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10:13:23

ABOUT H: 대한민국 행복 리포트 2019

행복 리포트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1. 개요2. 분석
2.1. 성별2.2. 지역별
3. 비판

1. 개요

ABOUT H: 대한민국 행복 리포트 2019는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연구소장 최인철 교수)와 카카오같이가치가 국민들의 행복도를 조사한 연구 도서이다. 2018년 한 해 동안 참석 인원 105만 명, 조사 건수 300만 건이라는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2. 분석

2.1. 성별

2.2. 지역별

3. 비판

리포트 제작팀은 리포트를 작성하면서 낸 결론들[1] 중 "대한민국은 좀 더 여성 친화적인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결론을 냈고, 그 근거를 "해외 거주 여성 대비 국내 거주 여성의 행복지수가 낮기 때문"이라고 요약했다. 그러나 이 결론은 분석 내역을 바탕으로 명확한 인과관계라고 보장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면, 그 대답은 "그렇다"가 아닌 새로운 의문으로 던져야 한다. 사회적 지지에 대해 여성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사회적 지지감이 낮다는 경향성을 보인 건 사실이지만, 본 리포트는 주관적인 사항을 수치화한 것인 만큼 남녀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의 기준이 동일한지는 알 수 없기 때문이다.[2]

설령 남녀 간 사회적 지지의 기준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던 2018년보다도 더 이전부터 여성할당제를 비롯한 각종 여성 전용 타이틀이 달린 정책이 정부와 지자체에서 지속적으로 시행되거나 추진을 시도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여성의 사회적 지지감이 낮다면 여성 친화적인 사회로의 변모 필요성은 잘못된 결론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3]

그리고 이미 물질주의, 감사, 신경증, 사회비교[4] 영역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물질주의, 신경증, 사회비교가 높고 감사지수가 낮다는 것까지 같이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 친화적인 사회로 바뀌면 여성의 행복지수가 유의미하게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런 오판의 근본적인 원인은 이 보고서가 대한민국의 사회적 배경, 문화적 배경, 정책적 배경, 경제적 배경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심리학자들만 모여서 한국인의 행복도를 측정하여 나이와 성별, 지역에 따라서 분석만 했기 때문이다. 단순히 행복도 그 자체에 대한 결론이라면 행복도 분석으로도 충분하지만, 그것으로 사회, 정책에 변화를 촉구한다면 그 이유를 행복도 그 자체로만 근거를 드는 것이 아니라, 그 배경까지 같이 찾아내어 설명해야 하는 것이다.



[1] 여러가지 결론을 냈다.[2] 본인들도 이 부분을 확실하게 명시했다.[3] 예외적으로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문제는 확실히 해결해야 할 사회적 과제가 맞다. 그러나 이는 여성 친화가 아니라 평등의 영역이다.[4] 이들은 사회적 원인이 아닌 개인적 원인에 해당되는 영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