010 FIFA 월드컵 남아공부터는 월드컵 결승에 진출하면 아무 계산 없이 직접적인 점수를 추가로 준다.둘 다 계산과는 상관없이 따로 지급되는 점수이다. 이 때문에 월드컵이 끝난 바로 다음 달에는 그 월드컵 우승국이 1600~1700대의 넘사벽 FIFA점수를 달고 FIFA랭킹 1위를 차지한다. 2010년 8월의 스페인이 그랬고 2014년 8월의 독일이 그랬다. 물론 2006년의 이탈리아처럼, 우승을 하고도 8강에 그친 브라질을 넘지 못해 2위에 그친 경우도 있긴 하다.

3.1. 2018 러시아 월드컵 이후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이후 엘로 레이팅 시스템을 피파랭킹에 활용한다. fifa.com의 바뀐 방식엘로 레이팅 문서와 상당히 겹치니 참고하면 좋다. 기존의 방식은 2018년 6월까지 쓰고 7월달은 건너뛰어 8월달부터 새로운 방식을 사용한다.
1. 랭킹 방식의 전환을 위해 2018년 6월 랭킹 1위는 1600점, 2위는 1596점, 3위는 1592점, ···, 100위는 1204점, ···, 200위는 804점 등을 우선 부여받는다. 그런 뒤 2018 러시아 월드컵 경기부터 계산을 한다.
1. 새 점수=원래 점수+중요도*(경기 결과-예상된 경기 결과)
1. 2번 항목의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대한민국의예시]{{{#!folding [ 중요도 펼치기 · 접기 ]
05: A매치 데이 외의 친선 경기
10: A매치 데이의 친선 경기
15: 네이션스 리그 조별리그 경기
25: 네이션스 리그 결선 토너먼트 경기 혹은 대륙컵이나 FIFA 월드컵의 지역 예선 경기
35: 대륙컵 본선 8강 미만 경기
40: 대륙컵 본선 8강 이상 경기 혹은 FIFA 컨페드컵 경기
50: FIFA 월드컵 본선 8강 미만 경기
60: FIFA 월드컵 본선 8강 이상 경기}}}경기 결과 승 1, 무승부 0.5, 패 0, 승부차기 승 0.75, 승부차기 패 0.5
예상된 경기 결과 1/(10^((상대 팀의 원래 점수-내 팀의 원래 점수)/600)+1)
1. 예시
1500점의 A가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 1300점의 B를 이겼다. 이때 A팀과 B팀의 새 점수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A: 1500+25*(1-1/(10^((1300-1500)/600)+1))=약 1500+8=약 1508
B: 1300+25*(0-1/(10^((1500-1300)/600)+1))=약 1300-8=약 1292
1. 예외 조항
* 토너먼트 2연전의 두 번째 경기처럼, 정규 시간 혹은 추가 시간 내에 경기를 승리(혹은 패배)했지만 다음 라운드의 진출자를 가리기 위해 승부차기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다.[예시] 이 경우 승부차기 승패가 아니라 보통의 승패로 간주되어 승은 경기 결과 1, 패배는 경기 결과 0으로 계산한다.
* 대륙컵과 월드컵 본선의 토너먼트 라운드에서 점수를 잃어야 하는 경우, 예외적으로 점수를 잃지 않는다.[이유]

참고로 예전부터 기존 피파 랭킹의 문제점에 반발해서 별개로 엘로 레이팅 랭킹을 계산하는 사이트가 있었다. eloratings.net이라든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권 국가들의 엘로 레이팅 랭킹을 보면 개정 이전 피파 랭킹보다 10위 정도 높은 순위를 유지했는데 이는 기존 피파 랭킹 제도가 논란의 여지가 있는 대륙별 가중치로 인해 아시아 국가들에게 상당히 불리하게 적용되었음을 보여준다.

