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15:44:55

학질 학에서 넘어옴
학질 학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 9획
총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14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ギャク
일본어 훈독
おこり
표준 중국어
nüè, yào
* 보라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서 별도로 허용하는 자형.
  • 빨간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 없는 확장 신자체 또는 간이관용자체.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 독음, 빨간색의 독음은 비상용 독음.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瘧은 '학질 학'이라는 한자이다. '학질'은 모기를 통해 매개되는 질환인 '말라리아'를 뜻한다.

2. 상세

파일:hakjilhak.gif
瘧의 획순
파일:hakjilhak2.gif
瘧의 자형

형성자로, 뜻을 나타내는 (병들어기댈 녁)과 음을 나타내는 (모질 학)이 합쳐져 瘧이 되었다. '모질게 사람을 괴롭히는 병'이라고 회의자처럼 푸는 해설도 있다. 지금도 고통스러운데 당시에는 딱히 제대로 듣는 약도 없었으니[1] 더욱 고통스러웠을 것이다.

유니코드는 U+7627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YPM(大卜心一)으로 입력한다.

광운에서 반절이 魚約切이지만, 반절이 같은 虐과 마찬가지로 한국 한자음이 반절을 따르지 않고 ㅎ으로 시작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그래서 말라리아 치료제를 개발한 투유유가 201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할 정도다![2] '학을 떼다'의 그 '학'이다.[3] 이 단어를 제외한 용례는 없다고 보면 된다(...). 중국어에서는 현재도 말라리아를 疟疾이라고 쓴다.[4] 한자능력검정시험 특급에 수록된 한자이다.