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0:58:20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과학 올림피아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47a0> 형식과학
[[한국수학올림피아드|
파일:KMO_small.png
한국수학올림피아드]] · [[한국정보올림피아드|
파일:KOI.png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자연과학
[[한국물리올림피아드|
파일:kps_logo.jpg
한국물리올림피아드]] · [[한국화학올림피아드|
파일:KChO.jpg
한국화학올림피아드]] ·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
파일:KYPT.png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1) · [[한국생물올림피아드|
파일:KBO.png
한국생물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파일:KAO_logo.png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파일:KJSO.png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파일:KESO_logo.png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사회과학
[[전국지리올림피아드|
파일:대한지리학회 로고.svg
전국지리올림피아드]] · [[한국경제올림피아드|
파일:KEO.png
한국경제올림피아드]]
인문학
[[한국철학올림피아드|
파일:KPO.png
한국철학올림피아드]](2) ·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파일:KLO.png
한국언어학올림피아드]](3)
(1)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국제청소년물리토너먼트 대표단도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에 초청 받으므로 포함
(2) 국제철학올림피아드 국내 예선과 주최는 같지만 별개의 대회임
(3) 사회과학이나 형식과학에도 속함
}}}}}}}}} ||
국제 올림피아드 목록 / 아시아-태평양 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물리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지리올림피아드 목록

<colcolor=#fff>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Korea Linguistics Olympiad (KLO)
파일:KLO.png
<colbgcolor=#E99437> 운영 <colbgcolor=#fff,#191919>한국언어학올림피아드 조직위원회
설립 2010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언올닷컴
1. 개요2. 상세
2.1. 문제 및 대회 형식2.2. 국가대표 선발 과정2.3. 겨울학교 및 통신교육2.4. 모두의 언올2.5. 기출문제
3. 외솔 언어학 올림피아드
3.1. 기출문제
3.1.1. 제1회 ÖLO3.1.2. 제2회 ÖLO3.1.3. 제3회 ÖLO
4. 기타

[clearfix]

1. 개요

유튜버 향문천이 제작한 언어학 올림피아드 소개 영상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KLO)는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개최되는 언어학 올림피아드이다.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 참가자를 선발하기 위한 예선전으로, 선발 최종 예선인 아시아 태평양 언어학 올림피아드(APLO)와 함께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IOL)에 출전하기 위한 관문이다.

2. 상세

2.1. 문제 및 대회 형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언어학 올림피아드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총 6문제가 제시되며 2시간이 주어진다.[1] 문항 수와 제한 시간은 매 시험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대면 개최일 때에는 시험지와 함께 답안지와 연습용 백지가 주어지며, 비대면 시험에서는 모니토 프로그램을 통해 문제와 답안 칸이 공개되고 개인적으로 연습지를 준비해야 한다. 별도의 요구사항이 없으면 답의 풀이[2]는 적을 필요가 없다. 국제 언어학 올림피아드에 비해 난이도가 쉬운 편이다. 한국 대회, 국제 대회 상관없이 모든 언어학 올림피아드 문제는 언어학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풀 수 있게 출제되기 때문에, 누구라도 분석력을 바탕으로 풀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klo 출제지침

2.2. 국가대표 선발 과정


IOL에 출전할 국가대표는 두 번의 대회를 거쳐 선발한다.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는 1차 대회로서 기능하며, 세는나이로 20세 미만이면서 고등학교 3학년이 아닌 이[3]라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KLO에서는 일정 이상의 성적을 받은 이에게 시상하며, 상급은 대상(1명), 금상(3명), 은상(5명), 동상(7명), 장려상(n명)으로 나누어진다. 과거에는 KLO 입상이 겨울학교 및 통신교육 참가 자격이었는데, 2021년부터 대회 참가만으로도 겨울학교 참가가 가능하게 되었다.

APLO는 2차 대회를 겸하며, KLO에서 입상한 사람에게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APLO에서 8위 이내에 든 경우 국가대표 자격이 주어지며, 이 안에서 출전 포기자가 있는 경우 기회는 차순위자에게로 돌아간다.

2.3. 겨울학교 및 통신교육


한국 조직위는 연마다 겨울학교를 개최하고 있다. 2021년부터 겨울학교는 KLO 참가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프로그램이 되었다. 겨울방학 기간 중 모여 언어학 강의와 문제 풀이 연습, 그리고 다른 여러 활동을 진행한다.

2019년까지 겨울학교는 대면 개최하였고, 참가자들이 한 장소에서 합숙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통신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추가 문제 제공 및 피드백이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19의 여파가 있어 2020년~2022년에는 겨울학교가 비대면으로 진행, 통신교육과 통합되었다. 이때의 겨울학교는 구글 미팅을 통해 강의를 듣고, 주마다 구글 클래스룸으로 연습문제를 제공하며 답안을 제출하는 방식이었다.

2023년 말에는 겨울학교를 다시 대면으로 진행하였으며 비대면 참가를 받지 않았다. 5박 6일의 규모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에서 개최하였는데, 코로나 이전의 겨울학교와 마찬가지로 언어학 강의와 문제풀이 연습에 더하여 추가적인 콘텐츠들이 있었다.

APLO에서 선발된 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아직까지 없으나, 국제 규모로 IOL 1주 전 진행되는 Joint Training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2.4. 모두의 언올

모두의 언올은 2020년부터 시행된 프로그램이며, KLO에 참가할 수 없는 이들이 관심을 갖게 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2020/21 및 21/22년 모두의 언올은 KLO와 같은 문제를 이용하였고, 점수로 참가자들의 순위를 가렸다.
2022/23년 모두의 언올은 개최되지 않았고, 23/24년부터 언올닷컴의 중장기 이벤트로 변경되어 격주로 문제를 출제하고 있다. 23년부터는 답안뿐 아니라 규칙이나 풀이 과정을 추가적으로 작성하게끔 바뀌었다.

