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瘧 학질 학 |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疒, 9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4획 |
| 미배정 | |||
| - | |||
| 일본어 음독 | ギャク | ||
| 일본어 훈독 | おこり | ||
| 疟 | |||
| 표준 중국어 | nüè, yào | ||
1. 개요
瘧은 '학질 학'이라는 한자이다. '학질'은 모기를 통해 매개되는 질환인 '말라리아'를 뜻한다.2. 상세
| 瘧의 획순 |
| 瘧의 자형 |
형성자로, 뜻을 나타내는 疒(병들어기댈 녁)과 음을 나타내는 虐(모질 학)이 합쳐져 瘧이 되었다. '모질게 사람을 괴롭히는 병'이라고 회의자처럼 푸는 해설도 있다. 지금도 고통스러운데 당시에는 딱히 제대로 듣는 약도 없었으니[1] 더욱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유니코드는 U+7627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YPM(大卜心一)으로 입력한다.
광운에서 반절이 魚約切이지만, 반절이 같은 虐과 마찬가지로 한국 한자음이 반절을 따르지 않고 ㅎ으로 시작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4. 유의자
- 痎(학질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