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캠퍼스 | |||
| 천안 | 예산 | 세종 |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09f41>
}}}}}}}}} ||대학 정보
||| 역사 | 학부 | 대학원 | ||
| 학생 정보 | ||||
| 동아리 | 학생회 | |||
1. 개요
| <nopad> |
| 세종한민족교육문화센터 |
| 국립공주대학교 국제교류본부 홍보영상 (2024) |
국제교류본부 홈페이지
세종한민족교육문화센터에 소재하고 있으며, 국제교류, 언어교육, 재외동포 교육 등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발맞추어 국제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앞장서는 부서이다.
특히, 공주시 일대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한민족교육특구로 지정받아 재외동포를 위한 시설 인프라 확대‧강화 및 재외동포 특례 적용받기도 했다.[1]
2. 조직
2.1. 글로벌교류팀
국제교류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부터 시작하여 해외 명문대학과의 학술교류 증진, 그리고 해외 자매대학 대표단 방문 지원 및 다양한 형태의 교류 프로그램 운영을 포괄하고 있다. 자매대학과의 교류는 교수 교류, 교환/파견 교류, 복수학위, 단기교류 등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이와 함께, 국제행사 의전을 담당하고 해외정부초청장학생 선발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캠퍼스 내 외국인 학생들의 관리(출입국 민원, 보험 등)와 이들을 대상으로 한 각종 국제교육 프로그램 개최 및 자원 제공도 하고 있다. 신규 외국인 학생 유치를 위해 순수 외국인 입학상담 및 지원을 진행하며, 교내 국제화 공간인 Global Lounge와 Global Language Clinic의 운영 및 관리를 책임지기도 한다.
2.2. 한국어교육센터
한국어교육센터 홈페이지| 한국어교육센터 연혁 | |
| 1964 | 음영실 설립 |
| 1981 | 시청각 교육실 개칭 |
| 1991 | 어학연구소 개칭 |
| 1996 | 외국어교육원 설립 어학연구소 통합 및 개편 외국어교육원 예산분원 설립 |
| 2006 | 언어교육원 개칭 |
| 2008 | 국제교육원 개칭 |
| 2009 | 국제교육원 천안분원 설립 |
| 2021 | 국제언어교육원 개칭 |
| 2025 | 국제교류본부 한국어교육센터 통합 및 개편 |
한국어교육센터에서는 한국어 전공 교수진을 중심으로 외국 유학생들에게 질 높은 한국어 교육은 물론 외국 유학생들이 한국문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다.
이처럼 충청남도 지역의 언어교육과 국제화 교육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외에도 추진 사업으로 다양한 외국어 강좌를 개설하여 학생과 교직원, 지역 시민들의 언어 능력 향상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을 통해 대학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세계인과 언어문화 소통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원어민 교수진이 주축이 되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다양한 외국어 프로그램으로 우리 대학교 학생들뿐만 아니라 초·중·고등학교 학생과 지역 주민 등 연 인원 5천여 명에게 외국어 능력 향상을 통한 국제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외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2.3. 재외동포센터
제외동포센터 홈페이지| 재외동포센터 연혁 | |
| 2006 | 교육과학연구원 한민족국제교육연구소 분리 |
| 2007 | 한민족교육문화원 기본 계획 확정 몽골국립대학 세종학당 운영 |
| 2008 | 한민족교육문화원 설립 국립국제교육원 재외동포 국내교육과정 위탁 |
| 2010 | 지식경제부 공주시 한민족교육특구 지정 |
| 2016 | 울란바토르2 세종학당 위탁 운영 |
| 2017 | 카자흐스탄 탈디코르간 세종학당 연계운영 |
| 2025 | 국제교류본부 재외동포센터 통합 및 개편 |
재외동포센터는 지구촌 720만 재외동포를 위한 다양한 교육 연구, 문화 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한민족 관련 연구지원 사업을 강화하고 모국과 재외동포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모국과 재외동포사회의 동반성장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설립되었다. 더불어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전 세계에 보급하기 위하여 재외동포뿐만 아니라 한국과 한국문화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을 위한 다양한 한국어·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사실상 타대학들이 국제하계대학으로 부르는 것과 비슷한 형태이다.
모국생활과 재외동포교육으로 모국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유도하고 발전된 모국의 현대상을 직접 체험하여 한민족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고자, 재외동포교육과 한민족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106개 국내외 한인단체 및 관련기관과 교류협정을 맺고 모국과 재외동포 사회의 연결고리 역할 수행하고 있다.
재외동포센터에서는 한국어·한국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재외동포 뿐만 아니라 한국과 한국문화에 관심이 있는 외국인도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한국어 수업을 통하여 한국어의 우수성을 알리고 한국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지속적으로 한국에 대한 관심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프로그램이다.
3. 기타
===# 재외동포 국내교육과정 #===| 재외동포 국내교육과정 입학식 영상 (2022) |
2009년부터 2023년까지 대한민국에서 유일하게 국립국제교육원으로부터 ‘재외동포 모국수학 교육과정’을 위탁받아 운영했었다.
재외동포만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한국어‧문화‧역사 수업뿐만 아니라 현장체험학습, 현지인‧대학생과의 교류, 동아리 등 다양한 특별 프로그램으로 진행했다. 전 세계 재외동포들과 네트워크 형성 지원, 진학‧진로탐색 지도를 통해 매년 90%이상의 교육 만족도를 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