자세한 사항은 모두의 언올 공식 홈페이지 참조.

2.5. 기출문제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기출문제 문서 혹은 이곳 참조.

3. 외솔 언어학 올림피아드

<colcolor=#fff>
외솔 언어학 올림피아드
Ösol Linguistics Olympiad (ÖLO)
파일:욋올 로고.png
<colbgcolor=#205f4c> 운영 <colbgcolor=#fff,#191919>외솔언어학올림피아드 조직위원회[4]
설립 2022년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링크트리

학생들이 조직위원회를 발족해 직접 출제, 홍보, 운영까지 도맡는 비공인 언어학 올림피아드.[5] 명칭은 국어학자 최현배의 호에서 비롯되었으며, 전국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언어학 올림피아드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개최된다. 대회 형식은 KLO와 비슷하며, 언어학 올림피아드 입문자를 대상으로 개최되기 때문에 문제 난이도는 KLO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쉽다.

학교 단위로 개최된다는 특징이 있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학교에서 지정된 시간에 응시해야 한다. 제3회 외솔언어학올림피아드는 7개교 학생들이 참가했으며, 해가 지날수록 참가자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원래는 고등학생 몇 명이 모여서 개최한 교내행사(…)에 가까운 대회였지만 KLO 조직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언올닷컴 홈페이지에 기출문제가 등재되는 등 그 입지와 규모가 커지고 있다.

3.1. 기출문제

분량이 적으므로 이 문서에 합쳐서 서술한다.

3.1.1. 제1회 ÖLO

제1회 외솔언어학올림피아드
개최일: 2022.10
문제지
<colbgcolor=#d1d1d1> 번호 배점 소재 출제자
1 10 마린드어 김강래
2 15 클링온어 강한별
3 15 루마니아어 이상준
4 15 론타라 문자 김강래
5 15 코베어 김강래
6 15 아이누어 이상준
7 15 마남어 김강래

3.1.2. 제2회 ÖLO

제2회 외솔언어학올림피아드
개최일: 2023.8
문제지
<colbgcolor=#d1d1d1> 번호 배점 소재 출제자
1 10 네덜란드어 김강래
2 15 디야리어 김강래
3 15 데바나가리 문자 강한별
4 15 아멜레어 김강래
5 15 오키나와어 이상준
6 15 이눗툿어 김강래
7 15 하우사어 장한

KLO의 홍보 방식에서 착안하여, 홍보용 포스터에 아르메니아 문자를 소재로 한 도전 문제가 수록되었다.

3.1.3. 제3회 ÖLO

제3회 외솔언어학올림피아드
개최일: 2024.3
문제지 해설
<colbgcolor=#d1d1d1> 번호 배점 소재 출제자
1 10 에베어 정원준
2 10 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
샤트로바치키
우트로바치키
김강래
3 10 메벰벳어 김강래
4 10 고대 그리스어 박시현
5 15 아이마라어 이상준
6 15 유록어 정원준
7 15 워이시카어 김강래
8 15 해안마린드어 김강래

문제 수가 8문제로 변경되고, 전년도에 비해 난이도가 하향되었다. 홍보용 포스터에는 중세 룬 문자를 이용한 짧은 도전 문제가 수록되었다.

4. 기타

2018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와 그 전 시험들은 응시료가 20만원을 호가했다. 그러나 2018/19 한국 올림피아드[6]는 기존 응시료의 1/4선인 5만원으로 내려가, 다른 올림피아드 응시료와 같아져 접근성이 매우 높아졌다. 응시료 인하와 더불어 문제의 형식과 문제지 디자인이 IOL과 유사하게 바뀌게 되었다.

KLO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대회 소개, 대회 결과, 차기 대회 정보와 더불어 최근 3개년 기출문제를 풀어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연습 문제도 있으니, 대회를 준비하고 있다면 풀어보도록 하자. 모든 문제에 답과 함께 있는 매우 상세한 문제 풀이 해설은 덤이다.

또한, 언어학 올림피아드 자료실에선 몇몇 문제의 상세한 풀이과정(언올특강)과 도움이 될 언어학적 지식(언어학 백문백답)에 대해 작성된 글들이 있으니 시간이 나면 훑어보자.

2020년부터는 모든 KLO 대회가 원격으로 실시된다. 2020년에는 시험지가 각 학교 편에 우편으로 전송되었지만, 2021년부터는 모니토를 이용하여 비대면 개최를 진행하고 있다.



[1] 원칙상 5~10문제를 출제할 수 있으며, 18년에는 10문제, 통상 8문제가 제시되었다. 난이도는 현재보다 쉬웠다.[2] 해당 언어의 규칙 등.[3] 고3이 제외되는 이유는 이듬해의 IOL 출전 연령 제한이 있기 때문이다. 홈페이지에서는 "n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이고, 고등학교 3학년은 출전 불가로 명시해두었다. 이 때문에 영재학교에 조기입학하는 등의 경우 출전 기회가 1번 줄어든다.[4] 전원 언어학 올림피아드 경력이 있는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5] 비공인이기 때문에 IOL 국가대표 선발 과정과는 무관하다.[6] 2018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는 3월 17일에 시행된 반면 2018/19 올림피아드는 11월 10일에 시행되었다. 이는 2019년에 5월 5일에 시행되는 아시아 태평양 언어학 올림피아드로 선발 본선전을 개최하기 위해 원래 2019년에 봐야 할 한국 올림피아드의 응시가 늦춰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