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2 01:23:30

한국형 레이저 대공무기

<colbgcolor=#3399FF><colcolor=#fff> 한국형 레이저 대공무기
(Laser Based Anti-Aircraft Weapon)
파일:레이저대공무기 개발.jpg
레이저 대공무기 상상도
제작사 국방과학연구소, 한화
1. 개요2. 역사3. 장점과 단점4. 한계와 논란5. 형식
5.1.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5.2.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5.3.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
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한국형 레이저 대공무기(Laser Based Anti-Aircraft Weapon)는 한국국방과학연구소한화가 개발하고 있는 레이저 무기이다.# '한국형 아이언 빔'으로 불린다.

2. 역사

레이저(Laser)란 유도 방출에 의한 빛의 증폭을 뜻한다. 특히 최근 몇 년 전부터 미국, 중국, 러시아를 중심으로 레이저 무기들이 본격적으로 배치되고 있다.# 특히 1977년 개봉한 스타워즈가 대성공을 거두면서 영화 속에서 등장한 각종 레이저 무기들은 미래의 무기로 조명 받았다.#

한국도 레이저 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국방과학연구소(ADD)를 중심으로 레이저 무기 개발을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철판 관통시험에 성공해 무기로 사용 가능한 출력을 확보했다.# 방위사업청은 2019년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 개발에 착수했으며, 2024년 육군 방공부대의 전력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광섬유 속에 능동 매질을 지닌 레이저 즉 광섬유 레이저 방식을 사용하는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은 국방과학연구소와 한화가 개발 중에 있으며 고정형으로 운용될 예정이며, 중요 시설에 대한 드론무인기 방공작전에 사용된다.#

3. 장점과 단점

레이저 무기가 다른 무기들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일단 레이저가 '빛의 속도'로 발사되기 때문에 사실상 회피가 불가능하고, 탄환이나 포탄처럼 포물선으로 날아가지 않고 '직진성'을 가지기 때문에 정확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점이다.# '가성비'도 매우 뛰어나서 출력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한국에서 개발한 것(20kW)은 한 발에 1000~2000원 정도의 비용밖에 들지 않는다고 한다.# 영국에서 개발한 '드래건파이어'는 출력이 훨씬 높아 약 1만 7천원의 가격으로 요격을 할 수 있다고 한다.#

물론 단점도 있다. 우선 빛을 이용하는 무기이기 때문에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내리면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요격이나 파괴가 가능할 정도의 레이저 무기는 매우 높은 출력을 내야 되기 때문에 공상과학 영화나 만화에 나오는 레이저 총과 달리 체계가 상당한 크기와 부피를 가진다.# 또 과열을 막기위한 대용량 냉각 장치가 필요하고, 충분한 전력원고효율 배터리가 필요하다. 그리고 다른 요격체계들에 비해 다소 긴 요격시간(약 10초)은 집중포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도록 한다.# 특히 이러한 긴 요격시간은 군집드론과 같은 다수의 표적을 빠르게 요격하는데 불리할 수 있다. 만약 수 천개[1]의 군집드론이 동시에 공격을 감행할 경우, 레이저 무기가 표적들을 순서대로 요격하는 동안 나머지 표적들은 이미 타격에 성공했을 가능성이 크다.

4. 한계와 논란

우리군과 언론은 세계최초로 레이저 대공무기를 실전배치했으며, 한 발에 2천원 밖에 들지 않는 점을 강조하며 홍보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배치될 국산 레이저 대공무기의 요구사양이 낮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레이저 대공무기 분야에서 우리나라보다 훨씬 앞서나가는 이스라엘, 미국, 영국 등이 자신들이 개발한 체계들을 아직 실전배치하지 못하는 이유는 그들이 기대하는 만큼의 충분한 출력을 만들지 못해서이다. 이스라엘아이언 빔의 경우, 이미 33kW의 출력을 만들 수 있지만 목표사거리인 5km를 달성하기 위해 100kW이상의 출력이 가능한 체계로 개발하여 배치할 예정이다. 반면 우리군이 배치하기로 발표한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의 출력은 20kW 수준이라 사거리도 짧고 여러 무인기 등을 빠르게 요격할 수도 없다. 즉 체계의 가격에 비해 효용성이 매우 떨어져 애물단지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100kW의 출력을 목표로 개발될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의 체계부터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블록-3'는 2030년대 중반은 되어야 개발이 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그때까지 발생할 안보공백은 해외체계를 우선적으로 배치하여 매워야 할 수도 있다.