2018년 7월 피파 랭킹은 발표되지 않았다. 영문 위키에 따르면 ELO 시스템을 기초로 점수 계산에 무엇을 적용했는지 몰라도 조 예선에서 최하위로 광탈한 독일이 여전히 1위라는 결과가 나와서 수정을 하는 중이라고 한다. 2021년 1월에 확인한 결과 어째서인지 그 당시에는 발표되지 않았고 발표되지 않을 거라고 나무위키에도 적혔던 fifa.com 2018년 7월 피파 랭킹이 어느 샌가 발표되어있다. 더 이상한 것은 점수가 뜬금없게 변했다는 점이다. 원래의 발표대로라면 6월 7일 브라질 2위 1431점 -> 8월 16일 브라질 (2위였기 때문에 시드 1596점이 previous point) 3위 1657점으로 문제가 없다. 그런데 7월 1일 발표를 보면 브라질 (2151점이 previous point) 4위 2160점이라고 상당히 뜬금없는 숫자가 나왔다. 6월의 현재 점수와 7월의 previous 점수가 맞지도 않고, 600점 가량 갑자기 상승했고, 8월의 시드 기준과도 맞지 않다.

2021년 4월 7일 발표된 피파 랭킹부터는 소수점을 계산하지 않던 이전 방식에서 소수점 둘 째 자리까지 계산하는 방식으로 바뀌어서 정확성을 높였다. 동점이 나오는 경우도 줄었다. fifa.com 뉴스

4. 역대 피파 랭킹

4.1. 역대 피파 랭킹 1위

1993년에 피파 랭킹이 신설된 이래 첫 1위의 영광은 독일이 차지했으며, 이후로 현재까지 8개국이 1위를 했다. 피파 랭킹 1위를 차지한 적이 있는 국가들은 아래를 참고. 벨기에네덜란드를 제외하면 모두 월드컵 우승 경험국이며, 벨기에는 역대 피파 랭킹 1위를 차지한 국가 중 유일하게 월드컵 결승 진출이나 소속 대륙컵에서 우승한 기록이 없다. 반대로 월드컵 우승 경험국 중 잉글랜드우루과이만 1위를 해 본 적이 없다. 역대 가장 많이 1위를 차지한 국가이자 최다 연속 1위 기록을 가지고 있는 팀은 브라질이다.
월드컵 직전까지 1위던 스페인이 1승 2패 32강 조별리그 탈락(23등)하며 6승 1무 우승팀 독일이 1위이 올랐다.
2015년 10월 9일의 대참사[28]로 인해 독일, 아르헨티나의 랭킹 포인트가 하락했다. 그 덕에 벨기에는 2015년 10월 피파 랭킹에서 사상 처음으로 FIFA 랭킹 1위를 찍게 되었다. 벨기에가 다른 1위 유경험국들과 다른 점은 월드컵 본선 결승에 진출한 적이 한번도 없다는 점이다. 벨기에의 역대 최고 성적은 1986 멕시코 월드컵 본선 4위이고 이후 2018 러시아 월드컵 본선 3위이다. 벨기에가 세계대회에서 유일하게 우승한 것은 월드컵이 생기기 전 1920년 A매치 올림픽 축구 금메달(우승)이 유일한 우승이다.아르헨티나가 지역 예선에서 콜롬비아-칠레-볼리비아를 연파하면서 1위 자리를 탈환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이후 예선에서 난조를 보였고 그사이에 방황하던 브라질이 2016년 하반기부터 서서히 살아나면서 7년만에 피파 랭킹 1위에 올랐다.2017년 6월자 피파 랭킹 TOP5는 죄다 남미만 들어간 와중에 유럽은 독일만 유일하게 이름을 올렸다. 1위 브라질, 2위 아르헨티나, 3위 독일, 4위 칠레, 5위 콜롬비아였다. 그러다가 독일이 2017 컨페더레이션스 컵에서 우승을 차지하고 2년만에 피파 랭킹 1위자리를 탈환하였다. 당시 점수 차이가 크지 않아서 8월 랭킹에선 다시 브라질이 1위에 올랐지만 9월부터는 계속 독일이 피파 랭킹 1위 자리를 고수하는 중이다.2018년 8월, 2018 러시아 월드컵 본선에서 독일이 1승 2패로 32강 조별리그 탈락(22등)하며 수직낙하했고 12년[29]만에 10위권대로 떨어지는 굴욕을 당하게 되었다. 월드컵 우승팀 프랑스가 한일월드컵 이후로 무려 16년만에 1위를 되찾았다.

