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3(Complement receptor 3)와의 유사점이 다수 발견되어 연구 초기에는 CR3와 거의 같은 작용을 한다는 점만이 알려졌다. 골수계 면역세포들인 단핵구나 호중구, 큰포식세포와 림프구인 T 세포, B 세포, NK 세포에서 CR3와 함께 발현되기도 하고, 구조적으로도 같은 베타 사슬(CD18)을 가지고 있는 인테그린이라 유사점이 많다. 그러나 결합하는 리간드나 리간드 결합 부위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 이후 밝혀져 연구되고 있다.[1] 기능 자체는 CR3와 비슷하게 백혈구의 혈관밖유출(extravasation)이나 iC3b 조각에 의한 옵소닌화(opsonization)와 그 후의 포식작용(phagocytosis)에 관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1] Structural Immunology of Complement Receptors 3 and 4. Thomas Vorup-Jensen, Rasmus Kjeldsen Jensen.. Front. Immunol., 26 November 2018 | https://doi.org/10.3389/fimmu.2018.02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