결국 높은 출력을 생성하고 이에 충분한 전력원 마련하는 것이 레이저 대공무기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높은 출력을 감당하려면 체계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세종대왕급의 함선도 100kW까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그렇다면 300-500kW출력의 체계는 차량, 함선, 전투기 등에 탑재하는 건 상상도 못할 것이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궁극적으로 소형핵원자로와 고효율베터리가 개발되어야 레이저무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한다.

5. 형식

5.1.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은 20킬로와트의 출력으로 3km이내에서 비행하는 쿼드드론 혹은 고정익 무인기를 요격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파일:레이저대공무기블록1.jpg
한화가 공개한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1’ 이미지

5.2.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

반면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는 2030년 이전까지 개발될 기동형 즉 이동이 가능한 레이저 무기로 출력은 30킬로와트지만, 요격 성능은 레이저 대공무기 Block-Ⅰ과 큰 차이가 없다고 방위산업계 관계자들은 밝히고 있다.#
파일:레이저대공무기블록2.jpg
2020 대한민국 방위산업전에 공개된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2’ 모형


5.3.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

국방과학연구소는 2030년 이후 부터는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 개발에 들어갈 예정이다.# 블록-1, 블록-2와 달리 고출력을 갖게 될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는 중거리 드론 요격능력과 함께 미사일 요격에도 사용되며 해군의 전투함 그리고 공군의 항공기에도 탑재되도록 만들어질 계획이다.# 방위산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해군의 전투함에 탑재될 레이저 대공무기 블록-3는 100킬로와트의 출력을 갖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KAMD (대한민국 공군)
<rowcolor=white> 담당 영역 명칭 분류 요격 고도 현황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colcolor=white> 초고고도
(80 km~,
열권/외기권)
SM-3
(RIM-161 SM-3 Block 1B)[19]
함대공 미사일 100~400 km
(추정)[19]
<colbgcolor=lime> 도입 결정
('30) [17]
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지대공 미사일 40~150 km
(추정)
주한미군
배치 완료
('17) [18]
장거리 지대공 유도 미사일-II
(L-SAM Block-II)
지대공 미사일 40~1XX km
(추정)[10]
개발 예정
('35) [5]
고고도
(50 ~ 80km,
중간권)
장거리 지대공 유도 미사일-I
(L-SAM Block-I)
지대공 미사일 40~60 km
(추정)
개발 중
('27) [9]


중고도
(12 ~ 50 km,
성층권)
PATRIOT
(PAC-2 GEM+/GEM-T, PAC-3 CRI/MSE)
지대공 미사일 15~40 km
(추정)
배치 완료
('06-'23)
천궁-Ⅲ
(M-SAM Block-III)
지대공 미사일 15~40 km
(추정)
개발 예정
('34) [6]
SM-6
(RIM-174 Standard ERAM)
함대공 미사일 15~35 km
(추정)
판매 승인
('25-'31) [1]
AIM-9
(AIM-9M/L/X Sidewinder)
공대공 미사일[14] 10~30 km
(추정)
배치 완료
('08-'23) [14]
SM-2
(SM-2MR Block IIIA/B[2])
함대공 미사일 0~24 km
(추정)
배치 완료
('23) [3]
함대공 유도탄-II 함대공 미사일 0~24 km
(추정)
개발 중
('30) [15]
천궁-Ⅱ
(M-SAM Block-II)
지대공 미사일 15~20 km
(추정)
배치 완료
('19) [4]
천궁
(KM-SAM)
지대공 미사일 15 km
(추정)
배치 완료
('17) [8]
LAMD (대한민국 육군)
<rowcolor=white> 담당 영역 명칭 분류 요격 고도 현황


저고도
(0 ~ 12 km,
대류권)
장사정포 요격체계 지대공 미사일 0 ~ 10 km
(추정)
개발 중
('29) [7]
순항 미사일 대응 체계 지대공 미사일 0 ~ 5 km
(추정)
구축 방침
[16]
고출력 레이저 요격 체계[16]
(레이저 대공 무기 블록-III)
레이저 대공무기[12] 0 ~ 5 km
(추정)
개발 예정
('35) [11]
지상 기반 근접 방어 무기 체계[16]
(씨워즈-II 개량형)
근접 방어 무기 체계[12] 0 ~ 2 km
(추정)
개발 중
('27) [1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틀 내 각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SM-6 미사일을 도입하여 정조대왕함에 탑재하기로 결정했다는 보도와, 미국 정부가 우리 군에 SM-6 함대공 요격 미사일을 판매하기로 잠정 승인했다는 보도.# #
}}}}}}}}}||


[1] 2024 세계기록: 5,293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