2018년 9월, 프랑스와 벨기에가 나란히 1위를 찍으면서 25년 역사 최초로 피파 랭킹 공동 1위가 탄생했다.[30]

이렇게 2014년~2018년 동안에는 많은 국가들이 돌아가면서 1위를 차지했다. 하단의 표 참조.계속 벨기에가 1위를 고수 중이지만 랭킹치고는 월드컵과 유로에서 성적이 애매해서 거품이라는 비아냥이 많다. 일반인들은 대회 우승 트로피를 제외한 모든 성적을 무시해버리지만, 사실 피파 랭킹 포함 대부분의 랭킹 시스템은 벨기에의 평소 월드컵 지역 예선, 대륙컵 지역 예선, 친선전의 전승 행진을 고려하기 때문에 랭킹이 높은 것이 당연하다. 특히 벨기에는 2014 ~ 2018월드컵에서 본선에서 연속으로 획득한 총 승점이 30점[31]으로 월드컵 평균 우승 승점 20점을 훨씬 넘었다.

애초에 벨기에의 2018 월드컵 4위도 아닌 3위 성적은 애매하지도 않고 아주 좋은 성적이다. 그때 벨기에는 우승후보 브라질과 잉글랜드를 이기며 월드컵 3위를 기록했다. 세부 성적을 살펴보면 1위 프랑스 6승 1무, 2위 크로아티아 4승 2무 1패, 3위 벨기에 6승 1패로 더더욱 사람들의 인식보다 성적이 좋다.
2022년 3월, 브라질이 2017년 8월 이후 4년 7개월 만에 FIFA 랭킹 1위를 기록했다.

2022년 12월, 브라질은 2018월드컵 8강(7등)했으나, 1위를 유지했다. 이에 대해 딱히 말이 없는 걸 보면 벨기에가 까이던 건 단지 추상적인 약체 이미지 때문인 걸로 보인다. 참고로 월드컵 우승을 한 아르헨티나는 단 2점 차이로 2위.[32]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우승한 아르헨티나가 4월 피파랭킹에서 1위에 올라섰으며, 월드컵 8강 탈락(7위)에 이어 A매치에서 모로코에게 충격패를 당한 브라질은 3위로 추락했다.
범례
색깔[33] FIFA 월드컵 우승 횟수[A] 역대 최저 랭킹
브라질 ★★★★★ 22
스페인 25
벨기에 최고성적 3위 1회 71
아르헨티나 ★★★ 24
독일 ★★★★ 22
프랑스 ★★ 27
이탈리아 ★★★★ 20
네덜란드 최고성적 준우승 3회 32
역대 1위
년/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992 FIFA 랭킹 도입 이전
<colbgcolor=#f5f5f5,#2e2f34>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5. 여담

역대 FIFA 랭킹 1위 또는 FIFA 월드컵 우승을 기록한 나라들 중 브라질, 아르헨티나는 월드컵이 32강 조별리그 시절 단 한 번도 톱시드를 놓쳐본 적이 없다. 이탈리아는 2014년(우루과이)에 비톱시드, 우루과이는 2002년(프랑스), 2010년(남아프리카공화국 - 개최국), 2018년(러시아 - 개최국), 2022년(포르투갈)에 비톱시드, 프랑스는 2010년(남아프리카공화국 - 개최국), 2014년(스위스)에 비톱시드, 잉글랜드는 2002년(아르헨티나), 2014년(우루과이), 2018년(벨기에)에 비톱시드, 스페인은 2018년(포르투갈)에 비톱시드, 네덜란드는 2006년(아르헨티나), 2014년(스페인), 2022년(카타르-개최국)에 비톱시드, 벨기에는 2002년(일본-공동 개최국)에 비톱시드, 독일은 2022년(스페인)에 비톱시드였다.

6. 같이 보기



[1] 가장 논란이 많은 내용. 대륙 예선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유럽 팀들과 붙는 유럽 중위권 팀들이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최상위권 팀보다 랭킹이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자주 있다.[2] 실은 2006 독일 월드컵 조 추첨 이전에 멕시코가 톱시드를 받을 수 있었던 건 당시에 톱시드를 선정할 때 지난 두 번의 월드컵 성적과 2005년 10월 피파 랭킹 성적을 반영한 종합 점수를 활용했는데 멕시코는 이 점수가 톱시드를 받을 수 있는 순위에 해당했기 때문이었다.[3] 당시 결승전 상대였던 스페인을 3:0으로 완파했다.[4] 이는 아시안컵 본선과 북중미 골드컵 본선을 비교하면 알 수 있다. 아시안컵 본선의 경우에는 우승팀이 다양하게 나오지만 북중미 골드컵 본선의 경우에는 과거와 달리 1990년대부터는 2002 골드컵 우승팀인 캐나다를 제외한 나머지 대회 모두 미국과 멕시코 양대산맥이 우승을 나눠 먹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멕시코의 경우 코파 아메리카 초청이나 컨페더레이션스컵 참여와 골드컵 시기가 별로 차이가 나지 않을 때 코파 아메리카와 컨페더레이션스컵 때 1군 위주로 보내고 골드컵 때는 1.5~2군으로 출전한 적이 종종 있는 데다 4강에 진출한 적도 상당하다. 게다가 북중미 골드컵은 피파 비회원국이 4강에 진출하는 사례가 종종 있을 정도다.[5] 물론 2014 브라질 월드컵 본선 조추첨 당시에 벨기에와 콜롬비아의 경우에는 우승 후보로 주목받았던 브라질, 독일, 아르헨티나, 스페인 등을 위협할 수 있는 다크호스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스위스의 경우에는 2013년 10월 피파 랭킹이 7위였는데, 지역예선 성적으로 보면 충분히 탑시드를 받을만한 성적을 보였지만 유로 2012 예선때 탈락해서 유로 2012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점과 지역예선 당시 스위스가 e조에 배정받았는데, e조가 다른 조에 비해 상대적으로 꿀조에 가까웠다는 점 등으로 인해 탑시드에 어울리지 않아 보인다는 의견이 상당수였다.[6] 2014년 03월 13일 피파랭킹 기준으로 포트 배정을 함[7] 2014 브라질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마지막 경기인 이란과의 홈 경기 패배도 있었고 더욱이 가중치가 ×1배인 2013 동아시안컵에서 2무 1패로 부진한 것이 상당했기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피파 랭킹 평균에 악영향을 주었다.[8] 단, 그 당시에 호주가 설령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해도 어디까지나 타 토너먼트 라인에 비해 다소 유리한 것이지, 마냥 꿀라인은 절대 아니었다. 왜냐하면 4강 대진이 c조 1위vs d조 2위 경기의 승자와 대결하는데, 당시 c조 1위가 이란이었고 d조 2위가 이라크였다. 즉, 이란이 이라크에게 발목잡히지 않았다면 4강전 상대는 2015 아시안컵 본선 개막 직전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던 이란이었을 가능성이 있어서 쉽지 않았으며 또한 2015 아시안컵 본선 당시 이라크 전력이 이란에 비해 약했지만 아시안컵 본선에서는 나름 강자의 모습을 보여준 적이 종종 있었기 때문[9] 대한민국은 4포트 가나와 만났으나, 새로운 귀화 선수들 때문에 생각보다 고전했고 결국 패배했다. 2023 네이션스컵에서 가나가 조별리그에서 광탈한 걸 생각하면 오묘한 부분. 일본은 4포트 코스타리카와 만났으나, 코스타리카는 애초에 3포트 실력인데 코로나 때문에 일정이 꼬여 어거지로 4포트가 된 것이니 이득은 커녕 손해만 봤고 결국 패배했다. 이란은 4포트 웨일스와 만났으나, 웨일스 역시 2~3포트 실력인데 어거지로 4포트가 된 것이니 이득은 커녕 손해만 봤다. 이쪽은 다행히 이겼다.[10] 이는 패배할 경우 피파 랭킹 평균에 악영향을 미치며 뿐만 아니라 상대평가 방식으로 적용되기 때문.[11] 가장 논란이 많은 내용. 대륙 예선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에 유럽 팀들과 붙는 유럽 중위권 팀들이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최상위권 팀보다 랭킹이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자주 있다.[12] 물론 이 해당 대륙의 전력은 4년마다 개최되는 월드컵 본선에서 각 대륙별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월드컵 본선 이후 대륙별 가중치가 다소 달라진다.[13] 승리 3점, 승부차기 승리 2점, 승부차기 패 혹은 무승부 1점, 패배 0점[14] 친선전 1점, 월드컵 혹은 대륙컵(유로, 아시안컵 등) 예선 2.5점, 대륙컵 본선 혹은 컨페더레이션스컵 3점, 월드컵 본선 4점[15] 200 - 상대팀 랭킹, 예외로 1위는 200점이고, 최소점수는 50점이다[16] 양 국가의 가중치를 더한 뒤 2로 나누는데 가중치는 월드컵 이후 변경된다. 남미 1, 유럽 0.99, 그 외 0.85[17] 이때 상대팀 랭킹은 경기를 한 날 당시의 랭킹을 기준으로 한다[18] 12개월내 100%, 24개월내 50%, 36개월내 30%, 48개월내 20%[19] 그 경기의 점수가 0점이므로 평균에 악영향.[20] 동일하게 0점 처리.[21] 시간이 흘러 데드 라인이 달라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로 48개월이 지난 경기는 점수 계산에서 빠지고, 25~36개월에 해당하던 경기가 37~48개월에 해당하는 등의 이유 때문.[22] 가중치가 높은 경기에서 승리를 많이 하여 평균 점수가 높은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가중치가 낮은 경기를 할 경우.[대한민국의예시] I=5 A매치 데이 밖의 친선 경기(동아시안컵 등)
I=10 A매치 데이의 친선 경기
I=25 FIFA 월드컵 지역예선 경기
I=35 AFC 아시안컵 본선 조별리그&16강 경기
I=40 AFC 아시안컵 본선 8강 이상 경기
I=50 FIFA 월드컵 본선 조별리그&16강 경기
I=60 FIFA 월드컵 본선 8강 이상 경기
[예시] 예를 들어 1차전에서 1:2 패배를 하고 2차전에서 2:1 승리를 거둘 경우 합계 3:3에 원정 다득점도 동률이므로 승부차기를 진행해야 한다.[이유] 이런 예외 조항을 적용하지 않을 시 토너먼트에 올라가는 것이 더 랭킹에 불리한 경우가 나오기 때문이다. 카타르 월드컵 H조에서 대한민국과 우루과이 모두 1승 1무 1패를 기록했지만 다득점 때문에 대한민국은 16강에 진출했고 우루과이는 탈락했다. 이때 예외 조항이 없었다면, 16강에서 브라질에게 패배한 한국은 추가적으로 점수를 잃을 것이고 상위 라운드에 진출했기 때문에 점수가 까이는 부조리가 발생할 수 있다.[26] 2018 월드컵 개최국인 러시아는 예선전을 못 뛰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평균 점수는 1(친선전 중요도)*x(승패에 따른 변동)였고 다른 국가들의 평균 점수 획득은 2.5(예선전 중요도)*y(승패에 따른 변동)이었다. 개최국의 점수가 2.5배 낮다고 봐도 무방하고 이때문에 월드컵을 8강으로 끝마친 강팀 러시아는 피파랭킹 65위로 대회를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바뀐 방식에서는 개최국이든 아니든 평균 점수는 정확히 0이므로 유불리가 없다.[27] (1-1/(10^((1855.2-741.61)/600)+1))[28] 브라질이 칠레에게, 독일이 아일랜드에게, 아르헨티나가 에콰도르에게 연달아 덜미를 잡히는 대사건이 벌어졌다.[29] 2006년 독일 월드컵 개최국이라 A매치인 월드컵 지역 예선을 치르지 않아서 최저 22위까지 찍었었지만 '독일 월드컵에서 최종순위 3위를 기록하고부터 2018 러시아 월드컵 직전까지 쭉 숫자 한자리에서 내려간적이 단 한번도 없었다.[30] 점수는 같지만 소수점까지 계산할시 벨기에가 1위다.[31] 2014월드컵 12점 + 2018월드컵 18점[32] 한 번도 안 지고 우승하면 1위가 보장되지만 아르헨티나의 경우 32강 조별리그에서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졌기 때문에 이렇게 된 것이다. 거기다 네덜란드와 프랑스는 승부차기 승리여서 무승부까지 감안한다면 아르헨티나가 이번 월드컵에서 승리한 횟수는 단 4회 정도 뿐이다.[33] 해당팀의 유니폼 색깔에 준한다.[A] 2022년 12월 기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